$\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살균 조건이 세척 도구 중 미생물 저감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rilization Conditions on Microbial Reduction in Cleaning Tool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7 no.5, 2022년, pp.310 - 316  

임지유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채영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은영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민진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중범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세미와 행주 재질별 항균 활성을 비교하고, 적합한 살균 방법을 제시하고자 건조, 열탕,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수세미는 은나노, 구리, 망사 수세미 3종을 사용하였으며 행주는 은나노, 대나무, 면 행주 3종을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건조 시간에 따른 수세미 중 대장균 저감화 효과는 은나노와 구리 수세미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B. cereus에 대한 저감화 효과는 모두 미미하였다. 건조 시간에 따른 행주 중 대장균과 B. cereus에 대한 저감화 효과는 모두 미미하였다. 77℃에서 30초 이상 열탕 살균 후 수세미 중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100℃에서 1분 이상 열탕 살균 후 수세미 중 B. ce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77℃에서 30초 이상 열탕 살균 후 행주 중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100℃에서 1분 이상 열탕 살균 후 행주 중 B. cereus가 검출되어 살균효과가 미약하였다. 700 W 마이크로웨이브로 3분간 살균 후 수세미 중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B. cereus는 검출되었다. 700 W 마이크로웨이브로 1분 이상 살균 후 행주 중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3분간 살균 후에도 면 행주에서 B. cereus는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집단급식소에서 사용되는 수세미와 행주에 의한 집단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항균 수세미와 항균 행주 사용을 지양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하는 끓는 물에서 30초 이상 살균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세미와 행주의 위생관리를 위해 수세미는 100℃에서 1분 이상 열탕 살균, 행주는 700 W 마이크로웨이브로 3분 이상 살균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microbial reduction effects of drying, hot water, and microwave sterilization in scourers and dishcloths to suggest a most suitable sterilization method. Three scourer types (silver, copper, and mesh) were used, and three dishcloth types (silver, bamboo, and cotton) we...

주제어

참고문헌 (25)

  1. Lee, S.H., Yun, J.W., Lee, J.H., Jung, Y.H., Lee, D.H., Trends in recent waterborne and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South Korea, 2015-2019.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12, 73-79 (2021).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2022, Jun 7). Food Poisoning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 no519&menu_grpMENU_GRP02 

  3. Lynch, R.A., Elledge, B.L., Griffith, C.C., Boatright, D.T., A comparison of food safety knowledge among restaurant managers, by source of training and experience, in Oklahoma County, Oklahoma. J. Environ. Health, 66, 9-26 (2003). 

  4. Bryan, F.L., Risks of practices, procedures and processes that lead to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s. J. Food Protect., 51, 663-673 (1998). 

  5. Kim, J.B., Park, Y.B., Kim, K.C., Kim, D.H., Kang, S.H., Lim, Y.S., Park, P.H., Yoon, M.H., Lee, J.B., Evaluation and reduc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 of spoon and spoon case carried by nursery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6-122 (2011). 

  6. Lee, Y.W., Na, S.S., Cho, S.B., Cheung, C.Y., Park, S.G., Inhibition effect of germ-resistant sponge on microbial growth in kitchen hygiene. J. Environ. Health Sci., 22, 109-121 (1996). 

  7. Kusumaningrum, H.D., Van Putten, M.M., Rombouts, F.M., Beumer, R.R., Effects of antibacterial dishwashing liquid on foodborne pathogens and competitive microorganisms in kitchen sponges. J. Food Protect., 65, 61-65 (2002). 

  8. Jiang, X., Doyle, M.P., Fate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Enteritidis on currency. J. Food Protect., 62, 805-807 (1999). 

  9. Park, H.K., Park, B.K., Shin, H.W., Park, D.W., Kim, Y.S., Cho, Y.H., Lee, K.H., Kang, K.J., Jeon, D.H., Park, K.H., Ha, S.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used in domestic food processing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42-1047 (2005). 

  10. Lee, Y.S., Lee, S.H., Ryu, K., Kim, Y.S., Kim, H.I., Choi, H.C., Jeon, D.H., Lee, Y.J., Ha, S.D., Survey on practical use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on food utensils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J. Food Hyg. Saf., 22, 338-345 (2007). 

  11. Kim, J.Y., Lee, H.J., Cho, J.Y., Lim, H.C., Choi, G.C., Kim, D.W., Park, K.H., Moon, J.H., Antimicrobial effect of various chopping boards against food-borne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14-120 (2012). 

  12. Lee, S.H., Survival and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on commercial dish sponge/clothes and inhibitory effect of sanitizers.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2010). 

  13. Kim, Y.S., Jeon, Y.S., Han, J.S., Inhibition effect of sanitizers against E. coli and a hygienic condition on the surface of utensils and equipments used to food 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65-970 (2002). 

  14. Hwang, I.S., Cho, J.Y., Hwang, J.H., Hwang, B.M., Choi, H.M., Lee, J.Y., Lee, D.G., Antimicrobial effects and mechanism(s) of silver nanoparticle. Microbiol. Biotechnol. Lett., 39, 1-8 (2011). 

  15. Je, D.H., A Study on the made in 80%Cu-20%Zn alloy antibacterial of filter.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8). 

  16. Kim, S.H., Lee, H.S., Ryu, D.S., Choi, S.J., Lee, D.S., Antibacterial activity of silver-nanoparticl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J. Microbiol. Biotechnol., 39, 77-85 (2011). 

  17. Park, S.H., Gwon, W.G., Lee, I.S., Kim, E.J., Hwang, S.J., Koo, H.S., Na, Y.R., Kim, B.J., Park, E.H., Lee, M.O., Distribution and toxin gene characteristic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foods in Busan. J. Food Hyg. Saf., 35, 219-224 (2020). 

  18. Park, S.J., Assessment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ractices of food handle's and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open-kitchen environment. M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2016). 

  19. Park, S.G., Development of HACCP system through thermal and UV sterilization process management and SSOP : for rice-cake dried products.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2018). 

  20. Kotiranta, A., Lounatmaa, K., Haapasalo, M., Epidemiology and pathogenesis of Bacillus cereus infections. Microbes Infect., 2, 189-198 (2000). 

  21. Lee, H.R., Standardization of disinfection methods according to fabric materials and identification of contaminated microorganism.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Korea (2021). 

  22. Cunningham, F.E., Influence of microwave radiation on psychrotrophic bacteria. J. Food Protect., 43, 651-655 (1980). 

  23. Fujikawa, H., Ushioda, H., Kudo, Y., Kinetics of Escherichia coli destruction by microwave irradiation. Appl. Environ. Microbiol., 58, 920-924 (1992). 

  24. Khalil, H., Villota, R., Comparative study on injury and recovery of Staphylococcus aureus using microwaves and conventional heating. J. Food Protect., 5, 181-186 (1988). 

  25. Ha, W., Kil, M.S., Cho, P.Y., Research on the igniting potential for a microwave oven. Fire Investigation Socity of Korea, 3, 51-6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