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화천유역 장기 수질모니터링을 통한 수질평가 연구
Water quality evaluation research through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in Seohwa Stream Watershed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4 no.4, 2022년, pp.256 - 267  

갈병석 ((주)다온솔루션) ,  박재범 ((주)다온솔루션) ,  문현생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조소현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주용은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민경옥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청호 상류에 있는 서화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난 5년간 측정된 장기간의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수질 현황 및 추세를 분석하였다. 서화천 유역은 대청호의 녹조 발생 감소 및 수질 개선을 위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상수원 수질 관리를 위해서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 현재 수질 평가는 수질 관리 지점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며 좋은물 등급과 통합수질지수(Water Quality Index, WQI)를 사용하였다. 추세 평가는 Mann-Kendall test와 Sen's Slope를 이용하여 수질 개선사업을 통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현재는 수질지수를 통해 수질 관리가 필요한 유역과 시기를 확인하였으며 추세분석을 통해 개선사업으로 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 수질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수질 현황 및 개선 효과를 검토할 수 있어 향후 비슷한 유형의 유역에서 적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water quality using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measured over the past 5 years in the Seohwacheon Basin, located upstream of Daecheong Lake. In the Seohwacheon Basin, a project is underway to reduce the occurrence of algal blooms in the...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유역에서의 수질 관리를 위하여 현재 수질은 좋은물 기준과 수질지수로 평가하여 유역 내에서 수질이 좋지 않은 유역 선정 및 월별 평가를 통해 수질 관리가 필요한 시기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장기 추세 분석을 통해 유역에서 진행된 수질 개선대책으로 인한 영향 효과를 확인하여 향후 유역 내 수질 관리 대책 수립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측정된 수질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좋은물 기준과 수질지수를 통해 현재 수질 현황을 평가하고 통계기법을 통해 수질 경향성을 평가하였다. 수질지수는 단일 항목의 수질값보다 여러 가지 수질 항목들을 지수화하여 평가함으로써 보다 유역에서의 수질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향후 유역에서의 수질관리에 활용성이 크리라 판단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측정된 수질 모니터링 자료에 대하여 현재 유역의 수질평가와 수질저감 대책에 따른 수질변화 경향을 평가하여 대책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적합한지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CME. 2001, Canadian water quality guidelines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CCME Water Quality Index 1.0. ser's manual. In: Canadian Environmental quality guidelines.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Winnipeg. Manitoba. 

  2. Cho, Y.C., Park, M.J., Shin, K.Y., Choi, H.M., Kim, S.H., Yu, S.J. 2019a, A Study on Grade Classification for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in the Han River Watershed Tributaries.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 28(3): 215-230. 

  3. Cho, H.S., Son, J.Y., Kim, G.D., Shin, M.C., Cho, Y.C., Shin, K.S., Yu, S.J. 2019b,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Using Long-term Monitoring Data of Water Quality in Paldang Lake.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 28(2): 83-100. 

  4. Hirsch, R.M., Slack J.R. 1984. A nonparametric trend test for seasonal data with serial dependence, Water Resources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6): 727-732 

  5. Jung, K.Y., Kim, M.J., Song, K.D., Seo, K.O., Hong, S.J., Chom S.H., Lee, Y.J., Kim, K.H. 2018, A Nonparametric Long-Term Trend Analysis Using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in Nam-River. Journal of Environment Science International, 27(11): 1029-1048. 

  6. Kal, B.S., Park, J.B., Kim, S.H., In, T.H. 2017, Assessment of tributary water quality using integrated Water Quality Index.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26(5): 796-801. 

  7. Kendall, M.G. 1975. Rank correlation methods, Charles Griffin, London 

  8. Kim, J.H., Chae, M.H., Yoon, J.H., Seok, K.S. 2021, Water Quality Similarity Evaluation in Geum River Using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Data.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 30(2): 75-88. 

  9. Kim J.H. 2001.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stream quality in Nakdong River,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J.M., Jeong, H.G., Kim, H.R., Kim, Y.S., Yang, D.S. 2020, A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y Using Water Environment Network Data in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 29(1): 61-77. 

  11. Kim, S.Y., 2008. Application of Mann-Kendall method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of Geum river, Master's Thesis, Hanbat National University, Daejeon Metropolitan City. 

  12.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13, 245-249. 

  13. NIER(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Real time Water Quality data system construction and database enhancement(I). 

  14. Shin, S.H., Im, T.H., Kim, S.H., Shin, D.S., Kown, H.G. 2018, Consideration in applying Korean-Comprehensive Water Quality Index(K-CWQI) to assessement of water quality in the major tributaries of Gumho-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18(2): 455-465. 

  15. USEPA(Uni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76, Quality criteria for water.(263943). Office of Water Planning and Standards, Washington, DC. 

  16.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ecology. 2002, http://www.ecy.wa.gov/programs/eap/fw_riv/docs/WQIOverview.html 

  17. Yu, J.H., Lee, H.S., Lim, B.R., Kang, J.H., Ahn, T.U., Shin, H.S. 2020, Analysis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in the Mainstream and Its Tributaries of Gongneung Stream Using Water Quality Index and Pollution Load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6(2): 125-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