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파르트헤이트 시기의 대항기억과 재생산된 기록의 역사 담론 전시 『Rise and Fall of Apartheid : Photography and the Bureaucracy of Everyday Life』를 중심으로
The Counter-memory and a Historical Discourse of Reproduced Records in the Apartheid Period : Focusing on 『Rise and Fall of Apartheid: Photography and the Bureaucracy of Everyday Life』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74, 2022년, pp.45 - 78  

이혜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인종분리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를 1948년부터 1994년까지 시행했다. 이 정책의 주요 내용은 백인과 인도인, 혼혈인, 흑인 등 인종을 계급화하고, 계층에 따라 거주지와 개인 재산 소유, 경제적 활동 등 모든 사회적 행위를 제한하는 것이었다. 백인을 제외한 모든 인종이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받았고, 탄압받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시민들은 무차별한 폭력을 일삼는 정부에 저항하였고, 이들을 지탄하는 여론은 지역 사회를 넘어 세계 곳곳으로 확대되었다. 이를 가능하게 한 것 중 하나는 폭력 현장을 자세히 기록한 사진 이미지들이다. 민중 탄압을 포착했던 외신 기자들은 물론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의 사진작가들은 개인의 차원에서 소외되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을 기록하는데 몰두했다. 이들이 현실을 알리려는 의지가 없었고 실제로 이를 사진으로 기록하지 않았다면, 많은 사람이 인종 차별로 기인한 사태의 참혹함을 알지 못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아파르트헤이트의 여러 단면을 포착해 그와 관련한 여러 기록을 전시한 『Rise and Fall of Apartheid: Photography and the Bureaucracy of Everyday Life』를 주목하고, 사진에서 묘사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자행된 인종 차별의 면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전시는 아파르트헤이트가 시작된 1948년부터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잘못된 역사관을 바로잡으려는 진실화해위원회가 출범한 1995년까지의 시기를 다룬다. 전시에 출품된 수많은 사진은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피터 마구베네(Peter Magubane), 이안 베리(Ian Berry), 데이비드 골드블라트(David Goldblatt), 산투 모포켕(Santu Mofokeng) 등이 촬영한 것으로, 다양한 아카이브를 비롯한 박물관, 미술관, 언론 매체의 소장품이다. 전시에 출품된 사진들은 일차적으로는 사진작가들의 작업 결과물이다. 사진 작품인 동시에 1960년대 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과거를 증명하는 매체이지만 역사학이나 기록학적인 관점보다는 사진사와 미술사의 영역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하지만 전시된 사진들은 기록물로서의 특성이 있고, 그 안에 담긴 맥락 정보는 역사를 다양한 시각으로 되짚어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연구된 영역에서 확대하여 다양한 시선으로 당대를 살펴보고, 이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시에서 선보인 사진 작품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공식 기록에 포함되지 않은 사건과 사람을 증명하고 서술한다. 이런 점은 보통 사람들의 기억, 개인의 기록을 통해 사회적으로 소외된 인물과 사건을 역사적 공백으로 편입시키고, 여러 매체로 재생산되어 기록 생산의 맥락을 강화하고 확산시킨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uth Africa implemented apartheid from 1948 to 1994. The main content of this policy was to classify races such as whites, Indians, mixed-race people, and blacks, and to limit all social activities, including residence, personal property ownership, and economic activities, depending on the class. A...

주제어

표/그림 (17)

참고문헌 (32)

  1. Anthea Josias (2011). Toward an Understanding of Archives as a Feature of Collective Memory. Archival Science, 11, 95-112. 

  2. Dodd Alexandra (2015). "Live Transmission" : Intimate Ancestors in Santu Mofokeng's "Black Photo Album/Look at Me : 1890-1950". African Arts, 48(2), 52-63. 

  3. Feizel Mamdoo (2018). The Dynamic of Context, Cahiers d'Etudes Africaines, 58, 399-428, 

  4. Gary Baines (2007). The Master Narrative of South Africa's Liberation Struggle: Remembering and Forgetting June 16, 1976,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frican Historical Studies, 40(2), 283-302. 

  5. Okwui Enwezor (2013). Rise and fall of apartheid : photography and the bureaucracy of everyday life. International Center of Photography. 

  6. Patricia Hayes (2007). Power, Secrecy, Proximity A History of South African Photography. Kronos : Journal of Cape History, 33(1), 139-162. 

  7. V. P. Franklin (2003). Patterns of Student Activism at Historically Black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Africa, 1960-1977. The Journal of African American History, 88(2), 204-217. 

  8. 김광수 (2018).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 갈등과 화해 그리고 공존을 향한 "평화개념" 맥락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우분투(Ubuntu)와 진실과화해위원회(TRC)를 중심으로. 한국아프리카학회지, 53, 3-43. 

  9. 김상미 (2011). 전쟁관련 사진전에 나타난 공식기억의 양상과 분단이미지 : 기록과 예술의 매체로서의 사진. 인문과학, 47, 171-203. 

  10. 김성희 (2019). 근현대 사진기록의 기록학적 가치인식 및 이용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0(2), 245-261. 

  11. 박가영 (2020).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 유산으로서 거주와 언어 불평등 담론. 민주평화연구, 3(1), 145-166. 

  12. 배은경.박주석 (2009). 사진기록의 평가기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 79-102. 

  13. 손은희 (2005). 남아프리카공화국 민주정부의 고찰, 1994-2004.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 해외지역학 전공. 

  14. 신동희 (2016).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 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1), 41-59. 

  15. 심재중 (2007). 아프리카와 흑인의 이미지 : 18~19세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불어문화권연구」, 17, 107-128. 

  16.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17. 이경래 (2015). 과거사 집단기억과 '아카이브 정의'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의 동시대적 재구성. 기록학연구, 46, 5-44. 

  18. 이경래.이광석 (2017).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3, 45-77. 

  19. 이광수 (2015). 김기찬의 '골목 안 풍경' 사진을 통해 본 골목 공동체 미시사(微視史)의 가능성과 의미. 역사와 경제, 97, 321-344. 

  20. 이한규 (2002).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화해 과정과 그 의미. 4.3과 역사, 2, 247-278. 

  21. 임희연 (2008). 과거사위원회 기록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방안. 기록학연구, 17, 247-292. 

  22. 장선희 (2017). Santu Mofokeng's The Black Photo Album-Look at Me : 1890-195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46, 247-269. 

  23. 장용규 (2000). 아프리카의 정체성 위기와 흑인의식. 한국아프리카학회지, 12, 22-55. 

  24. 장원석 (2017). 남아프리카공화국 진실화해위원회와 회복적 정의론. 정치와 평론, 21, 115-143. 

  25. 정은진 (2018). 오쿠이 엔위저(Okwui Enwezor)의 탈식민주의 전시 담론 : 「도쿠멘타 11」 (2002)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미학미술사학과 미학미술사학전공. 

  26. 조화성 (1999). 포커스 : 넬슨 만델라의 화해의 삶. 민족연구, 30, 125-130. 

  27. 탁장한 (2020). 추방된 쪽방촌 도시빈민의 대항기억 탐구 : 진보언론보도와 빈민운동기록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20(1), 169-219. 

  28. 하상복 (2016). 프란츠 파농과 스티브 비코 : 탈식민 흑인의식의 연대와 확산. 인문사회과학연구, 17(2), 183-213. 

  29. Aryn Baker (2016). This Photo Galvanized the World Against Apartheid. Here's the Story Behind It. 검색일자 : 2022년 9월 1일 https://time.com/4365138/soweto-anniversary-photograph/ 

  30.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 https://www.sahistory.org.za 검색일자 : 2022년 9월 1일 

  31. Baileys African Hostory Archive : https://www.baha.co.za 검색일자 : 2022년 9월 13일 

  32. 「Time」 : Soweto Uprising: The Story Behind Sam Nzima's Photograph 검색일자 : 2022년 10월 1일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