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기반의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 영향요인 도출
Derivation of Factors Affecting Demand for Use of Dockless Shared Bicycles Based on Big Data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3 no.3, 2023년, pp.353 - 362  

김숙희 (수원시정연구원) ,  김형준 (아우토크립트(주) 모빌리티사업본부) ,  신혜영 (수원시정연구원) ,  이현경 (수원시정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에 도입되었던 dockless형 공유자전거인 모바이크의 이용자 빅데이터에 대한 이용현황 및 이용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9년 수원시의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 데이터를 구득하였고, 이를 동별로 정리하였다. 동별로 선정된 영향요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전거 이용수요가 많은 지역 또는 인접한 지역의 자전거도로 연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10-30대 인구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전거도로 정비율이 높고 택지지구 인근의 대규모 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이 밀집된 지역과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공유자전거 이용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회귀분석 모델 분석 결과, 자전거 겸용도로(비분리), 동별 10-30대 인구, 철도역 수, 상업시설 수, 산업시설 수, 초·중·고 학교 수가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시민이 dockless형 공유자전거를 이용하고 싶어 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 결과는 향후 dockless형 공유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자료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the usag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user big data of Mobike, a dockless bike sharing service introduced in Suwon city, were analyz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demand for dockless bike sharing service. For analysis, usage...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4)

  1. Cho, B. Y. and Yoon, Y. C. (2017). "A study on the influential?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 Focused on 'Tashu' in Daejeon?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Chungnam?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28, No. 1,?pp. 155-174 (in Korean). 

  2. Do, M. and Noh, Y. S. (2014). "Analysis of the affecting factors on?the bike-sharing demand focused on Daejeon City." KSCE?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34, No. 5, pp. 1517-1524 (in Korean). 

  3. Efthymiou, D., Antoniou, C. and Wassell, P. (2013). "Factors?affecting the adoption of vehicle sharing systems by young?drivers." Journal of Transport Policy, Vol. 29, pp. 64-73. 

  4. Jang, A. Y. and Lee, H. (2018). "Impact factors on using of factors?that affect the using of bicycle sharing service -Focusing on?consumer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DAEHAN?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p. 129 (in Korean). 

  5. Kim, S. H. (2018). Operation status and promotional task in?Dockless Bicycle Sharing System in Suwon (Presentation?material) (in Korean). 

  6. Kim, S. H. (2018). "The improvement plan of dockless bicycle?sharing system in suwon using satisfaction survey." Suwon?Research Institute. 

  7. Kim, S. H., Oh, S. C. and Choi, K. C. (2019). "Bike travel pattern?analysis for station free bike sharing system in Suwon." Journal?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7, No. 2, pp. 110-123?(in Korean). 

  8. Lee, J. H., Jeong, G. O. and Shin, H. C. (2016). "Impact analysis of?weather condition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usage of public bike sharing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Transportation, Vol. 34, No. 5, pp. 394-408 (in Korean). 

  9. Lee, J. Y. and Lim, Y. T. (2010). "The establishment of B-TOD?concept and setting up transit access distance by cycling."?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taion, Vol. 45, No. 6, pp.?149-160 (in Korean). 

  10. Lee, K. J. and Choi, K. C. (2010). "A bike mode share estimation?model and analysis of the bike demand factor effects." Journal of?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3, pp. 145-155 (in Korean). 

  11. Ricci, M. (2015). "Bike sharing : A review of evidence on impacts?and processes of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Research in?Transportation Business & Management, Vol. 15, pp. 28-38. 

  12. Shin, H., Kim, D. and Joung, S. (2012). "Impact Analysis on?Bike-Sharing and Its Improvement Plan." The Korea Transport?Institute (in Korean). 

  13. Yu, S., Xiaohu, Z. and Jinhua, Z. (2018). "Understanding the usage?of dockless bike sharing in Singapore." International Journal of?Sustainable Transportation, Vol. 12, No. 9, pp. 686-700. 

  14. Yang, X., Dachi, C., Xiaohu, Z., Wei, T., Yuanyang, C., Yu, S. and?Carlo, R. (2019). "Unravel the landscape and pulses of cycling?activities from a dockless bike-sharing system." Computers,?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75, pp. 184-20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