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비교 연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 강의평가 사례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Learner Satisfaction according to Instructional Mode -Case Analysis of Lecture Evaluation of the Same Course by the Same Instructo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0, 2022년, pp.778 - 787  

최임숙 (배재대학교 교직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설계 및 교수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 자료를 얻기 위하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에 대한 서로 다른 수업 유형의 강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콘텐츠 수업, 온라인 실시간 수업, 온라인과 대면 혼합 수업, 대면 수업 등 4가지 수업 유형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강의 진행 적절성에 대한 강의 평가 영역에서 수업 유형별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온라인 실시간 수업 유형에서의 강의 진행에 대한 만족도가 콘텐츠 수업, 혼합 수업, 대면 수업의 만족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서술형 강의 평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콘텐츠 수업에서는 쉽게 이해 가능하고 재미있는 설명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경우, 학생들은 철저한 준비와 원활한 소통에 만족한다고 평가하였다. 혼합 수업에서는 체계적 수업과 열정적 강의에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대면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의 즐거움과 교수자의 열정을 만족도의 주된 이유로 표현하였다. 네 가지 수업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만족도 특성은 교수자의 열정이라고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각각의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설계와 교수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basic data in relation to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ing strategy according to instructional mod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articipants evaluated the qualities of the instructions they attended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were compared according to...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3)

  1. 박혜정, 최명숙, 이규민, "가상강좌 강의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제19권, 제2호, pp.203-223, 2006. 

  2. 한신일,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의 관련요인 분석-교수, 학생, 수업관련요인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19권, 제4호, pp.247-266, 2001. 

  3. 최금진, 권성연, 김은정, 박일수, "대학 강의평가 운영에 대한 교수 인식 분석-A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415-437, 2018. 

  4. P. A. Cohen, "Effectiveness of student rating feedback for improving college instruction: A meta-analysis of finding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13, No.4, pp.321-341, 1980. 

  5. 최윤희, 윤린,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및 타당도 연구 - H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6권, 제1호, pp.25-49, 2020. 

  6. 이후희, 이상수, 이수상, 김은정, "대학 서술형 강의평가 자료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2호, pp.237-262, 2018. 

  7. 박노진, "핵심 문항들을 활용한 모델링-강의 평가 자료를 활용한 사례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0권, 제6호, pp.1075-1083, 2009. 

  8. D. D. Dill, Toward a system of educational quality control, In R. Haskins, & D. Macae (Eds.), Policies for America's Public School: Teachers, Equality, Indicators. NJ: Norwood, 1998. 

  9. P. T. Ewell, "Assessment and public accountability: Back to the future," Change, Vol.23, No.6, pp.12-17, 1991. 

  10. 양미경, "학생의 평정에 의거한 대학 강의평가의 의의와 한계," 교육원리연구, 제13권, 제1호, pp.93-122, 2008. 

  11. A. A. Eric,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teacher effectiveness: are student ratings reliable and valid?," Higher education, Vol.16, No.3, pp.267-278, 1987. 

  12. 김동심, 이명화, 이영선, "고등교육에서의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34권, 제4호, pp.901-927, 2018. 

  13. J. Broadbent and W. L Po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higher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s: A systematic review,"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27, pp.1-13, 2015. 

  14. 김지영, 김은지, "비대면 수업상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K대학을 중심으로," 사고개발, 제17권, 제1호, pp.31-57, 2021. 

  15. T. F. McManus, "Individualizing instruction in a Web-based hypermedia learning environment: Nonlinearity, advance organizers, and self-regulated learners,"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Vol.11, No.2, pp.219-251, 2000. 

  16. P. R. Pintrich, R. Roeser, and E. De Groot, "Classroom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early adolescents'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14, No.2, pp.139-161, 1994. 

  17. 김한나,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수업 유형에 따른 사범학부 학생들의 강의만족도와 학습효과 연구: 동영상 제작 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169-193, 2021. 

  18. 최임숙, 권정, 김화선, 강미경, "수업형태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연구-대면 수업, 콘텐츠 수업,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대학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2호, pp.129-153, 2021. 

  19. 이한샘, 서은희, "대학의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수업의 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7호, pp.440-447, 2021. 

  20. 한진희,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서의 학습자 수업 만족도 연구," 문화기술의 융합, 제7권, 제3호, pp.173-178, 2021. 

  21. 박은혜, 성지훈,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탐색 : 기독교교육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제64권, pp.203-235, 2020. 

  22. 임철일, 김민지, 박주현, 배유진, 염지윤, "대학에서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 유형별 수업설계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공학연구, 제37권, 제2호, pp.459-488, 2021. 

  23. 이광현, "대학강의평가 과연 신뢰할 수 있는가?: A교수의 동일강좌의 강의평가점수에 대한 사례 분석," 지방교육경영, 제21권, 제1호, pp.1-20,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