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 잠재집단 유형과 영향요인
A Study on the Social Exclusion Types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6 no.3, 2022년, pp.1 - 17  

장온정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인가구내 집단별 이질성에 주목하여 중년층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가 어떠한 하위집단으로 유형화되는지를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 유형에 작용하는 예측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14차 한국복재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총 361명의 중년1인가구를 대상으로 잠재계층분석 및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지표는 6차원 10개지표로 구성되어 측정되었다. 분석결과는 중년1인가구는 '비배제형'(29.6%), '건강제한형'(14.3%), '교류제한 및 중위험다중배제형'(12.0%), '소득·건강배제형'(14.1%), '고위험다중배제형'(30.0%) 등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0%이상이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고 대부분 배제유형이 다중배제 상태였다. 각 배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건강수준'이 공통된 주요 예측요인이었고, 가족교류, 연령, 여가활동만족도 변인이 '고위험다중배제형'과 '교류제한 및 중위험다중배제형'의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 개입전략이 필요하고 '건강'과 교류 강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heterogeneity of groups in single-person households, to identify how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is categorized by sub-groups and to come up with policy measures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by examining predictive factors for the type of social exclusion. Potentia...

주제어

참고문헌 (66)

  1. 강미나.김혜승.박미선.이재춘.김지혜.이길제.조윤지.우지윤.이건우(2020). 2019년도주거실태조사 통계 보고서. 세종: 국토교통부. 

  2.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47-56. 

  3. 강신욱.김안나.박능후.김은희.유진영(2005).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고아라(2018). 1인가구의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세대별 비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권혁철.김형용(2017). 홀로 살아야 행복한. 중년 남성의 삶: 4050세대 1인 남성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3), 267-290. 

  6. 김광석(2015). 싱글족(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7. 김교성.노혜진(2008). 사회적 배제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퍼지집합이론을 이용한 측정과 일반화선형모델 분석. 사회복지정책, 34, 133-162. 

  8. 김동일.김경선.이재호.이미지.장세영.조영희.김은삼(2015). 장애청소년 진로성숙도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1), 491-515. 

  9. 김수영.김명일.장수지.문경주(2017). 잠재계층분석 (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한 한국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유형화와 영향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7(2), 251-286. 

  10. 김안나(2007).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사회이론, 32, 227-256. 

  11. 김은경.박숙경(2016). 우리나라 여성 1인가구와 다인가구 여성의 건강행태 및 질병이환율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3), 483-494. 

  12. 김정은(2020). 청년 및 중년1인가구의 만성질환과 주관적 웰빙과의 관계에서 자기방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5(3), 325-348. 

  13. 김진현(2017).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가 비정규직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및 우울상태에 미치는 영향: 정규직 근로자와의 비교분석. 보건사회연구, 37(3), 398-432. 

  14. 김태수(2009). 한국에서의 사회적 배제 지표의 개발 시론: 외래인을 중심으로. 2009년도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1-137. 

  15. 김혜영(2007). 1인가구의 비혼 사유와 가족의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041-1057. 

  16. 김혜영(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가구를 중심으로. 2014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22. 

  17.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18. 남기철.정선욱(2004). 사회적 배제의 개념과 사회복지실천의 딜레마. 비판사회정책, 19, 55-83. 

  19. 남영주.김정은(2021). 1인가구의 사회적지지와 자기방임 관계에서 위급시 조력자 부재로 인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청년 및 중년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4), 61-76. 

  20. 문진영(2004). 사회적 배제의 국가 간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3), 254-277. 

  21. 문진영(2010). 한국의 사회적 배제 성격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87-107. 

  22. 박건.김연재(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405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 여성가족재단. 

  23. 박능후.최민정(2014). 중고령자 사회적 배제의 다차원성과 역동성 분석. 사회과학연구, 25(2), 325-354. 

  24. 박능후.김재희.장춘명(2015). 개인의 객관적 배제와 주관적 배제 격차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42(2), 185-218. 

  25. 박선희.최영화(2019). 고독사 및 사회적 고립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안전망 강화 방안 연구. 부산: 부산복지개발원. 

  26. 박선희.최영화(2020). 중장년 남성 고독사 고위험군의 사회적 고립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긴급복지지원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68호, 45-78. 

  27. 박현주.정순둘(2012).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유형과 예측요인: 영국고령화패널 분석. 한국노년학, 32(4), 1063-1086. 

  28. 변미리(2015). 도시에서 혼자 사는 것의 의미: 1인가구 현황 및 도시정책 수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3), 551-573. 

  29. 배미애(2007). 여성의 사회적 배제와 지역 차에 관한 연구. 여성학논집, 24(1), 151-191. 

  30. 성혜영(2021). 중년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노후 준비. 한국가족복지학, 26(1), 61-79. 

  31. 신근화(2013).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 39, 647-676. 

  32. 신근화(2017).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배제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 24(2), 127-155. 

  33. 송나경.박향경.노재성(2019). 1인가구의 연령계층별 자살 생각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6, 133-164. 

  34. 송승연(2016). 중장년층의 사회적 배제, 우울 그리고 자살 생각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4(3), 64-92. 

  35. 송인주(2019). 1인가구 증가와 커뮤니티 케어 시행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역할. 가족정책포럼, 6, 21-24. 

  36. 양순미.안선희.정민자(2021). 결혼이민여성을 위한 사회적 배제 척도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32(4), 611-628. 

  37. 양정선.전경숙.고지영.김정숙.구현경(2010). 저출산 대책마련을 위한 경기도 여성 1인가구 연구. 수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38. 여유진 외(2020). 2020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오영교.차성현(2018). 대학생의 진로도구준비 유형분석 : 잠재계층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통계연구, 23(3), 39-64. 

  40. 오승은.김본.민주홍(2020).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한 독거노인의 사회적 배제 유형화. 현대사회와 행정, 30(2), 89-111. 

  41. 오채민(2018).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윤승비.장건(2018).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소득 불평등과 빈곤비교 분석. 사회과학연구, 44(2), 15-37. 

  43. 이민홍.전용호.김영선.강은나(2015).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신사회적 위험 대응전략. 세종: 보건복지부. 

  44. 이상균.유조안.그레이스정(2015). 빈곤관련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이 청소년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6(3), 447-76. 

  45. 이여봉(2017). 1인가구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52, 64-77. 

  46. 이정은.조미형(2009). 사회적 배제 집단의 잠재적 유형 분류 및 성별과 학력에 따른 차이 분석. 사회복지정책, 36(3), 79-103. 

  47. 이하나.조영태(2019). 중년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질병 이환비교. 보건사회연구, 39(3), 380-407. 

  48. 임유진.박미현(2018). 1인가구 중년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4(1), 187-206. 

  49. 장온정(2015). 중년남성 1인가구주의 사회자본 형성과정 경험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7(3), 67-100. 

  50. 장진희.김연재(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여성가족재단. 

  51. 정순희.임은정(2014). 청년1인가구의 삶에 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7(4), 1-19. 

  52. 최석현.김재신(2017).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이슈&진단, 292, 1-26. 

  53. 최재성.강영숙.김진욱(2009). 빈곤층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사회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309-341. 

  54. 최재성.김혜진(2019). 노인의 사회적 배제 결정요인 분석: 다중적 배제의 잠재집단 유형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3, 193-224. 

  55. 최하영.진미정(2021). 청년과 중장년 비혼 1인가구의 일상생활 어려움 잠재프로파일과 가족 관련 태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2), 196-223. 

  56. 통계청(2020). 2015-2020년 1인가구수.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search/search.do. 

  57. 홍승아.최인희.최진희.유은경(2016). 가족형태 다양 성 논의를 위한 사회적 기구 운영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8. 황선영.어유경.김순은(2019). 사회적 통합 관점에서 본 사회적 배제가 인지적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연구-세대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3(2), 31-62. 

  59. 한상윤.남석인(2021). 배우자 사별 여성 노인의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유형과 우울. 여성연구, 109(2), 299-323. 

  60. Silver, H.(1994). Social exclusion and social solidarity: Three paradigm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33, 531-578. 

  61. Taket, A., Crisp, B. R., Nevill, A., Lamaro, G., Graham, M. & Barter-Godfrey, S. (Eds.).(2009). Theorising social exclusion. Routledge. 

  62. Lubke, G. & Muthen, B.(2007). Performance of factor mixture models as a function of model size, covariate effects, and class-specific paramet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1), 26-47. 

  63. Leary, Mark R.(1990). Responses to Social Exclusion: Social Anxiety, Jealousy, Loneliness, Depression, and LowSelf-esteem.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9(2), 221-229. 

  64. Nylund, K. L.(2004). Latent transition analysis: Modeling extensions and an application peer victimiza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California Los Angeles. 

  65. Feng, Z., Phillips, D. R. &Jones, K.(2018). A geographical multivariable multilevel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among older people in China: Evidence from the China Longitudinal Aging Social Survey ageing study. The Geographical Journal, 184(4), 413-428. 

  66. Jung & Wickrama, K. A. S.(2008).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2(1), 302-3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