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OMPSAT 정사모자이크 영상으로부터 U-Net 모델을 활용한 농촌위해시설 분류
Semantic Segmentation of Hazardous Facilities in Rural Area Using U-Net from KOMPSAT Ortho Mosaic Imagery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9 no.6/1, 2023년, pp.1693 - 1705  

공성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명진 (한국환경연구원 물국토연구본부 환경계획실) ,  이광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활용부) ,  오관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활용부) ,  장재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활용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토 면적의 약 90%를 차지하는 농촌은 여러가지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으로서 중요성과 가치가 증가하고 있지만 주거지 인근에 축사, 공장, 태양광패널 등 주민생활에 불편을 미치는 시설들이 무분별하게 들어서면서 농촌 환경과 경관이 훼손되고 주민 삶의 질이 낮아지고 있다. 농촌지역의 무질서한 개발을 방지하고 농촌 공간을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농촌지역 내 위해시설에 대한 탐지 및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주기적으로 취득 가능하고 전체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위성영상을 통해 데이터의 취득이 가능하고, 합성곱 신경망 기법을 통한 영상 기반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탐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미적 분할(Semantic segmentation)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는 U-Net 모델을 이용하여 농촌 지역에서 잠재적으로 위해시설이 될 수 있는 농촌시설을 분류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에 제작된 공간해상도 0.7 m의 KOMPSAT 정사모자이크 광학영상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축사, 공장, 태양광 패널에 대한 AI 학습용 데이터를 직접 제작하여 학습 및 추론을 진행하였다. U-Net을 통해 학습시킨 결과 픽셀 정확도(pixel accuracy)는 0.9739, mean Intersection over Union (mIOU)은 0.7025의 값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농촌 지역의 위험 시설물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으며, 농촌계획 수립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ral areas, which account for about 90% of the country's land area, are increasing in importance and value as a space that performs various public functions. However, facilities that adversely affect residents' lives, such as livestock facilities, factories, and solar panels, are being built indisc...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의 2023년 농촌공간정비사업 시행지침에서 유해시설 범위로 다룬 축사, 공장, 재생에너지시설(태양광 패널)을 농촌위해 시설 분류 대상 객체로 정의하였다. 농촌 위해시설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의 취득은 일반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취득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을 통해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AI 모델의 학습을 위해 필요한 농촌 위해시설 라벨 데이터의 부재를 확인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농촌위해시설라벨 데이터를 KOMPSAT 정사모자이크 광학영상을 활용하여 직접 구축하였다. 하지만 위성영상만을 활용하여 축사, 공장, 태양광 패널과 같은 연구 대상 객체들의 존재 및 구축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는 여러 한계점이 존재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KOMPSAT 정사모자이크 광학영상 데이터를 U-Net 모델에 적용하여 농촌위해 시설을 분류하고자 하였으며 축사, 공장, 태양광 패널을 본 연구의 분류 대상으로 선정하여 의미론적 분할 기법을 적용하였고 결과 분석을 통해 분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모델의 적용을 위하여 축사, 공장, 태양광 패널에 대한 AI 학습 데이터를 제작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농촌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의미적 객체 분할에서 효과적인 성능을 보여주고 있으며 활발하게 영상분할 기법에 적용되는 U-Net 모델을 사용하여 잠재적으로 농촌위해시설이 될 수 있는 축사, 공장, 태양광 패널에 대한 객체 분류를 진행하였다. 딥러닝 모델 학습을 위하여 축사, 공장, 태양광 패널에 대하여 라벨 데이터를 직접 제작하여 학습 및 추론을 진행하였고 F1 스코어 값이 공장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kil, M., Saouli, R., and Kachouri, R., 2020. Fully?automatic brain tumor segmentation with deep?learning-based selective attention using overlapping?patches and multi-class weighted cross-entropy.?Medical Image Analysis, 63, 101692. https://doi.org/10.1016/j.media.2020.101692 

  2. Alomar, K., Aysel, H. I., and Cai, X., 2023. Data?augmentation in classification and segmentation:?A survey and new strategies. Journal of Imaging,?9(2), 46. https://doi.org/10.3390/jimaging9020046 

  3. Baek, W. K., and Jung, H. S., 2021. Performance?comparison of oil spill and ship classification?from x-band dual-and single-polarized SAR?image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random?forest, and deep neural network. Remote Sensing,?13(16), 3203. https://doi.org/10.3390/rs13163203 

  4. Baek, W. K., Lee, M. J., and Jung, H. S., 2022. The?performance improvement of U-Net model for?landcover semantic segmentation through data?augment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38(6-2), 1663-1676. https://doi.org/10.7780/kjrs.2022.38.6.2.8 

  5. Baek, W. K., Park, S. H., Jeong, N. K., Kwon, S., Jin,?W. J., and Jung, H. S., 2017. A study for the?techniques and applications of NIR remote sensing?based on statistical analyses of NIR-related papers.?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5-3),?889-900. https://doi.org/10.7780/kjrs.2017.33.5.3.11 

  6. Cheng, B., Girshick, R., Dollar, P., Berg, A. C., and?Kirillov, A., 2021. Boundary IoU: Improving?object-centric image segmentation evaluation. In?Proceedings of the 2021 IEEE/CVF Conference?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CVPR), Nashville, TN, USA, June 20-25, pp.?15329-15337. https://doi.org/10.1109/CVPR46437.2021.01508 

  7. Chicco, D., and Jurman, G., 2020. The advantages of?the Matthews correlation coefficient (MCC) over?F1 score and accuracy in binary classification?evaluation. BMC Genomics, 21, 6. https://doi.org/10.1186/s12864-019-6413-7 

  8. Du, G., Cao, X., Liang, J., Chen, X., and Zhan, Y., 2020. Medical image segmentation based on U-Net: A review. Journal of Imaging Science and?Technology, 64, Article ID: jist0710. http://doi.org/10.2352/J.ImagingSci.Technol.2020.64.2.020508 

  9. Feng, W., Sui, H., Huang, W., Xu, C., and An, K., 2018. Water body extraction from very high-resolution remote sensing imagery using deep?U-Net and a superpixel-based conditional random?field model. IEEE Geoscience and Remote?Sensing Letters, 16(4), 618-622. https://doi.org/10.1109/LGRS.2018.2879492 

  10. Gong, S. H., Jung, H. S., Lee, M. J., Lee, K. J., Oh,?K. Y., Chang, J. Y. et al., 2023. GeoAI dataset?for rural hazardous facilities segmentation from?KOMPSAT ortho mosaic imagery. Geo Data,?5(4). 

  11. Johnson, J. M., and Khoshgoftaar, T. M., 2019. Survey?on deep learning with class imbalance. Journal of?Big Data, 6, 27. https://doi.org/10.1186/s40537-019-0192-5 

  12. Jung, J., and Kim, B., 2016. Using numerical maps to?select solar panel installation sites on expressway?slope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and Management, 17(5), 71-77. https://doi.org/10.6106/kjcem.2016.17.5.071 

  13. Kim, Y. L., Jeong, H. K., and Heo, J. N., 2014. The?economic evaluation of the public value of?agriculture and rural area in Korea. Journal of?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4), 101-112.?https://doi.org/10.7851/ksrp.2014.20.4.101 

  14.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22. Chapter 3: How?to prepare for rural spatial planning. Korean?Rural Economic Institute. https://www.aglook.kr/upload/event/hwp/time2/2%EB%B6%801%EB%B6%84%EA%B3%BC2_%ED%95%9C%EC%9D%B4%EC%B2%A0.pdf 

  15. LeCun, Y., Bengio, Y., and Hinton, G., 2015. Deep?learning. Nature, 521, 436-444. https://doi.org/10.1038/nature14539 

  16. Lee, S., Baek, W. K., Jung, H. S., and Lee, S., 2020.?Susceptibility mapping on urban landslides using?deep learning approaches in Mt. Umyeon. Applied?Sciences, 10(22), 8189. https://doi.org/10.3390/app10228189 

  17. Long, J., Shelhamer, E., and Darrell, T., 2015. Fully?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In Proceedings of the 2015 IEEE Conference on?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Boston,?MA, USA, June 7-12, pp. 3431-3440. https://doi.org/10.1109/CVPR.2015.7298965 

  18. Miao, J., and Zhu, W., 2022. Precision-recall curve (PRC)?classification trees. Evolutionary Intelligence, 15,?1545-1569. https://doi.org/10.1007/s12065-021-00565-2 

  19. Perez, L., and Wang, J., 2017. The effectiveness of data?augmentation in image classification using deep?learning. arXiv preprint arXiv:1712.04621. https://doi.org/10.48550/arXiv.1712.04621 

  20. Rahman, M. A., and Wang, Y., 2016. Optimizing?intersection-over-union in deep neural networks?for image segmentation. In: Bebis, G., Boyle,?R., Parvin, B., Koracin, D., Porikli, F., Skaff, S. et?al. (eds.), Advances in Visual Computing, Springer,?pp. 234-244. https://doi.org/10.1007/978-3-319-50835-1_22 

  21. Ronneberger, O., Fischer, P., and Brox, T., 2015. U-Net: Convolutional networks for biomedical?image segmentation. In: Navab, N., Hornegger,?J., Wells, W., Frangi, A. (eds.), Medical Image?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MICCAI 2015, Springer, pp. 234-241. https://doi.org/10.1007/978-3-319-24574-4_28 

  22. Seong, J.-I., 2020. Directions and challenges in establishing?rural spatial planning. Korea Rural Economic?Institute. 

  23. Shorten, C., and Khoshgoftaar, T. M., 2019. A survey?on image data augmentation for deep learning.?Journal of Big Data, 6, 60. https://doi.org/10.1186/s40537-019-0197-0 

  24. Sun, C., Shrivastava, A., Singh, S., and Gupta, A., 2017.?Revisiting unreasonable effectiveness of data in?deep learning era. In Proceedings of the 2017?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Vision (ICCV), Venice, Italy, Oct. 22-29, pp.?843-852. https://doi.org/10.1109/ICCV.2017.97 

  25. Ulmas, P., and Liiv, I., 2020. Segmentation of satellite?imagery using U-Net models for land cover?classification. arXiv preprint arXiv:2003.02899.?https://doi.org/10.48550/arXiv.2003.02899 

  26. Yu, J. W., Yoon, Y. W., Baek, W. K., and Jung, H. S., 2021. Forest vertical structure mapping using?two-seasonal optic images and LiDAR DSM?acquired from UAV platform through random?forest, XGBoost, and support vector machine?approaches. Remote Sensing, 13(21), 4282.?https://doi.org/10.3390/rs132142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