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취약성 정도에 따른 노인의 미충족의료 경험 비교: 의료취약계층 노인의 필수적 의료자원 보장을 위한 시사점
Differences in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the Elderly by the Level of Medical Vulnerability: Implications for Securing Essential Healthcare Resources for the Medically Vulnerable Elderly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6 no.3, 2022년, pp.49 - 64  

신세라 (제주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을 의료취약성 정도에 따라 네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경제적, 비경제적 사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18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 4,147명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들을 세분화한 결과, 일반건강보험가입자가 79.6%, 비수급빈곤층이 13.6%, 차상위경감대상자가 1.1%, 의료급여수급자가 5.7%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병의원 또는 치과진료에 대해 노인들의 12.6%는 경제적 사유로, 10.6%는 비경제적 사유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취약계층 노인의 미충족의료 경험률은 비취약계층인 일반건강보험가입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대부분 경제적 사유에 따른 경험률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경제적인 사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률은 일반건강보험가입자가 9.8%였던 반면, 비수급빈곤층은 18.9%, 차상위경감대상자는 40.0%, 의료급여수급자는 31.5%로 큰 차이가 있었다. 다른 영향요인을 통제한 로지스틱 분석 결과, 모든 의료취약계층이 일반건강보험가입자에 비해 경제적 사유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는데, 비수급빈곤층은 약 1.4배, 차상위경감대상자는 3.3배, 의료급여수급자는 2.4배 높아졌다. 반면, 비경제적 사유로 인한 경험은 일반건강보험가입자 대비 의료급여수급자의 경우에만 1.7배 증가하였고, 다른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의료취약계층 노인들의 필수적 의료자원 보장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unmet healthcare needs due to economic or non-economic difficulties among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Using Korea Health Panel Survey (KHPS) data from 2018, the elderly are classified into one of four groups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non-take-up, lower income re...

주제어

참고문헌 (74)

  1. 강상경.부가청(2010).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노인 우울 예측요인. 노인복지연구, 49, 7-29. DOI : 10.21194/kjgsw.49.201009.7.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21). 2020 건강보험통계연보. 

  3. 국민건강보험공단(2021). 2020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통계정보보고서. 

  4. 김교성.이현옥(2012).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의료 접근성 연구: 과부담 의료비 지출과 미충족 의료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9(4), 255-279. DOI : 10.15855/swp.2012.39.4.255. 

  5. 김문길.김태완.여유진.김미곤.임완섭.황도경.정해식.오미애.김기태.정세정.이원진.김성아.이주미.신재동.최준영.홍성운.박형존.윤상용.김민희.이길제.김정훈.송치호(2020). 2020년 기초생활보장 실태조사 및 평가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김미곤.여유진.김윤영(2015). 최저생계비 이하 비수급빈 곤층의 생활실태 조사-신경망 분석을 통한 수급자와의 비교분석-. 생명연구, 35, 101-144. 

  7. 김미숙(2010). 비수급빈곤층 아동의 복지욕구와 정책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57, 1-8. 

  8. 김수정.허순임(2011). 우리나라 가구 의료비 부담과 미충족 의료 현황: 의료보장 형태와 경제적 수준을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7(1), 47-70. 

  9. 김유진.김윤희(2017).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3(1), 97-121. 

  10. 김주경(2012). 보건의료취약계층 건강 보호 정책. 국회입법조사처. 

  11. 김주경.이기호(2013). 비수급 빈곤층의 건강 보장 방안. 의료정책포럼, 11(3), 77-81. 

  12. 김진구(2008). 노인의 의료이용과 영향요인 분석. 노인복지연구, 39, 271-300. DOI : 10.21194/kjgsw.39.200803.271. 

  13. 김진구(2011). 소득계층에 따른 의료이용의 격차: 연령집단별 Le Grand 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7(3), 91-122. 

  14. 김태현.신영전.권리아(2020). 의료보장유형별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비판사회정책, 67, 41-69. DOI : 10.47042/ACSW.2020.05.67.41. 

  15. 김혜련(2010). 다문화가족의 건강 및 보건의료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165, 46-57. 

  16. 라규원.이해종(2017).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가계의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분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3(2), 37-60. 

  17. 문정화.강민아(2016). 독거노인의 미충족 의료와 영향요인: 취약계층 행동모델 적용. 보건사회연구, 36(2), 480-510. DOI : 10.15709/hswr.2016.36.2.480. 

  18. 문진영.김미곤.여유진.김진욱.김윤영.이정기.권진.김성은(2014). 최저생계비 이하 비수급빈곤층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19. 박경순(2015).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1-17. 

  20. 박유경.김창엽.황승식(2018). 미충족의료와 소득의 상호작용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의료패널 2009-2014년도 자료의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47, 57-83. 

  21. 박현섭.홍성애(2021). Anderson 모형을 이용한 노인의 성별 미충족 의료 경험 영향 요인. 대한보건연구, 47(4), 135-147. DOI : 10.22900/kphr.2021.47.4.010. 

  22. 박효은.서인순(2019).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앤더슨 모형을 활용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8), 83-95. DOI : 10.15207/JKCS.2019.10.8.083. 

  23. 방하남.강신욱(2012). 취약계층의 객관적 정의 및 고용과 복지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24. 보건복지부(2019). 제2차 사회보장기본계획(2019-2023). 

  25. 보건복지부(2022a). 2022 의료급여사업안내. 

  26. 보건복지부(2022b). 2022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 지원사업 안내. 

  27. 손병돈(2019). 부양의무자 기준의 한계와 개선 방안. 보건복지포럼, 275, 32-45. 

  28. 송경신.이준협.임국환(2011).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관련 요인 분석. 대한보건연구, 37(1), 131-140. DOI : 10.22900/kphr.2011.37.1.011. 

  29. 송해연.박은철.최재우(2015). 한국 성인의 경제활동 참여변화가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 4·5차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보건행정학회지, 25(1), 11-21. DOI : 10.4332/KJHPA.2015.25.1.11. 

  30. 신성일.김영희(2013).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4(6), 3673-3690. DOI : 10.15703/kjc.14.6.201312.3673. 

  31. 신영전(2015). 미충족의료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의료정책포럼, 12(4), 71-77. 

  32. 신영전.손정인(2009). 미충족의료의 현황과 관련요인. 보건사회연구, 29(1), 111-142. DOI : 10.15709/hswr.2009.29.1.95. 

  33. 신한얼.고재인.심은혜.김홍수(2019). 한국 노인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의 체계적 고찰.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5(1), 29-52. 

  34. 신현웅(2009). 경제위기에 따른 의료빈곤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148, 33-42. 

  35. 신혜리.임예직.한기명(2014). 과부담의료비 지출이 미충족 의료경험에 미치는 영향: 민간의료보험가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2(3), 25-48. DOI : 10.22921/jrs.2014.22.3.002. 

  36. 유영미.김성희(2019).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지지와 친구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1), 1-16. 

  37. 이규식.정형선.황성완.최대봉.최보영.김희년.박신후(2017).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의료비 효율적 관리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용역 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사)건강복지정책연구원. 

  38. 이미영.조희금.최윤지(2016). 농촌독거노인의 생활안전서비스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43-60. 

  39. 이정욱(2020). 미충족 의료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9), 283-290. DOI : 10.5762/KAIS.2020.21.9.283. 

  40. 이주은.김태현(2014). 민간의료보험과 미충족 의료와의 관계. 보건정보통계학회지, 39(1), 91-104. 

  41. 이혜재.이태진(2015). 미충족의료와 비급여진료비가 과부담의료비 발생에 미치는 영향.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1(3), 55-79. 

  42. 이혜재.이태진.전보영.정영일(2009). 일반층과 저소득층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5(1), 79-106. 

  43. 이혜재.허순임(2017). 노인의 미충족 의료 경험의 결정요인: 가구 유형을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3(2), 85-108. 

  44. 임지혜(2013).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미충족 의료 현황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34, 237-256. 

  45. 장동열.류만희(2017).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방안 연구. 비판사회정책, 56, 167-204. 

  46. 장은하.홍석호(2020). 배우자 사별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령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2), 89-108. 

  47. 전해숙.강상경(2012). 연소노인과 고령노인 간 의료서비스 이용 예측요인의 연령차: 고령화 사회의 의료서비스에 주는 함의. 보건사회연구, 32(1), 28-57. DOI : 10.15709/hswr.2012.32.1.28. 

  48. 정세환.류재인(2015). 치과외래 이용의 변화추이 및 관련 요인 분석. 한국의료패널 심층분석보고서, 국민건강보험/한국보건사회연구원. 

  49. 정현우.이준협(2017). 과부담의료비 지출 경험이 경제적 이유에 의한 미충족의료 발생에 미치는 영향.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3(1), 27-51. 

  50. 최윤주.이원영(2015). 만성질환에 대한 의료보장 사각지대 연구-잠재적 빈곤가구의 미충족의료 및 과부담의료비 실증분석-. 한국사회정책, 22(4), 161-187. DOI : 10.17000/kspr.22.4.201512.161. 

  51. 최희영.류소연(2017). 우리나라 노인들의 미충족 의료 유형별 관련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1(2), 65-79. DOI : 10.12811/kshsm.2017.11.2.065. 

  52. 한경훈.김윤민.허선(2019). 비수급 빈곤층의 규모와 특징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정책, 65, 205-236. DOI : 10.47042/ACSW.2019.11.65.205. 

  5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54. 허선.김윤민(2018).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의 주요 쟁점과 과제. 비판사회정책, 61, 383-416. DOI : 10.47042/ACSW.2018.11.61.383. 

  55. 허선.유서구.김은정.이수진(2014). 복지사각지대 빈곤아동가구 현황분석 및 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56. 허순임.김수정(2007). 우리나라 성인의 미충족 의료 현황: 연령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3(2), 1-16. 

  57. 허순임.이혜재(2016). 미충족 의료 경험과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인식.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2(1), 59-89. 

  58. 홍성희(2016). 노인의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89-108. 

  59. 홍주연.김가중(2016).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9), 225-235. DOI : 10.5392/JKCA.2016.16.09.225. 

  60. 황도경(2020). 취약계층 의료보장 확대를 위한 정책 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393, 1-12. 

  61. 황도경.손병돈.신영석.박금령.서은원(2017). 의료 취약계층 의료지원 강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2. 황병덕.최령(2015). 노년기에 따른 미충족 의료 현황 및 관련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9(1), 81-93. DOI : 10.12811/kshsm.2015.9.1.081. 

  63. Aday, L. A. & Andersen, R.(1974).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access to medical care. Health Service Research, 9(3), 208-220. 

  64. Allin, S., Grignon, M. & Le Grand, J.(2010). Subjective unmet need and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in Canada: what are the equity implications?. Social Science & Medicine, 70(3), 465-472. DOI : 10.1016/j.socscimed.2009.10.027. 

  65. Andersen, R.(1995).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Does it matt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6(1), 1-10. DOI : 10.2307/2137284. 

  66. Andersen, R. & Newman, J. F.(1973).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Health and Society, 51, 95-124. DOI : 10.2307/3349613. 

  67. Cunningham, P. J. & Hadley, J.(2007). Differences between symptom-specific and general survey questions of unmet need in measuring insurance and racial/ethnic disparities in access to care. Medical Care, 45(9), 842-850. DOI : 10.1097/MLR.0b013e318053678f. 

  68. Katz, M. H., Cunningham, W. E., Mor, V., Andersen, R. M., Kellogg, T., Zierler, S., Crystal, S. C., Stein, M. D., Cylar, K., Bozzette, S. A. & Shapiro, M. F.(2000).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unmet need for supportive services among HIV-infected persons: impact of case management. Medical Care, 38(1), 58-69. DOI : 10.1097/00005650-200001000-00007. 

  69. Ko, H. S.(2016). Unmet healthcare needs and health status: Panel evidence from Korea. Health Policy, 120(6), 646-653. DOI : 10.1016/j.healthpol.2016.04.005. 

  70. Nelson, C. H. & Park, J.(2006). The nature and correlates of unmet health care needs in Ontario, Canada. Social Science & Medicine, 62(9), 2291-2300. DOI : 10.1016/j.socscimed.2005.10.014. 

  71. Newacheck, P. W., Hughes, D. C., Hung, Y. Y., Wong, S. & Stoddard, J. J.(2000). The unmet health needs of America's children. Pediatrics, 105(Supplement 3), 989-997. DOI : 10.1542/peds.105.S3.989. 

  72. OECD(2012). Quality review of the OECD database on household incomes and poverty and the OECD earnings database Part 1. http://www.oecd.org/els/soc/OECDIncomeDistributionQualityReview_PartI.pdf. 

  73. Sanson-Fisher, R., Girgis, A., Boyes, A., Bonevski, B., Burton, L., Cook, P. & Supportive Care Review Group (2000). The unmet supportive care needs of patients with cancer. Cancer, 88(1), 226-237. DOI : 10.1002/(SICI)1097-0142(20000101)88:1 3.0.CO;2-P. 

  74. Sibley, L. M. & Glazier, R. H.(2009). Reasons for selfreported unmet healthcare needs in Canada: a populationbased provincial comparison. Healthcare Policy, 5(1), 87-101. DOI : 10.12927/hcpol.2009.2093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