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유산의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 등재기준 적용 연구 - 천연기념물 노거수와 당산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OECMs) for Natural Heritage - Focusing on the Old Big Trees of Natural Monument and Dangsan Ritual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3, 2022년, pp.1 - 9  

전다슬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  신현실 (우석대학교 부설 정원고고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화재청의 국가유산 체계상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천연기념물 식물 노거수를 중심으로 OECMs 관련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발굴결정인자를 비교 검토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기관에서 각 보호목적에 따라 지정·관리되는 보호지역들 가운데 이미 육상지역은 포화상태로 2030 생물다양성목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전수단인 OECMs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OECMs은 현재 내 보전의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장기성과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통치되고 관리되는 보호지역이 아닌 지리적으로 정의된 지역(CBD, 2018)으로 지정기준의 단어선택이나 적용기준의 범위, 해석의 맥락은 각기 다를 수 밖에 없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의 상황에 맞는 OECMs의 관련 법령을 따로 제정하고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천연기념물 식물의 OECMs 지정기준 검토 결과 최종 58개소가 발굴되었고. OECMs지정 기준 중 중요한 요소는 완충구역은 지정구역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어 일정의 면적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상업생산을 통한 경제활동이 일어나지 않고 생물다양성의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는 것이다. 잠재자원 중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과 같이 지형적으로 격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지역과 삼척 궁촌리 음나무와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숲과 같은 수림지 유형처럼 완충구역의 생물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는 완전성이 보장된 경우로 총 23개소로 분석되었다. 천연기념물 식물의 OECMs 적용기준 검토 결과 생물다양성의 충족가치 중에 전통용도로서의 기능이 특화되어 있었으며 생태계 서비스와 문화·영적인 가치를 한국의 독특한 문화인 노거수와 당산제 문화를 통해 계승하고 있었다. 이는 생물다양성 지정기준 측면에서 새로운 생물종의 발굴없이도 인간과 자연의 생태계 네트워크 연결에 중요한 요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recognition determinants by applying the OECMs criteria, focusing on old big trees, plant of natural monument that are natural heritage under the national heritage system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r...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42)

  1. 관계부처합동(2018)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2019-2023).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7).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IUCN 카테고리 채택에 따른 관리방안 연구-국립공원을 중심으로. 

  3. 국립수목원(2021). GSPC2030에 따른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정책 방향 연구. 

  4. 김보현(2012). 한국보호지역 관리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5. 김효정(2012). 한국의 유네스코 자연성지 잠재자원 현황과 특성-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유산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1) : 492-501. 

  6. 류광수, 최재용, 신현탁(2011).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리효과성 평가 적용. 산림과학. 27(3): 205-210. 

  7. 박용하 외(2012). 보호지역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관리-지역의 생태, 경제, 사회적 특이성을 기반으로 한 접근. 

  8. 산림청, 산림정책연구원(2007). 산림보호지역 지정 및 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9. 심윤진 외(2022). Post-2020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OECMs) 후보지역 유형 검토.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5(1): 11-23. 

  10.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6). 국가 해양생물다양성 전략 수립 연구. 

  11. 허학영(2006). 자연환경 보호지역의 적응형 관리를 위한 관리효과성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2. 허학영(2012). 우리나라 국토 및 환경 분야 중장기 국가계획의 보호지역 관련 내용 고찰 - "생물다양성협약 2011-2020 전략목표" 및 "보호지역 결정문" 내용을 중심으로-. 환경정책연구. 11(4): 3-37. 

  13. 허학영(2020). Post-2020 국가 보호지역 목표 설정을 위한 국제동향 고찰 - 생물다양성협약 결정문 및 글로벌 목표 성취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4(6) : 601-609. 

  14. 허학영, 권헌교(2012), 우리나라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 고찰.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6(4) : 41-57. 

  15. 허학영, 안동만(2005). 자연환경 보호지역의 관리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관리효율성 평가기법 고찰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45 : 3-21. 

  16. 허학영 외(2017). 잠재 보호지역 발굴을 통한 국가 보호지역 확대 방안 - 보호지역 부합성에 대한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1(6) : 586-594. 

  17. 홍진표(2017).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 향상 방안 연구, 환경논총. 60 : 152-153. 

  18. 홍진표(2017).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 향상 방안 연구 :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OECMs)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 홍진표, 심윤진, 허학영(2017). 국가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OECMs)의 발굴.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0(6): 93-105. 

  20. 한국보호지역포럼(2012). 자연성지 보호지역 관리자를 위한 가이드 라인. 

  21. 환경부(2007). 생태계 보호지역 지정기준의 객관화 연구. 

  22. 환경부(2022). 국가보호지역 등재 현황(2021.12.31. 기준). 

  23. Alves-Pinto, H 외(2021).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other biodiversity conservation. Perspectives in Ecology and Conservation. 19 : 115 - 120. 

  24. CBD 결정문 14/8 (CBD/COP/DEC/14/8). 

  25. Chengxin, Z(2015). Study on Valu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Village and Its Protection Strateg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onomics, Social Science, Arts, Education and Management Engineering. 

  26. IUCN(2008). Defining Protected Areas. 

  27. IUCN(2008). IUCN 보호지역 카테고리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28. IUCN(2008, 2013). Guidelines for Applying the IUCN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29. IUCN(2012). Guidelines for Applying the IUCN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to Marine Protected Areas. 

  30. IUCN(2016). 국제보호지역 통합 관리 체계. 

  31. IUCN(2019). 국립공원공단(2021).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의 승인 및 보고. 

  32. IUCN(2019). Recognising and reporting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33. Jonas, H. D 외(2014). New steps of change: Looking beyond protected areas to consider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Parks. 20(2): 111-128. 

  34. Jonas, H. and K. MacKinno(2015). Task force on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Discussion paper : Framing the issues. 

  35. Jules, P(2009). The Intersections of Biologic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Towards Integration. Conservation & Society. 7(2): 100-112. 

  36. Laffoley, D., and D. MacKinnon(2015). A Brief Examination of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and what they meanfor Protected Area'. MPA News. 16(5). 

  37. Natalie, E. C(2014). Biodiversity, cultural pathways, and human health_a framework.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9(4): 198-204. 

  38. UNDP(2022). Criteria and Guidelines for Identifying Other Effective Area Based Conservation Measures (OECMs) in India. 

  39.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40. 문화재 공간정보 서비스(https://gis-heritage.go.kr/main.do) 

  41. KDPA 내 보호지역 등재 현황(http://www.kdpa.kr) 

  42. WDPA (https://www.protectedplanet.net/en/thematic-areas/wdpa?tabWDP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