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 수립을 위한 OECMs의 가능성 탐구 - 당산목과 당산제를 중심으로 -
Exploring Other Effective Conservation Measures (OECMs) for Natural Heritage Sites - Focusing on the Dansanmok and Dansanje in Establishing the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3, 2023년, pp.27 - 46  

이다영 (한국문화콘텐츠시각화연구소(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 및 행동계획(NBSAP)을 수립하기 위해 자연유산에 OECMs(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을 적용하는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자연유산 중 하나인 천연기념물 당산목과 관련된 생태적 특성과 문화적 특성을 조사하고 수집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보전 가치를 확인하였고 IUCN의 개별 평가 도구 기준에 따라 대상지인 당산목이 당산제를 통해 지역공동체를 반영한 OECM으로 지정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당산목과 당산제는 후보 OECM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되며,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NBSAP) 수립을 위한 전략에 있어서는 문화재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당산나무 할아버지 제도'와 '자연유산 민속행사 국고지원사업' 등이 지역 공동체를 자발적으로 참여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NBSAP) 수립을 위한 국가별 지표로서 당산목과 같은 자연성지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2030년 목표와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위한 2050년 목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OECMs) to natural heritage sites that are not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for the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Action Plan (NBSAP). First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ecological and cultural ch...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34)

  1. 환경부,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마무리 

  2.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3. CBD(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2010). COP10 Decision?X/2 :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4. 여윤상(2022). 향후 마련될 부산의 생물다양성 전략 실행력 높일 수 있는 방안 우선 고려. 부산발전포럼. 198, pp.130-135. 

  5. 홍진표, 심윤진, 허학영(2017). 국가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OECMs)의 발굴.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환경복원기술). 20(6): 93-105. 

  6. 제5차 지구생물다양성전망 주요 성과(2020.9.15.), Fifth Global?Biodiversity Outlook Focuses on Eight Transition Areas. 

  7. 박선주, 허학영, 박미선(2022).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 수단(OECM) 으로서 기업의 자연 보전 활동.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2(2): 21-21. 

  8. 허학영(2020). Post-2020 국가 보호지역 목표 설정을 위한 국제동향 고찰- 생물다양성협약 결정문 및 글로벌 목표 성취현황 분석을 중심으로.?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6): 601-609 

  9. CBD 결정문 14/8 (CBD/COP/DEC/14/8) CBD. 2018. Protected?areas and other effective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Decision14/8). https://www.cbd.int/doc/decisions/cop-14/cop-14-dec-08-en.pdf 

  10. 환경부,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수립을 위한 대국민 토론회 

  11. Tanaka, T.(2019). Governance for protected areas ''beyond the?boundary''-a conceptual framework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in the anthropocene. Charting environmental law futures in the?Anthropocene. 71-79. 

  12. Tanaka, T., & Takashina, N.(2023). Governance paradox:?implications from Japan's national parks for managing complex?protected areas. Sustainability Science. 1-13. 

  13. IUCN-WCPA Task Force on OECMs.(2019). Recognising and?reporting other effective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Gland,Switzerland: IUCN 

  14. IUCN-WCPA OECM 특별대책팀(2021).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의 승인 및 보고. Gland, Switzerland: IUCN. 

  15. 세계자연기금에서의 OECMs 소개(https://www.worldwildlife.org/stories/oecms-a-new-paradigm-for-area-based-conservation) 

  16. 심윤진 외(2022). Post-2020 국가 보호지역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타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 (OECMs) 후보지역 유형 검토.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환경복원기술). 25(1): 11-23. 

  17. WDPA 세계 보호지역 현황(https://www.protectedplanet.net/en) 

  18. 전다슬, 신현실(2022). 자연유산의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등재기준 적용 연구-천연기념물 노거수와 당산제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0(3): 1-9. 

  19. 김재웅, 김승민(2014).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위한 기초연구-명승,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191-200. 

  20. 강명혜(2017). 강원 산간 지역의 동제 (洞祭) 양상 및 특성: 산신제, 성황제, 거리제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6(1): 3-29. 

  21.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main/?v1696844141267 

  22. 문화재청(2010). 이야기 옷을 입은 경북 문화재 기행, 문화유산 활용을?위한 이야기소스 발굴 용역. 

  23. 손지원 외(2017). 천연기념물 (식물) 의 유형 및 지정기준 변화에 대한?비교 고찰. 문화재. 50(2): 26-39. 

  24. Dudley, N., Bhagwat, S., Higgins-Zogib, L., Lassen, B.,?Verschuuren, B., & Wild, R.(2012). Conservation of biodiversity?in sacred natural sites in Asia and Africa: a review of the?scientific literature. Sacred natural sites: 19-32. 

  25. Matallana-Tobon, C. L., Santamaria, M., Areiza, A., Tapias, C.?S., & Galan, S.(2018). RETHINKING NATURE CONSERVATION?IN COLOMBIA: A CASE STUDY OF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Parks. 24: 89-98. 

  26. Zannini, P., Frascaroli, F., Nascimbene, J., Persico, A.,?Halley, J. M., Stara, K., ... & Chiarucci, A.(2021). Sacred?natural sites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a systematic?review.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30(13): 3747-3762. 

  27. 최재웅, 김동엽, 이창환(2015). 세계유산 자연성지 잠재지로서의 부안군 격포리 일원 당산숲의경관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2): 103-114. 

  28. Kuiper, E., & Bryn, A.(2013). Forest regrowth and cultural?heritage sites in Norway and along the Norwegian St Olav?pilgrim rou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diversity Science,?Ecosystem Services & Management. 9(1): 54-64. 

  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30. 정명철, 최유정, 이상영(2014). 동제의 명칭과 신격에 따른 문화권 설정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21-121. 

  31. 문화재청, 제1회 당산나무 할아버지 전국대회 개최소식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3349§ionIdb_sec_1&pageIndex1&pageUnit10&strWhere&strValue&sdate&edate&category&mnNS_01_02) 

  32. 울진 산불 속에서 500년 된 향나무 지켜낸 이 사람, 농민신문 https://www.nongmin.com/article/20220516355622 

  33. 문화재청, 2023년 자연유산 민속행사 지원사업 71건 발굴.지원 보도?(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3906§ionIdb_sec_1&pageIndex18&strWhere&strValue&mnNS_01_02) 

  34. 이성경, 신용운(2021). 국내 천연기념물 멸실신고로 본 자연유산 현황.?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2): 50-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