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NOS)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의 맥락에서-
The Characteristics of NOS Lessons by Science Teachers: In the Context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6 no.5, 2022년, pp.362 - 375  

김민환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신해민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노태희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NOS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이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의 수업에서 NOS를 가르치고 있는 과학교사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NOS 수업을 관찰하였고 수업의 전후에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적 귀납법과 지속적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OS에 대한 교사들의 전통적 관점이 수업 중에도 그대로 드러났으며 면담에서 현대적인 관점을 보이더라도 수업에서는 전통적인 관점으로 모순된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세 교사가 가르친 NOS의 영역은 다양하였으나 '잠정성'은 모두 가르쳤으며 이를 중요한 목표로 생각하였다. 교사들은 주로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내용으로 NOS를 가르치고자 하여 NOS 교수는 교사의 전공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미지의 탐구 대상을 추론함으로써 NOS를 학습하는 활동에서 활동의 규칙과 달리 탐구 대상을 공개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이 오히려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NOS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NOS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거나 제한된 방법으로만 평가를 실시하는 등 평가에서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교육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cience teachers' NOS lessons were obser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ssons were analyzed. Three science teachers who taught NOS in the 'Science Inquiry Experiment'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NOS lessons were observed and interv...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NOS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현대적인 관점을 갖지 못한 영역을 수업에서 다룰 경우 이들의 관점이 수업 중의 교수 활동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실험의 도입을 기회로 삼아 학교 현장에서 NOS 수업을 실행하고 있는 과학교사의 NOS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관련 연구가 부족한 국내의 연구 상황에 맞게 구체적인 분석 관점과 분석틀 등을 이용하기보다는 이들의 NOS 수업 전반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Project 2061: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1993. 

  2.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2011. 

  3. Olson, J. K. Science & Education 2018, 27, 637. 

  4. NGSS Lead States (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2013. 

  5. McComas, W. F.; Nouri, 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16, 27, 555. 

  6. Song, J.; Kang, S.-J.; Kwak, Y.; Kim, D.; Kim, S.; Na, J.; Do, J.-H.; Min, B.-G.; Park, S. C.; Bae, S.-M.; Son, Y.-A.; Son, J. W.; Oh, P. S.; Lee, J.-K.; Lee, H. J.; Ihm, H.; Jeong, D. H.; Jung, J. H.; Kim, J.; Joung, Y.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9, 39, 465. 

  7. Schwartz, R. S.; Lederman, N. 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2, 39, 205. 

  8. Deniz, H.; Adibelli, 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5, 45, 867. 

  9. Abd-El-Khalick, F.; Lederman, N. 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 665. 

  10. Lederman, N. 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9, 36, 916. 

  11. Lee, J.; Park, Y.; Jung, 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2016, 9, 217. 

  12.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2015. 

  13. Yang, S. Analysis of Representations of Nature of Science and Categorization of Reflective Activities in 'Scientific Inquiry and Experimentation' Textbooks: Focusing on 'Scientific Inquiry in the History' chapter.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February 2019. 

  14. Byun, T.; Baek, J.; Shim, H.-P.; Lee, 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9, 39, 669. 

  15. Kwak, 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2020, 13, 53. 

  16. Kwak, Y.; Shin, Y. Biology Education 2021, 49, 205. 

  17. Kwak, Y.; Shin, 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21, 45, 143. 

  18. Cho, 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0, 20, 21. 

  19. Hanuscin, D. L.; Lee, M. H.; Akerson, V. L. Science Education 2011, 95, 145. 

  20. Bartos, S. A.; Lederman, N. 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4, 51, 1150. 

  21. Herman, B. C.; Clough, M. P.; Olson, J. K. Science Education 2013, 97, 271. 

  22. Wahbeh, N.; Abd-El-Khalick, F.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4, 36, 425. 

  23. Demirdogen, B.; Hanuscin, D. L.; Uzuntiryaki-Kondakci, E.; Koseoglu, 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6, 46, 575. 

  24. Mesci, G.; Schwartz, R. S.; Pleasants, B. A. S. Science & Education 2020, 29, 263. 

  25. Kim, J.-Y.; Jeon, E.-K.; Paik, S.-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7, 27, 809. 

  26.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Schwartz, R.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2, 39, 497. 

  27. French, M. School Science Review 2012, 94, 15. 

  28. Lederman, N. G.; Abd-El-Khalick, F.; Lederman, J. S. In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Instruction; McComas W. F., Ed.; Springer: Cham, Switzerland, 2020; p 295. 

  29. Bogdan, R. C.; Biklen, S. K.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Allyn & Bacon: Needham Heights, MA, U.S.A., 2006. 

  30. Strauss, A. L.; Corbin, J. M.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Inc.: Los Angeles, CA, U.S.A., 1998. 

  31. Han, J.-S.; Chung, Y.-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97, 17, 119. 

  32. Lim, S.-M.; Cheong, W.-Y.; Yang, I.-H.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0, 34, 396. 

  33. Han, S.; Choi, S.; Noh, 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2, 32, 82. 

  34. Noh, T.; Yoon, M.; Han, J.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9, 53, 355. 

  35. Leden, L.; Hansson, L.; Redfors, A.; Ideland, M. Science & Education 2015, 24, 1141. 

  36. Shin, Y.; Choi, B.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2, 32, 1599. 

  37. Eoum, H.; Moon, 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2014, 7, 203. 

  38. Yoon, H.; Yoon, W.; Woo, A.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2011, 15, 757. 

  39. Supprakob, S.; Faikhamta, C.; Suwanruji, P.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6, 17, 1067. 

  40. Lee, B.; Shim. K.-C.; Shin, M.-K.; Kim. J.; Choi, J.; Park, E.; Yoon, J.; Kwon, Y.; Kim, 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3, 33, 7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