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R. speratus kyushuensis) 피해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ermite(R. speratus kyushuensis) Damage to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5 no.2, 2022년, pp.102 - 111  

김시현 (국립문화재연구원 안전방재연구실)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흰개미사회성 곤충의 일종으로 목조건축문화재의 주요 손상 원인 중 하나이다. 흰개미 피해는 문화재의 원형 가치와 구조적 안정성을 저해하므로 흰개미 피해가 발생하기 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목조건축문화재 흰개미 피해 예방을 위한 기초 연구로, 전국에 분포한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 362건(국보 25건, 보물 157건, 국가민속문화재 180건), 1,104동을 대상으로 국립문화재연구원이 2016~2019년 실시한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를 통해 각 문화재별 흰개미 피해 현황을 정성적·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62건 중 317건(87.6%)의 문화재에서 흰개미 탐지견의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185건(51.1%)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흰개미 피해가 나타났고 두 방법(탐지견, 육안 조사) 중 하나라도 피해가 확인된 대상은 324건(89.5%)에 달했다. 1,104동의 건물 중 668동(60.5%)에서 흰개미 탐지견의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339동(30.7%)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흰개미 피해가 나타났고 두 방법 중 하나라도 피해가 확인된 대상은 702동(63.6%)에 달했다. 전국을 9개 지역(수도권·강원·충북·충남권·전북·전남·경북권·경남권·제주)으로 구분하여 흰개미 피해율과 각 문화재의 피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지역에서 70% 이상의 문화재들이 흰개미 탐지견 반응이 나타났으며 육안 피해는 수도권(32.1%)과 강원(21.4%)이 적고 충남권(65.6%), 전남(67.3%), 경남권(68.2%)이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총 부재 중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부재의 비율로 각 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정도를 정량화한 결과 전국 문화재의 평균 흰개미 피해 정도는 9.2%로 나타났으며, 각 지역별 분산분석 결과 전북.전남의 문화재들은 수도권·충북·경북권의 문화재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흰개미 피해 정도가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해 전국의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 흰개미 피해 현황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는 향후 문화재 보존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rmites are a group of social insects that are one of the primary causes of damage to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Since termite damage impairs the authenticity and structural stability of cultural heritage, it is imperative to prevent it. This study examines the extent of termite damage to woode...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5)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a,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강원도」, pp.11~245.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b,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경주」, pp.11~242.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c,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대전, 제주」, pp.10~94.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d,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전라남도」, pp.17~606.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e, 「2016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전라북도」, pp.11~305. 

  6.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a, 「2017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안동」, pp.15~361.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b, 「2017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상남도」, pp.10~231. 

  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c, 「2017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상북도」, pp.22~775. 

  9.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a,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기, 인천」, pp.10~221. 

  10.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b,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경북, 대구, 부산」, pp.10~249. 

  1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c,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pp.8~226. 

  1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d,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충남」, pp.12~351.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e, 「2018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충북, 대전, 세종」, pp.10~250. 

  14.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a, 「2019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I」, pp.10~380. 

  15.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b, 「2019년도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보고서 II」, pp.8~148. 

  16. 김대운.정선혜.이상환.정용재, 2010, 「극초단파를 이용한 흰개미 탐지기술 적용연구」, 「보존과학회지」 26(1),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77~83. 

  17. 김시현, 2022, 「목조건축문화재 예방보존을 위한 한국 지중흰개미 공간적 방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94. 

  18. 김시현.이상빈, 2019, 「외래흰개미의 유입에 따른 목조문화재의 위협」, 「문화재방재학회논문집」 4(2), (사)문화재방재학회, pp.139~147. 

  19.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7, 「금산사 실측조사보고서」, pp.1~545. 

  20. 박현철.배태웅, 1997,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흰개미인 Reticulitermes speratus kyushuensis Morimoto(Isoptera: Rhinotermitidae)의 형태적 기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2(1), (사)한국토양동물학회, pp.59~64. 

  21. 배태웅.박현철, 1996, 「한국산 흰개미목(Isoptera)의 분류학적 재정리」, 「한국토양동물학회 학술발표대회」, (사)한국토양동물학회, pp.13. 

  22. 서민석.조창욱.김수지.김영희.홍진영.이정민.정소영, 2015, 「목조문화재 흰개미 서식환경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31(4),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387~393. 

  23. 이규식.정소영.정용재, 2000, 「목조문화재의 원형보존을 위한 충해 방제방안」, 「보존과학연구」 21, 국립문화재연구소, pp.5~55. 

  24. 이규식.정소영.정용재, 2001, 「목조건조물의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방법」, 「보존과학연구」 22, 국립문화재연구소, pp.41~52. 

  25. 임익균.차현석.강원철.이상빈.한규성, 2021, 「국내 목조문화재에 대한 지중 흰개미 피해 및 모니터링 현황」, 「보존과학회지」 37(3),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191~208. 

  26. 정소영, 2010, 「탐지견을 활용한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피해 조사 연구」, 「보존과학연구」 31, 국립문화재연구소, pp.121~130. 

  27. 정소영.이규식.정용재, 2002, 「해인사의 흰개미 모니터링 및 방제 방안」, 「보존과학연구」 23, 국립문화재연구소, pp.77~93. 

  28. 한성희.이규식.정용재, 1998, 「한국 서식 흰개미의 특성과 방제」, 「보존과학연구」 19, 국립문화재연구소, pp.133~158. 

  29. Brune, A., 2014, 'Symbiotic digestion of lignocellulose in termite guts',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2(3), Nature Publishing Group, pp.168~180. 

  30. Cookson, L.J..Trajstman, A.C., 2002, 'Termite survey and hazard mapping', Technical report(CSIRO forestry and forest products) 137, The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CSIRO), pp.1~50. 

  31. Eggleton, P..Beccaloni, G.W...Inward, D.J.G., 2007, 'Response to Lo et al.', Biology Letters 3(3), Royal Society Publishing, pp.564~565. 

  32. Lee, S.B..Tong, R.L..Kim, S.H..Im, I.G..Su, N.Y., 2020, 'Potential pest status of the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Coptotermes formosanus Shiraki(Blattodea: Isoptera: Rhinotermtida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Florida Entomologist 103(4), Florida Entomological Society, pp.431~437. 

  33. Kim, M..Choi, Y..Lee, J..Kim, J., 2012,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subterranean termites of the genus Reticulitermes (Isoptera: Rhinotermitidae) from Korea', Annals of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5(1),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pp.97~102. 

  34. Kim, S..Chung, Y., 2022,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ermite damage to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buildings in Korea', Forests 2022, 13(3), MDPI, p.465. 

  35. Kim, S..Lee, H..Jeong, S..Chung, Y., 2021, 'Biological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for the conservation of Janggyeong panjeon Depositories and Daejanggyeongpan(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of Haeinsa temple in korea',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Biodegradation 156(105131),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Biodegradation, pp.1~7. 

  36. Lee, W. H., Choi, D. S., Ji, J. Y., Kim, N. H., Han, J. M., Park, S. H., Lee, S. J., Seo, M. S., Hwang, W. J., Forschler, B. T., Takematsu, Y., Lee, Y. H., 2015, 'A new record of Reticulitermes kanmonensis Takematsu, 1999(Isoptera: Rhinotermitidae) from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18(3),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pp.351~359. 

  37. Li, H.F..Su, N.Y..Wen-Jer, W..Err-Lieh, L., 2011, 'Termite pests and their control in taiwan', Sociobiology 57(3), Universidade Estadual de Feira de Santana, pp.575~586. 

  38. Park, Y..Katade, O..Schwarz, M..Kim, J..Kim, W., 2006, 'Intraspecific molecular phylogeny, genetic variation and phylogeography of Reticulitermes speratus(Isoptera: Rhinotermitidae)', Molecules and Cells 21(1), The Korean Society For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pp.89~103. 

  39. Rust, M.K..Su, N.Y., 2012, 'Managing Social Insects of Urban Importance', Annual Review of Entomology 57(1), Annual Reviews, pp.355~375. 

  40. Sanderson, M.G., 1996, 'Biomass of termites and their emissions of methane and carbon dioxide: A global database', Global Biochemical Cycles 10(4), advancing earth and space science, pp.543~557. 

  41. Shim, J..Park, H..Ju, H..Song, J., 2021, 'First record of the termite family Kalotermitidae(Blattodea: Termitoidae) in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24(4), Elsevier, pp.1266~1269. 

  42. Son, S..Lee, H..Lee, W., 2019, 'A new record of Reticulitermes speratus speratus(Kolbe)(Isoptera: Rhinotermitidae) from Korea', 2019 Fal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p.45. 

  43. Takahashi, M..Yoshimura, T., 2002, 'Recent development in the control of japanese subterranean termites', Sociobiology 40(1), Universidade Estadual de Feira de Santana, pp.13~24. 

  44. Tong-tong, H..Qun-ya, G..Qian, C., 2014, 'Termite damage to wooden cultural heritage object and in-situ conservation treatment', Sciences of conservation and archaeology 26(3), pp.110~116. 

  45. Zhong, J.H..Liu, L.L., 2002, 'Termite fauna in china and their economic importance', Sociobiology 40, Universidade Estadual de Feira de Santana, pp.25~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