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 및 교직윤리의식의 매개효과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Role Performance in Nursery School :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ing Eth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6, 2022년, pp.365 - 371  

김미송 (자연나라 어린이집) ,  신승연 (평택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이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MOS 2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수행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은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조직문화와 교직윤리의식을 순차적으로 거쳐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장의 서번트리더십뿐만 아니라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f directors on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in nursery school with examination of how perceptions of a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ing ethics of teachers inter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role performance of tea...

주제어

참고문헌 (20)

  1. J.H. Ho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v Stress, Attributional Type,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and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2019 

  2. H.S. Ryu and J.J. Kim,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re Competencies for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11, No. .6, pp. 1743-1758, 2020. 

  3. Y.O. Kim,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Chilcare Teachers: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luture, Doctoral dissertation, Anyang University, Anyang, 2020. 

  4. S.J. Lee and S.H. Park, "The Effect of Modern Leadership Styl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 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6, No.1, pp.201-207, 2020. 

  5. E.J. Kim, "The Effect of Child Car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the Effect fo Child Care Teachers on Flourishing", J 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rch, Vo. 13, No. 3, pp. 79-98, 2020. 

  6. G.Y. Kim, The Relationship with Servant Leadership of Child Center Principal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Joy Satisfaction, Master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2017. 

  7. Y.J. Jung, Child-care House Teacher-perceived President's Servantship on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Their Dedication as a Mediator, Doctoral dissertation,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Seoul, 2015. 

  8. J.S. Bae, Human Value Creation, Seoul: Hong Moon Sa, 2012. 

  9. J.H. Ahn and H.J. Yu, "The Study of Child 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 9, No. 3, pp. 25-40, 2009. 

  10. D.Y. Park,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Typ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ss by Taekwondo Leaders", The J ournal of Korean Alliance of Martial Arts, Vol. 13, No. 2, pp.161-175, 21011. 

  11. J.H. Sohn, The Effect of the Servant Leadership of Kindergarten Director on Teachers' Work Engagement: Mediator Analysis of the Culture of Kindergarten and Moderating Analy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 University, Daegu, 2019. 

  12. H.J. Kim and H.A. Seo,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Efficacy, Professional Ethics in Teaching, and Role Performance of Child Care Teachers", Child Educatonal Research, Vol. 39, No. 3, pp. 89-114, 2019. 

  13. L. Burton, J. Peachey, & J. Wells, "The Role of Servant Leadership in Developing an Ethical Climate in Sport Organizations, J ournal of Sport Management, 31(3), pp. 229-240, 2017. 

  14. S. Sendjaya & A. Pekerti,Servant Leadership as Antecedent of Trust in Organizations",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31(7), pp. 643-663, 2010. 

  15. B. Victor & J. Cullen, "The Organizational Bases of Ethical Work Climat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y, 33(1), 101-125, 1988. 

  16. H.K. Yoo and S.S.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ole Q-tes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rach and Review, Vol. 4, No. 1, pp. 25-27, 2000. 

  17. E.H. Kim, A study on determinants to child care teachers' performance, Master thesis, Yeonsei University, Seoul, 2016. 

  18. J. Barbuto and D. Wheeler, "Scale Development and Construct Clarification of Servant Leadership",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1(3), 301-303, 2006. 

  19. J.A. Kim,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Perceived by Child Care Practitioners,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University, Seoul, 2015. 

  20. H.J. Kim, A Study on the Analysis of Structual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Personality, Teaching Efficacy, Teaching Ethics, and Role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Pusan,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