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잎 추출물의 근위축 개선 효과
Ameliorative Effects of Soybean Leaf Extract on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 in C2C12 Myotubes and a C57BL/6 Mouse Model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3 no.12, 2023년, pp.1036 - 1045  

최혜영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경상국립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원) ,  하영술 (경상국립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  지영호 (인하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하준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배환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동열 ((재)경남항노화연구원) ,  정원민 ((재)경남항노화연구원) ,  정동규 ((재)경남항노화연구원) ,  유준일 (인하대학교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김상곤 ((재)경남항노화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골격근량과 근력의 점진적인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은 고령화 인구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콩잎 추출물(Soybean Leaf extracts, SL)의 덱사메타손으로 유도된 근위축에 대한 치료적 가능성을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조사하였다. 세포 실험 결과, SL은 C2C12 근섬유의 형태, 밀도 및 크기가 보존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덱사메타손에 의해 유발된 근위축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L 처리는 주요 근육 위축 조절 인자인 muscle RING-finger protein-1 (MuRF1)과 muscle atrophy F-box (MAFbx)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 모두에서 유의하게 하향 조절하였다. 마우스 모델에서 SL 투여는 특히 덱사메타손으로 인한 체중 감소와 근육 소모를 상쇄하여 비복근과 전경골근의 근육량을 보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으로도 SL을 투여한 마우스는 악력과 트레드밀 지구력이 향상되어 근육 성능이 개선되었다. 또한 SL은 골격근에서 근위축 관련 단백질인 MAFbx의 발현을 억제하여 덱사메타손 유도 근위축에 대한 보호 역할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SL은 근감소증과 같은 근육 소모 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유망한 천연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rcopenia,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insidious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and strength, represents a significant and growing healthcare challenge, impacting the mo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aging populations worldwid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soybean leaf ex...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근위축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치료적 중재를 위한 타겟 발굴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SL의 근위축에 대한 치료적 효과와 관련된 분자적 타겟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근위축 관련 질환의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근위축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덱사메타손으로 유도된 근위축 세포 모델에서 근위축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 MuRF1과 MAFbx는 이 조절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이다[1]. 이에 SL이 근위축 조절 인자인 MuRF1과 MAFbx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qPCR 분석 결과, 덱사메타손으로 처리한 C2C12 근관세포에 SL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했을 때, MuRF1과 MAFbx의 mRNA 수준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odine, S. C., Latres, E., Baumhueter, S., Lai, V. K., Nunez,?L., Clarke, B. A., Poueymirou, W. T., Panaro, F. J., Na,?E., Dharmarajan, K., Pan, Z. Q., Valenzuela, D. M.,?DeChiara, T. M., Stitt, T. N., Yancopoulos, G. D. and Glass,?D. J. 2001. Identification of ubiquitin ligases required for?skeletal muscle atrophy. Science 294,1704-1708. 

  2. Bonetto, A., Andersson, D. C. and Waning, D. L. 2015.?Assessment of muscle mass and strength in mice. Bone?KEy Rep. 4, 732. 

  3. Charge, S. B. and Rudnicki, M. A. 2003. Cellular and molecular regulation of muscle regeneration. Physiol. Rev. 84, 209-238. 

  4. Cleasby, M. E., Jamieson, P. M. and Atherton, P. J. 2016.?Insulin resistance and sarcopenia: mechanistic links between common co-morbidities. J. Endocrinol. 229, R67-81. 

  5. Dougherty, J. P., Springer, D. A. and Gershengorn, M. C.?2016. The Treadmill Fatigue Test: A Simple, High-throughput Assay of Fatigue-like Behavior for the Mouse.?J. Vis. Exp. 111, 54052. 

  6. Ferrucci, L., Guralnik, J. M., Studenski, S., Fried, L. P.,?Cutler, G. B., Jr, Walston, J. D; Interventions on Frailty?Working Group. 2004. Designing randomized, controlled?trials aimed at preventing or delaying functional decline?and disability in frail, older persons: a consensus report.?J. Am. Geriatr. Soc. 52, 625-634. 

  7. Fielding, R. A., Vellas, B., Evans, W. J., Bhasin, S., Morley,?J. E., Newman, A. B., Abellan van Kan, G., Andrieu, S.,?Bauer, J., Breuille, D., Cederholm, T., Chandler, J., De?Meynard, C., Donini, L., Harris, T., Kannt, A., Keime?Guibert, F., Onder, G., Papanicolaou, D., Rolland, Y.,?Rooks, D., Sieber, C., Souhami, E., Verlaan, S. and Zamboni, M. 2011. Sarcopenia: an undiagnosed condition in?older adults. Current consensus definition: prevalence, etiology, and consequences. International working group on sarcopenia. J. Am. Med. Dir. Assoc. 12, 249-256. 

  8. Fulop, T., Larbi, A., Dupuis, G., Le Page, A., Frost, E.?H., Cohen, A. A., Witkowski, J. M. and Franceschi, C. 2017. Immunosenescence and inflamm-aging as two sides?of the same coin: friends or foes? Front. Immunol. 8, 1960. 

  9. Glass, D. J. 2005. Skeletal muscle hypertrophy and atrophy signaling pathways. Int. J. Biochem. Cell Biol. 37, 1974-1984. 

  10. Goodman, C. A., Frey, J. W., Mabrey, D. M., Jacobs, B.?L., Lincoln, H. C., You, J. S. and Hornberger, T. A. 2011.?The role of skeletal muscle mTOR in the regulation of?mechanical load-induced growth. J. Physiol. 589, 5485-5501. 

  11. Grounds, M. D. 2002. Reasons for the degeneration of?ageing skeletal muscle: a central role for IGF-1 signalling.?Biogerontology 3, 19-24. 

  12. Hah, Y. S., Lee, W. K., Lee, S., Kim, E. J., Lee, J. H.,?Lee, S. J., Ji, Y. H., Kim, S. G., Lee, H. H., Hong, S. Y.?and Yoo, J. I. 2022. β-Sitosterol attenuates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 via regulating FoxO1-dependent?signaling in C2C12 cell and mice model. Nutrients 14, 2894. 

  13. Huang, J. H. and Hood, D. A. 2009. Age-associated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skeletal muscle: Contributing?factors and suggestions for long-term interventions. IUBMB?Life 61, 201-214. 

  14. Ibebunjo, C., Chick, J. M., Kendall, T., Eash, J. K., Li,?C., Zhang, Y., Vickers, C., Wu, Z., Clarke, B. A., Shi,?J., Cruz, J., Fournier, B., Brachat, S., Gutzwiller, S., Ma,?Q., Markovits, J., Broome, M., Steinkrauss, M., Skuba,?E., Galarneau, J. R., Gygi, S. P. and Glass, D. J. 2013.?Genomic and proteomic profiling reveals reduced mitochondrial function and disruption of the neuromuscular?junction driving rat sarcopenia. Mol. Cell Biol. 33, 194-212. 

  15. Lecker, S. H., Goldberg, A. L. and Mitch, W. E. 2006.?Protein degradation by the ubiquitin-proteasome pathway?in normal and disease states. J. Am. Soc. Nephrol. 17, 1807-1819. 

  16. Lecker, S. H., Solomon, V., Mitch, W. E. and Goldberg,?A. L. 1999. Muscle protein breakdown and the critical?role of the ubiquitin-proteasome pathway in normal and?disease states. J. Nutr. 129, 227S-237S. 

  17. Lee, J. C., Kim, H. R., Kim, J. and Jang, Y. S. 2022.?Antioxidant property of an ethanol extract of the stem of?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J. Agric. Food Chem.?50, 6490-6496. 

  18. Li, H., Yoon, J. H., Won, H. J., Ji, H. S., Yuk, H. J., Park,?K. H., Park, H. Y. and Jeong, T. S. 2017. Isotrifoliol inhibits pro-inflammatory mediators by suppression of TLR/NF-κB and TLR/MAPK signaling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Int. Immunopharmacol. 45, 110-119. 

  19. Massaccesi, L., Goi, G., Tringali, C., Barassi, A., Venerando, B. and Papini, N. 2016. Dexamethasone-induced skeletal muscle atrophy increases O-GlcNAcylation in C2C12?cells. J. Cell. Biochem. 117, 1833-1842. 

  20. Meng, S. J. and Yu, L. J. 2010. Oxidative stress, molecular?inflammation and sarcopenia. Int. J. Mol. Sci. 11, 1509-1526. 

  21. Pagano, A. F., Brioche, T., Arc-Chagnaud, C., Demangel,?R., Chopard, A. and Py, G. 2018. Short-term disuse promotes fatty acid infiltration into skeletal muscle. J.?Cachexia Sarcopenia Muscle 9, 335-347. 

  22. Rosenberg, I. H. 2011. Sarcopenia: origins and clinical?relevance. Clin. Geriatr. Med. 27, 337-339. 

  23. Sandri, M., Sandri, C., Gilbert, A., Skurk, C., Calabria,?E., Picard, A., Walsh, K., Schiaffino, S., Lecker, S. H.?and Goldberg, A. L. 2004. Foxo transcription factors induce the atrophy-related ubiquitin ligase atrogin-1 and cause skeletal muscle atrophy. Cell 117, 399-412. 

  24. Sayer, A. A. and Cruz-Jentoft, A. 2022. Sarcopenia definition, diagnosis and treatment: consensus is growing. Age?Ageing 51, afac220. 

  25. Schakman, O., Kalista, S., Barbe, C., Loumaye, A. and?Thissen, J. P. 2013. Glucocorticoid-induced skeletal muscle atrophy. Int. J. Biochem. Cell Biol. 45, 2163-2172. 

  26. Seene, T., Kaasik, P., Pehme, A., Alev, K. and Riso, E.?M. 2003. The effect of glucocorticoids on the myosin?heavy chain isoforms' turnover in skeletal muscle. J. Steroid Biochem. Mol. Biol. 86, 201-206 

  27. Wilkinson, D. J., Piasecki, M. and Atherton, P. J. 2018.?The age-related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and function:?Measurement and physiology of muscle fibre atrophy and?muscle fibre loss in humans. Ageing Res. Rev. 47, 123-1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