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 이후 자연복원과 인공복원 방법에 따른 식생회복 모니터링
Monitoring of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Natural and Artificial Restoration Methods After Forest Fire Damage Using Satellite Imagery 원문보기

현장농수산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and fisheries research, v.24 no.3, 2022년, pp.33 - 43  

황영인 (한국농수산대학교 작물산림학부) ,  강원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박기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이경철 (한국농수산대학교 작물산림학부) ,  한상균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권형근 (한국농수산대학교 작물산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vegetation recovery in the areas damaged by the forest fires on the east coast that occurred in April 2000. The study site was a forest fire-damaged area in Samcheok-si, Gangwon-do, and 21 monitoring areas (12 natural restoration sites, 9 artificial restoratio...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7)

  1. 김남균, 곽재환, 김만일. (2019). 산불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산불 대응 의사결정 트리 강화의 중요성 고찰.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 213-220. 

  2. 박성욱, 김형우, 이수진, 윤예슬, 김은숙, 임종환, 이양원. (2018).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Fully Convolutional Network 를 활용한 산림재해 피해지 탐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4), 87-101. 

  3. 성선용, 이동근, 김지연. (2015). Landsat 영상을 활용한 동해안 산불지역의 복원방법에 따른 식생변화 모니터링.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pp. 15-16).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 신형진, 하림, 박민지, 김성준. (2010). Estimation of spa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S NDVI and morton ET-For Chungjudam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1), 19-24. 

  5. 원명수, 구교상, 이명보. (2007). Landsat 영상으로부터 정규탄화지수 추출과 산불피해지역 및 피해강도의 정량적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80-92. 

  6. 원명수, 김경하, 이상우. (2014). SPOT5 영상과 현장조사 자료를 융합한 대형산불지역의 피해강도 분석.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2), 114-124. 

  7. 윤형진, 정종철. (2020). 기계학습을 이용한 Sentinel-2 산불피해등급 분류. 국토연구, 107-11 7. 

  8. 이규송, 정연숙, 김석철, 신승숙, 노찬호, 박상덕. (2004). 동해안 산불 피해지에서 산불 후 경과 년 수에 따른 식생 구조의 발달. 한국생태학회지, 27(2), 99-106. 

  9. 이시영, & 안상현. (2009). 지표화 산불피해지의 수종별 임목 고사율 비교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9(2), 39-43. 

  10. 이형석, 이시영. (2011).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in Korea.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5(5), 39-46. 

  11. 임주훈, 김정환, 배상원. (2012) 고성 산불피해지에서 소나무 치수의 자연복원 패턴,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4(4), 222-228. 

  12. 채희문, 엄기증, 이시영. (2011). CCGIS 를 활용한 강원도 산불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1, 123-130. 

  13. 최철순, 최승필. (1997). 인공위성 TM 영상을 이용한 고성 산불 피해지역의 추적조사. 한국측량학회지, 15, 215-219. 

  14. 산림청. (2021). 산불통계연보 

  15. Aquino, D. D. N., Rocha Neto, O. C. D., Moreira, M. A., Teixeira, A. D. S., Andrade, E. M. D. (2018). Use of remote sensing to identify areas at risk of degradation in the semi-arid region. Revista Ciencia Agronomica, 49, 420-429. 

  16. Franco, M. G., Mundo, I. A., Veblen, T. T. (2020). Field-validated burn-severity mapping in North Patagonian forests. Remote Sensing, 12(2), 214. 

  17. Garcia, M. L., Caselles, V. (1991). Mapping burns and natural reforestation using Thematic Mapper data. Geocarto International, 6(1), 31-37. 

  18. Lentile, L. B., Holden, Z. A., Smith, A. M., Falkowski, M. J., Hudak, A. T., Morgan, P., Benson, N. C. (2006). Remote sensing techniques to assess active fire characteristics and post-fire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5(3), 319-345. 

  19. Jones, M. W., Smith, A., Betts, R., Canadell, J. G., Prentice, I. C., Le Quere, C. (2020). Climate change increases the risk of wildfires. ScienceBrief Review, 116, 117. 

  20. Kasischke, E. S., Hoy, E. E., French, N. H. F., Turetsky, M. R. (2007). Post-fir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fire on the environment using remotely-sensed data. Towards an operational use of remote sensing in forest fire management, 38. 

  21. Key, C. H., Benson, N. C. (2006). Landscape assessment (LA). In: Lutes, Duncan C.; Keane, Robert E.; Caratti, John F.; Key, Carl H.; Benson, Nathan C.; Sutherland, Steve; Gangi, Larry J. 2006. FIREMON: Fire effects monitoring and inventory system. Gen. Tech. Rep. RMRS-GTR-164-CD. Fort Collins, CO: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p. LA-1-55, 164. 

  22. McKenna, P., Phinn, S., Erskine, P. D. (2018). Fire severity and vegetation recovery on mine site rehabilitation using WorldView-3 imagery. Fire, 1(2), 22. 

  23. Rouse Jr, J. W., Haas, R. H., Deering, D. W., Schell, J. A., Harlan, J. C. (1974). Monitoring the vernal advancement and retrogradation (green wave effect) of natural vegetation NASA, (No. E75-10354). 

  24. Ryu, J. H., Han, K. S., Hong, S., Park, N. W., Lee, Y. W., Cho, J. (2018). Satellite-based evaluation of the post-fire recovery process from the worst forest fire case in South Korea. Remote Sensing, 10(6), 918. 

  25. Stephens, S. L., Burrows, N., Buyantuyev, A., Gray, R. W., Keane, R. E., Kubian, R., Van Wagtendonk, J. W. (2014). Temperate and boreal forest mega-fires: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2(2), 115-122. 

  26. Weirather, M., Zeug, G., Schneider, T. (2018). Automated Delineation Of Wildfire Areas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ry. GI_Forum 2018,, 6, 251-262. 

  27.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https://www.usgs.gov/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