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DIS와 ASOS 자료를 이용한 식물계절 모델링
Modeling of Vegetation Phenology Using MODIS and ASOS Dat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5 pt.1, 2022년, pp.627 - 646  

김근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윤유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강종구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최소연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박강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천정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장근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이양원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와 관련된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으며 평균 기온 또한 상승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온도에 민감한 다양한 생물과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생태계의 변화 역시 감지되고 있다. 계절은 그 지역에 사는 생물의 종류, 분포, 생육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다. 기후 변화 영향 평가의 지표 중 가장 대중적이고 쉽게 인식될 수 있는 식물 계절 중 개화일과 단풍나무 절정일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에 사용된 식물의 종류에는 봄을 대표하는 식물로 볼 수 있는 개나리와 벚나무, 가을을 대표하는 식물로 볼 수 있는 단풍 나무와 은행 나무를 사용하였다. 모델링을 수행할 때 사용된 기상 자료로는 기상청의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 관측소를 통해서 관측된 기온, 강수, 일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개나리, 벚나무의 개화일과 약 -0.2, 은행나무, 단풍나무의 단풍 절정일과 약 0.3 정도의 상관 계수를 가지는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식생지수를 사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모델로는 선형 모델인 다중 회귀 모형과, 비선형 모델인 Random Forest (RF)를 사용하여 모델을 수립하였다. 또한 각 모형으로 추정된 예측 값을 공간 내삽 기법을 이용하여 등치 선도로 2003~2020년의 식물 계절 변화 경향 성을 표현하였다. 향후에 높은 시공간 해상도를 가지는 식생지수를 사용한다면 더 높은 식물 계절 모델링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related problems caused by global warming is growing,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s also rising. As a result, it is affecting the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temperature-sensitive creatures and creatures live, and changes in the ecosystem are also being ...

주제어

표/그림 (2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위의 강수, 일사 변수와 식물 계절 DOY와의 상관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Table 2와 Table 3과 같았다. 각 식물 계절 시기마다 상관계수가 높은 강수, 일사 변수를 사용하였는데, 개화일의 경우 3개월 평균 강수량을 단풍 절정일의 경우 누적 강수량을 사용하였고, 일사량의 경우 개화일과 단풍 절정일 모두 누적 일사량이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음으로 누적 일사량을 사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 전에 수행된 식물 계절 모델링 연구에서는 기상 또는 위성 자료만을 활용하여 식물 계절 모델링을 수행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온을 통해서 평균 온도, 적산 온도, GDD, CDD 등 기온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기온 변수를 식물 계절 모델링에 사용하였다. 또한 기상 자료에 사용에 있어서 기온만을 이용하지 않고 강수, 일사 등의 영향력을 알아보고 식물 계절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상 자료만을 사용하여 식물 계절 모델링을 하지 않고 식생의 상태를 나타내는 위성으로부터 산출된 NDVI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나리, 벚나무의 개화, 단풍나무와 은행나무의 절정 등 다양한 식물 계절에 대한 적합한 모델을 수립하기 위해서 선형모델인 다중회귀와 비선형 RF 모델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상 및 식생 상태를 고려하여 우리나라를 추정하기 위해 기온과, 강수, 일사, NDVI 자료를 활용하여 식물 계절 시기 추정 모델을 수립하고 식물 계절 시기 격자 자료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서 전반적인 벚나무와 개나리의 개화 시기는 앞당겨지고 있었고, 단풍나무와 은행나무의 절정 시기는 늦어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 식물 계절 현상은 다양한 기상 인자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후 변화 영양 평가의 지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온 외의 기상 인자로 강수와 일사를 사용하여 식물 계절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ASOS를 통해 측정된 기상 요소는 기온 외에도 강수, 바람, 기압, 습도, 일사, 일조, 눈, 지면 상태, 증발량 등이 있는데 그중 강수와 일사를 이용해서 개화일의 경우 1월에서 3월의 평균 강수, 일사량.
  •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물 계절 관측이 이루어진 지점의 일평균 기온 계산한 다음 이를 활용하여 각 식물 계절 시기에 맞는 온도 변수를 산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리깅 기반의 ASOS 식물 계절 격자 지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각 식물 계절의 관측치와, 벚나무와 개나리의 경우 MLR 모형의 추정치를, 단풍나무와 은행나무의 단풍 절정일의 경우 RF 추정치를 사용하였다.
  • 이를 통해서 전반적인 벚나무와 개나리의 개화 시기는 앞당겨지고 있었고, 단풍나무와 은행나무의 절정 시기는 늦어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전에 수행된 식물 계절 모델링 연구에서는 기상 또는 위성 자료만을 활용하여 식물 계절 모델링을 수행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온을 통해서 평균 온도, 적산 온도, GDD, CDD 등 기온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기온 변수를 식물 계절 모델링에 사용하였다. 또한 기상 자료에 사용에 있어서 기온만을 이용하지 않고 강수, 일사 등의 영향력을 알아보고 식물 계절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 식물 계절 시기와 기온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식물 계절 시기를 추정하는 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ASOS 기상 관측 장비를 통해 측정된 기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온 관측소의 위치는 식물 계절 관측 위치와 동일 함으로 Fig.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봄철 식물 계절 관측 목 중 봄을 대표하는 식물인 벚나무와 개나리를 선정하였으며 주로 4월에 개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봄의 계절 현상으로는 개화일을 선정하였다 가을철 계절 관측 목으로는 단풍나무와 은행나무를 선정하였으며, 가을 식물 계절 현상으로 단풍 절정일을 선정하여 모델링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봄철 식물 계절 관측 목 중 봄을 대표하는 식물인 벚나무와 개나리를 선정하였으며 주로 4월에 개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봄의 계절 현상으로는 개화일을 선정하였다 가을철 계절 관측 목으로는 단풍나무와 은행나무를 선정하였으며, 가을 식물 계절 현상으로 단풍 절정일을 선정하여 모델링 하였다. 식물 계절 관측의 위치는 Fig.

데이터처리

  • Fig. 3은 2월과 3월의 평균 온도와 4월 NDVI를 사용해 선형, 비선형 모델을 수립하고 산출된 추정치와 관측치를 비교한 것이다. 이러한 모델링을 통해 벚나무 개화일을 3.

이론/모형

  • 또한 기상 자료에 사용에 있어서 기온만을 이용하지 않고 강수, 일사 등의 영향력을 알아보고 식물 계절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상 자료만을 사용하여 식물 계절 모델링을 하지 않고 식생의 상태를 나타내는 위성으로부터 산출된 NDVI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나리, 벚나무의 개화, 단풍나무와 은행나무의 절정 등 다양한 식물 계절에 대한 적합한 모델을 수립하기 위해서 선형모델인 다중회귀와 비선형 RF 모델을 사용하였다. 벚나무 개화일 모델의 경우 CC=0.
  •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변수조합에 의한 모델링이 추가적으로 시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모델을 통해서 산출된 지점추정치를 크리깅 내삽법을 사용하여 공간 연속면으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상자료 외에도 고도와 위도 같은 지형정보를 사용한다면 조금 더 높은 정확도의 모델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일사량 자료는 실제로 관측되는 데이터가 적어서 모델을 수립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양으로 판단되어, 데이터의 양이 더 많아진다면 더 높은 정확도의 모델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tkinson, P.M., C. Jeganathan, J. Dash, and C. Atzberger, 2012. Inter-comparison of four models for smoothing satellite sensor time-series data to estimate vegetation phenolog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23: 400-417. https://doi.org/10.1016/j.rse.2012.04.001 

  2. Beck, P.S.A., C. Atzberger, K.A. Hogda, B. Johansen, and A.K. Skidmore, 2006. Improved monitoring of vegetation dynamics at very high latitudes: A new method using MODIS NDVI,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0(3): 321-334. https://doi.org/10.1016/j.rse.2005.10.021 

  3. Breiman, L.,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45(1): 5-32. 

  4. Choi, C.H. and S.G. Jung, 2014. Analysis of the MODISbased vegetation phenology using the HANTS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3): 20-38.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3.020 

  5. Choi, J.Y., U. Chung, and J. I. Yun, 2003. Urban-effect correction to improve accuracy of spatially interpolated temperature estimates in Kore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2(12): 1711-1719. https://doi.org/10.1175/1520-0450(2003)042%3C1711:UCTIAO%3E2.0.CO;2 

  6. David, G., G.G. Douglas, and C.S. Raymond, 2003. Climate Variability and Ecosystem Response at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s,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7. Edwards, M. and A.J. Richardson, 2004. Impact of climate change on marine pelagic phenology and trophic mismatch, Nature, 430: 881-884. https://doi.org/10.1038/nature02808 

  8. Fisher, J.I., J.F. Mustard, and A. Vadeboncoeur, 2006. Green leaf phenology at Landsat resolution: Scaling from the field to the satellit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0(2): 265-279. https://doi.org/10.1016/j.rse.2005.10.022 

  9. Hmimina, G., E. Dufrene, J. Y. Pontailler, N. Delpierre, M. Aubinet, B. Caquet, A. de Grandcourt, B. Burban, C. Flechard, A. Granier, P. Gross, B. Heinesch, B. Longdoz, C. Moureaux, J.-M. Ourcival, S. Rambal, L. Saint Andre, and K. Soudani, 2013.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MODIS satellite data to predict vegetation phenology in different biomes: An investigation using ground-based NDVI measuremen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32: 145-158. https://doi.org/10.1016/j.rse.2013.01.010 

  10. Jeong, Y.M., S.B. Cho, Y.J. Youn, S.Y. Kim, G.A. Kim, J.G. Kang, D.G. Lee, U. Chung, and Y.W. Lee, 2021. Kriging of daily PM 10 concentration from the Air Korea stations nationwide and the accuracy assessmen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7(3): 379-3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1.37.3.2 

  11. Kim, J.H., 2019. A Study on Vegetation Phenology of South Korea Temperate Forest between 2009-2017,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2. Kim, N.S., H.C. Lee, and J.Y. Cha, 2013. A study on changes of phe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using MODIS imag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5): 56-69.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5.059 

  13. Ku, C.Y., Y.H. Shin, J.W. Lee, and H.S. Kim, 2012. The study on the grid size regarding spatial interpolation for local climate map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6(4): 489-500. 

  14. Lee, B., E. Kim, J. Lee, J.-M. Chung, and J.H. Kim, 2018. Detecting phenology using MODIS vegetation indices and forest type map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4(2-1): 267-2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8.34.2.1.9 

  15. Lee, K.M., W.T. Kwon, and S.H. Lee, 2009. A study on plant phenological trend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5(3): 337-350. 

  16. Mitas, L. and H. Mitasova, 1999. Spatial interpolation, In: Longley, P., Goodchild, M., Maguire, D., Rhind, D. (ed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Principles, Techniques, Management and Applications, Wiley, London, UK, pp. 481-492. 

  17. Moulin, S., N. Kergoat, N. Viovy, and G. Dedieu, 1997. Global-scale assessment of vegetation phonology using NOAA/AVHRR satellite measurements, Journal of Climate, 10(6): 1154-1170. https://dx.doi.org/10.1175/1520-0442(1997)010%3C1154:GSAOVP%3E2.0.CO;2 

  18. Reed, B.C., J.F. Brown, D. Vanderaee, T.R. Loveland, J.W. Merchant, and D.O. Ohlen, 1994. Measuring phenological variability from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5(5): 703-714. https://doi.org/10.2307/3235884 

  19. Sakamoto, T., M. Yokozawa, H. Toritani, M. Shibayama, N. Ishitsuka, and H. Ohno, 2005. A crop phenology detection method using time-series MODIS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6(3-4): 366-374. https://doi.org/10.1016/j.rse.2005.03.008 

  20. Schwartz, M.D. and B.E. Reiter, 2000. Changes in North American sp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0(8): 929-932. https://doi.org/10.1002/1097-0088(20000630)20:8%3C929::AID-JOC557%3E3.0.CO;2-5 

  21. Schwartz, M.D. and G.A. Marotz, 1986. An approach to examining regional atmosphere-plant interactions with phenological data, Journal of Biogeography, 13: 551-560. https://doi.org/10.2307/2844818 

  22. Soudani, K., G. le Maire, E. Dufrene, C. Francois, N. Delpierre, E. Ulrich, and S. Cecchini, 2008. Evaluation of the onset of green-up in temperate deciduous broadleaf forests derived from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5): 2643-2655. https://doi.org/10.1016/j.rse.2007.12.004 

  23. Tan, B., F. Gao, R.E. Wolfe, J. Nightingale, J.A.Pedelty, J.T. Morisette, and G.A. Ederer, 2011. An enhanced TIMESAT algorithm for estimating vegetation phenology metrics from MODIS data,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4(2): 361-371. https://doi.org/10.1109/JSTARS.2010.2075916 

  24. Tricart, J. and C. KiewietdeJonge, 1992. Ecogeography and Rural Management: A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Geosphere-Biosphere Programme, Longman Group, Harlow, UK. 

  25. Youn, Y.J., S.Y. Kim, Y.M. Jeong, S.B. Cho, and Y.W. Lee, 2020. Evaluation of the DCT-PLS method for spatial gap filling of gridded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6-1): 1409-14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20.36.6.1.10 

  26. Zhang, X., M.A. Friedl, C.B. Schaaf, and A.H. Strahler, 2004. Climate controls on vegetation phenological patterns in northern mid-and high latitudes inferred from MODIS data, Global Change Biology, 10(7): 1133-1145. https://doi.org/10.1111/j.1529-8817.2003.00784.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