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일기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 유형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Views on Nature of Science (NOS) Appeared i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Journal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6 no.1, 2023년, pp.30 - 42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  신정윤 (대전배울초등학교)

초록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과학 일기를 양적·질적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이 지닌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의 특징과 그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범주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13명이 쓴 과학 일기 112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과학의 본성 4가지 영역의 연구 개념틀을 이용하여 영역별 빈도수를 분석하였고, VNOS-C 검사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변화 양상을 귀납적으로 도출하여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과학 일기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은 과학의 사고적 본성, 지식적 본성, STS적 본성, 탐구적 본성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서술되었으나 그 중 과학의 사고적 본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과학의 탐구적 본성이 가장 낮은 비율로 기술되었다. 과학 지식의 가변성, 경험적 증거의 중요성, 과학의 긍정적·부정적 작용에 대해서는 특히 집중적으로 언급되었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변화 양상은 '고전적 관점 유지형', '현대적 관점 유지형', '회귀형', '발전형', '혼재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과학 지식의 경험적 본성' 요소는 학생에 따라 변화 양상이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 지식의 잠정성에 대해서는 현대적 관점을 여러 회기 동안 유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 science journals written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categorize the view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process of their change. For this purpose, 112 science journals written by 13 pre-service eleme...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8)

  1. 김상호, 이영희(2016). 탐구적 과학글쓰기(SWH)에 나타난 교사들의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인식 탐구.?생물교육, 44(3), 538-554. 

  2. 김선영(2016). 생물 교수 맥락 내에서 예비 생물교사의?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 지식의 구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47-158. 

  3. 김선영, 신길수(2017). 예비 생물교사를 대상으로 생물?학사를 활용한 과학의 본성 함양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현장과학교육, 11(2), 192-203. 

  4. 김희정, 김성원(2013).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66-283. 

  5.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6. 남윤경(2019). 초임 과학교사들의 교직 첫 3개월간의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302-314. 

  7. 박은우, 이영희(2016).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차세대 과학기준(NGSS)의 과학?실천 요소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6(8), 419-438. 

  8. 박재현, 박재용(2022). 초등학생용 과학의 본성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토. 초등과학교육, 41(4), 701-724. 

  9. 박희진, 권난주(2008). 초등학생의 과학일기 유형 분석?및 일기 쓰기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519-526. 

  10. 백성혜, 남초이(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인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과학철학, 13(1), 83-107. 

  11. 서동현, 이영희, 조헌국(2017). 특성화고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NOS) 이해를 위한 과학기술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41(1), 60-79. 

  12. 양일호, 한기갑, 최현동, 오창호, 조현준(2005). 초등 신규 교사의 과학 본성에 대한 신념. 초등과학교육,?24(4), 360-379. 

  13. 윤지영, 백성혜(2015). 과학의 본성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산과 염기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1(2), 26-42. 

  14. 이봉우, 김희경(2008). 과학일기 쓰기를 통한 중학교 학생들의 '생활 속 과학하기' 분석. 중등교육연구,?56(2), 273-300. 

  15.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2005).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26(5), 376-386. 

  16. 이영희(2013). A proposal of inclusive framework of the?Nature of Science (NOS) based on the 4 themes of?scientific literacy for K-12 school science.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3), 553-568. 

  17. 이영희(2014). 우리나라 생명과학 관련 분야 재미 과학자들은 어떻게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있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77-691. 

  18. 임성만, 정운영, 양일호(2010). 초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교수태도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4(2), 396-404. 

  19. 임청환, 김현정, 이성호(2004).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3(4),?297-304. 

  20. 장명덕(2018).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대한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55-62. 

  21. 정윤숙, 김성원(2015). 과학 관련 사회쟁점 학습을 통한?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전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95-905. 

  22. 조은진(2020). 일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의 본성에 관한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41(3),?273-290. 

  23.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a). Improving?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of Science Education, 22(7), 665-701. 

  24.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b). The influence of history of science courses on students' views?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1057-1095. 

  25.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82(4), 417-436. 

  26. Akerson, V. L., Abd-El-Khalick, F., & Lederman, N. G.?(2000). Influence of a reflective explicit activity-based?approach 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295-317. 

  27. Brunner, J. L., & Abd-El-Khalick, F. (2020). Improving nature of science instruction in elementary classes with?modified science trade books and educative curriculum?materia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57(2), 154-183. 

  28.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175-218. 

  29. Corbin, J. M., & Strauss, A. (1990).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Qualitative Sociology, 13(1), 3-21. 

  30. Cowan, J. (2014). Noteworthy matters for attention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ctive Learning in Higher?Education, 15(1), 53-64. 

  31.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str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2nd ed.). New York:?McGraw-Hill. 

  32. Gaigher, E., Lederman, N., & Lederman, J. (2014). Knowledge?about inquiry: A study in South African high schools.?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8),?3125-3147. 

  33. Gibson, H. L., Bernhard, J., Kropf, A., Ramirez, M. A.,?& Van Strat, G. A. (2001). Enhancing the science 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use of reflective?journals. Postsecondary Education(ED), Washington,?DC. 

  34. Hodson, D. (2014). Learning science, learning about science, doing science: Different goals demand different?learning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Education, 36(15), 2534-2553. 

  35. Khishfe, R. (2014). Explicit nature of science and argumentation instruction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issues: An effect on student learning and transfer.?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6),?974-1016. 

  36. Lederman, N. G. (2007).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and futur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831-879).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7. Lederman, N. G., & Lederman, J. S. (2019). Teaching and?learning of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Building capacity through systematic research-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Science Teacher Education, 30(7), 737-762. 

  38.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497-521. 

  39. Lederman, N. G., Antink, A., & Bartos, S. (2014). Nature?of science, scientific inquiry, and socio-scientific issues arising from genetics: A pathway to developing?a scientifically literate citizenry. Science & Education,?23(2), 285-302. 

  40. McDonald, C. V. (2010). The influence of explicit nature?of science and argumentation instruction on preservice?primary teach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9), 1137-1164. 

  41.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Teaching, 29(4), 389-407. 

  42.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6). National science?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Washington, DC, USA. 

  43. Palmquist, B. C., & Finley, F. N. (1997).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during a postbaccalaureate science teaching program.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Teaching, 34(6), 595-615. 

  44. Sandoval, W. A. (2005).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al?epistem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learning through?inquiry. Science Education, 89(4), 634-656. 

  45.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Science Education, 88(4), 610-645. 

  46. Shapiro, B. L. (1996). A case study of change in elementary?student teacher thinking during an independent investigation in science: Learning about the "face of science?that does not yet know". Science Education, 80(5),?535-560. 

  47. Simmons, P. E., Emory, A., Carter, T., Coker, T., Finnegan,?B., Crockett, D., ... & Labuda, K. (1999). Beginning?teachers: Beliefs and classroom actions.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Teaching, 36(8), 930-954. 

  48. Zhu, Y., & Tang, A. (2023). An analysis of the nature of?science represented in Chinese middle school chemistry textbook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Education, 1-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