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문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주당 초과 근로시간과 조직신뢰의 매개변수
The Impact of Corporate Culture on Job Stress : A Mediating Variable of Overtime and Organizational Trust 원문보기

벤처혁신연구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v.6 no.3, 2023년, pp.149 - 164  

전영준 (한국행정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혁신과 창의성이 점차 중요해지는 오늘날 인적자원에 대한 관리는 기업의 성과와 경쟁적 우위를 위한 핵심요인이다. 이에 기업은 목표달성과 조직성과 제고를 위해 구성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지원방식을 시행·도입하고 있다. 기업이 가진 조직문화와 조직 신뢰는 구성원의 인지적·정서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과 같은 조직성과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제도적인 관점에서 일과 삶의 균형 역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서, 일과 삶의 불균형은 사기저하, 직무에 대한 불만족 등 조직성과 하락을 초래한다.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하여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며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정부는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시행하였으며, '주 52시간 근무제'가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경쟁가치모형을 적용한 기업의 조직문화가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주당 초과근로시간, 조직 신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몰입, 직무 만족,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제에 해당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경우 직무 스트레스를 조직성과로 측정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더하여 초과근로시간과 조직성과 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영향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HCCP)근로자?-(2021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계 지향적인 기업의 조직문화는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 반면 혁신지향, 관계지향, 경쟁지향적인 기업문화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둘째, 위계 지향적인 문화는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감소시켰으며, 이외의 조직문화는 조직에 대한 신뢰를 증가시킨다. 셋째, 관계지향적이며, 경쟁지향적인 기업의 조직문화는 주당 초과 근로시간 감소에 영향을 미쳤으며, 혁신지향적이며 위계지향적인 문화는 초과 근로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에 대한 신뢰와 주당 초과 근로시간은 기업의 조직문화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문적 및 정잭척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when innovation and creativity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s a key factor for corporate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Corporate are implementing and introducing various types of support methods for members to achieve goals and improve organizational ...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44)

  1. 강종혁. (2008). 조직문화의 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지방정부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공희정. (2007).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상사에 대한 신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기준.어윤선.이형룡. (2009). 조직후원인식이 신뢰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체인레스토랑 VIPS 직원들을 대상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8(3), 153-170. 

  4. 김문숙. (2010).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 영남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옥주.조혜진. (2010).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시설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2), 193-209. 

  6. 김영춘.정민숙. (2012). 리더십, 조직문화와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201-211. 

  7. 문기주.신용선. (2022). 제조 중소기업의 기업문화가 근로자의 조직 충성도,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연구. 여가복지경영연구 (여가복지), 3(1), 97-125. 

  8. 이세영. (2013).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의 활용과 조직문화 유형 인식이 일과 삶의균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도윤경. (2001).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3(2), 87-111. 

  10. 서인덕.이원형. (2006). 조직문화, 리더십 그리고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리더신뢰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3, 71-106. 

  11. 서인석.권기헌.윤우제. (2011). 정부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의 인과구조-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포함하여. 한국정책학회보, 20(3), 395-428. 

  12. 양열. (2009).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감성지능과 신뢰의 역할.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양빙청. (2015). 중소기업 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 인식의 조절효과를?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채유미.이정배.이숙. (2016). 기업조직 특성에 따른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7), 389-399. 

  15. 박길태.김세영. (2014). 조직문화 및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35, 137-158. 

  16. 임다희.탁성숙.이선우. (2018). 조직문화가 일.가정양립 갈등에 미치는 영향: 경쟁가치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조직학회보, 15(2), 29-56. 

  17. 이윤경, 정혜선, & 장원기. (2006). 근로시간에 따른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산업간호학회지, 15(2), 115-125. 

  18. 김종관.이윤경. (2009). 업무구조, 조직문화, WLB 제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일과 생활의 균형의 매개 효과를?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16(4), 57-77. 

  19. 이용엽.양해술. (2012). 셀프리더십이 직무몰입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물류학회지, 22, 295-321. 

  20. Batt, R., & Valcour, P. M. (2003). Human resources practices as predictors of work-family outcomes?and employee turnover. Industrial Relations: A Journal of Economy and Society, 42(2), 189-220. 

  21. Bakker, A. B., Demerouti, E., & Dollard, M. F. (2008). How job demands affect partners' experience of?exhaustion: integrating work-family conflict and crossover theor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4), 901. 

  22. Cameron, K. S., & Quinn, R. E. (2011).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competing values framework. John Wiley & Sons. 

  23. French, J. R., Rogers, W., & Cobb, S. (1974). A model of person-environment fit. Coping and adaptation?New York: Basic Books. 

  24. Fukuyama, F. (1995). Social capital and the global economy. Foreign Aff., 74, 89. 

  25. Greenhaus, J. H.,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26. Guest, D. E. (2002).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Social Science Information, 41(2),?255-279. 

  27. Gonyea, J. G., & Googins, B. K. (1992). Linking the worlds of work and family: Beyond the productivity?trap. Human resource management, 31(3), 209-226. 

  28. Marks, S. R., & MacDermid, S. M. (1996). Multiple roles and the self: A theory of role balance. Journal?of Marriage and the Family, 417-432. 

  29. Harris, K. J., & Kacmar, K. M. (2006). Too much of a good thing: The curvilinear effect of leader-member?exchange on stres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6(1), 65-84. 

  30. Pettigrew, A. M. (1979).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s Andrew M. Pettigrew.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4). 

  31. Schein, E. H. (2010).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Vol. 2). John Wiley & Sons. 

  32. Schneider, B. (1990). Organizational climate and culture. Pfeiffer. 

  33. Ketchen Jr, D. J., Thomas, J. B., & Snow, C. C. (1993). Organizational configurations and performance:?A comparison of theoretical approach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6), 1278-1313. 

  34. Kirchmeyer, C. (2000). Work-life initiatives: greed or benevolence regarding workers' time?. 

  35. Marshall, J., & Cooper, C. L. (Eds.). (1981). Coping with stress at work: Case studies from industry.?Ashgate Publishing Company. 

  36. Luthans, F. (2002).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Developing and managing psychological strengths.?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16(1), 57-72. 

  37. Guest, D. E. (2002).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Social Science Information, 41(2),?255-279. 

  38. Lewis, J. D., & Weigert, A. (1985). Trust as a social reality. Social forces, 63(4), 967-985. 

  39. Gupta, N., & Beehr, T. A. (1979). Job stress and employee behavior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performance, 23(3), 373-387. 

  40. McAllister, D. J. (1995). Affect-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1), 24-59. 

  41. Rotter, J. B. (1971).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personal trust. American psychologist, 26(5), 443. 

  42.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 Camerer, C. (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43. Organ, D. W., Podsakoff, P. M., & MacKenzie, S. B. (2005).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s nature,?antecedents, and consequences. Sage Publications. 

  44. Whitener, E. M., Brodt, S. E., Korsgaard, M. A., & Werner, J. M. (1998). Managers as initiators of trust:?An exchange relationship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anagerial trustworthy behavior.?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513-5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