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딥러닝 기반 연기추출을 위한 구름 데이터셋의 전이학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ransferring Cloud Dataset for Smoke Extraction Based on Deep Learning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5 pt.2, 2022년, pp.695 - 706  

김지용 (서울대학교 스마트도시공학) ,  곽태홍 (서울대학교 스마트도시공학) ,  김용일 (서울대학교 스마트도시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 고해상도 광학위성은 산불발생지역의 탐지에 대해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산불과 함께 발생하는 연기는 지표에 입사하는 가시광선을 산란시키므로 산불발생지역의 모니터링에 방해가 되며 따라서 연기를 사전에 추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딥러닝 기술은 연기추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학습용 데이터셋의 부족으로 인해 적용에 한계가 있다. 반면에 연기와 유사하게 가시광선을 산란시키는 성질을 지닌 구름은 현재까지 다량의 학습용 데이터셋이 축적되었다. 본 연구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연기추출을 고도화하는 것이 그 목적이며, 그 과정에서 데이터셋의 부족에 따른 연기추출의 한계점을 구름을 활용한 전이학습으로 해결했다. 전이학습의 효율성 확인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Landsat-8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연기추출 학습용 데이터셋을 소규모로 제작한 후, 공공 구름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전이학습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연기추출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시광선 파장대역 뿐만이 아니라 근적외선(NIR)과 단파장 적외선(SWIR) 영역에도 전이학습시 성능이 뚜렷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연기추출의 데이터셋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가 연기추출의 고도화를 통해서 산불발생지역의 모니터링에 이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dium and high-resolution optical satellites have proven their effectiveness in detecting wildfire areas. However, smoke plumes generated by wildfire scatter visible light incidents on the surface, thereby interrupting accurate monitoring of the area where wildfire occurs. Therefore, a technology t...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불 모니터링을 위한 전처리 과정의 일환으로 딥러닝 기반의 연기 추출 기술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다량의 데이터셋이 존재하는 구름 데이터셋을 이용한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을 이용하여 연기추출을 위한 학습용 공공 데이터셋의 부재를 극복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전이학습 적용 전, 후의 연기추출 성능을 각각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한 연기추출 고도화의 한계점인 학습용 데이터셋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 구름추출 학습용 공공 데이터셋을 이용하였다. 해당 데이터셋을 모델에 사전학습한 후 연기 데이터셋을 학습하여 연기추출로 수렴시키는 전이학습을 이용했으며, 전이학습을 적용한 전후를 비교하여 구름을 활용한 전이학습이 연기추출에 효율적인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ughes, M.J. and R. Kennedy, 2019. High-quality cloud masking of Landsat 8 imagery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Remote Sensing, 11(21): 2591. https://doi.org/10.3390/rs11212591 

  2. Irons, J.R., J.L. Dwyer, and J.A. Barsi, 2012. The next Landsat satellite: The Landsat Data Continuity Miss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22: 11-21. https://doi.org/10.1016/j.rse.2011.08.026 

  3. Khan, S., K. Muhammad, T. Hussain, J.D. Ser, F. Cuzzolin, S. Bhattacharyya, Z. Akhtar, and V.H.C. de Albuquerque, 2021. DeepSmoke: Deep learning model for smoke detection and segmentation in outdoor environment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182: 115125. https://doi.org/10.1016/j.eswa.2021.115125 

  4. Li, X., J. Wang, W. Song, J. Ma, L. Telesca, and Y. Zhang, 2014. Automatic smoke detection in MODIS satellite data based on k-means clustering and Fisher linear discriminatio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80(10): 971-982. https://doi.org/10.14358/PERS.80.10.971. 

  5. Li, X., W. Song, L. Lian, and X. Wei, 2015. Forest fire smoke detection using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based on MODIS data, Remote Sensing, 7(4): 4473-4498. https://doi.org/10.3390/rs70404473 

  6. Li, Z., A. Khananian, R. H. Fraser, and J. Cihlar, 2001. Automatic detection of fire smok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threshold approaches applied to AVHRR imagery,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9(9): 1859. https://doi.org/10.1109/36.951076 

  7. Long, J., E. Shelhamer, and T. Darrell, 2015.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arXiv preprint arXiv:1411.4038. https://doi.org/10.48550/arXiv.1411.4038 

  8. Mohajerani, S. and P. Saeedi, 2019. Cloud-Net: An endto-end cloud detection algorithm for Landsat 8 imagery, arXiv preprint arXiv:1901.10077. https://doi.org/10.48550/arXiv.1901.10077 

  9. Mommert, M., M. Sigel, M. Neuhausler, L. Scheibenreif, and D. Borth, 2020. Characterization of industrial smoke plumes from remote sensing data, arXiv preprint arXiv:2011.11344. https://doi.org/10.48550/arXiv.2011.11344 

  10. Ronneberger, O., P. Fischer, and T. Brox, 2015. U-Net: convolutional networks for biomedical image segmentation, In: Navab, N., Hornegger, J., Wells, W., Frangi, A. (eds), Medical Image 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 - MICCAI 2015, Springer, Cham, Switzerland, pp. 234-241. https://doi.org/10.1007/978-3-319-24574-4_28 

  11. Wang, A.X., C. Tran, N. Desai, D. Lobell, and S. Ermon, 2018. Deep transfer learning for crop yield prediction with remote sensing data, Proc. of the 1st ACM SIGCAS Conference on Computing and Sustainable Societies, Menlo Park and San Jose, CA, Jun. 20-22, vol. 50, pp. 1-5. https://doi.org/10.1145/3209811.3212707 

  12. Wang, Z., P. Yang, H. Liang, C. Zheng, J. Yin, Y. Tian, and W. Cui, 2021. Semantic segmentation and analysis on sensitive parameters of forest fire smoke using Smoke-Unet and Landsat-8 imagery, Remote Sensing, 14(1): 45. https://doi.org/10.3390/rs14010045 

  13. Wen, J. and M. Burke, 2021. Wildfire smoke plume segmentation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imagery, arXiv preprint arXiv:2109.01637. https://doi.org/10.48550/arXiv.2109.01637 

  14. Xie, M., N. Jean, M. Burke, D. Lobell, and S. Ermon, 2016. Transfer learning from deep features for remote sensing and poverty mapping, arXiv preprint arXiv:1510.00098. https://doi.org/10.48550/arXiv.1510.00098 

  15. Xie, Y., J.J. Qu, X. Xiong, X. Hao, N. Che, and W. Sommers, 2007. Smoke plume detection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using MODI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0): 2367-2374. https://doi.org/10.1080/01431160701236795 

  16. Yuan, F., L. Zhang, X. Xia, B. Wan, Q. Huang, and X. Li, 2019. Deep smoke segmentation, Neurocomputing, 357: 248-260. https://doi.org/10.48550/arXiv.1809.007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