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오픈 데이터 분야의 지적 구조 분석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on the Field of Open Data Using Co-word Analysi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40 no.4, 2023년, pp.429 - 450  

이혜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이용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오픈 데이터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과 지적 구조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Scopus에서 저자 키워드로 'open data'를 검색하여 1999년부터 2023년까지 총 6,543건의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데이터 전처리 이후 5,589편 논문의 저자 키워드를 대상으로 오픈 데이터 관련 연구 분야 및 링크드 오픈 데이터 관련 연구 분야의 중심성 도출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오픈 데이터 관련 연구에서는 'big data'가 가장 높은 중심성을 보였으며, 주로 공공데이터 개념의 오픈 데이터로서의 활용 및 정책 적용 연구, 빅데이터와의 연관개념으로서의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에 관한 연구, 오픈 데이터의 재생산이나 활용 및 접근과 같은 오픈 데이터의 이용과 관련한 주제의 연구가 이뤄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리고 링크드 오픈 데이터 관련 연구는 삼각매개중심성 및 최근접이웃중심성에서 모두 'semantic web'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 정책의 공공데이터보다 데이터 연계와 관계 형성을 중점으로 한 연구가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cent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s in research related to open data.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a search for the keyword "open data" in Scopus and collected a total of 6,543 papers from 1999 to 2023. After data preprocessing, the study focused...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21)

  1. Act on Promotion of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Act No. 19408. 

  2. Choe, ChangSu (2018). Legislation of the european unio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states for open public data, and required improvements for Korean laws. Journal of Hongik?Law Review, 19(2), 473-497. https://doi.org/10.16960/jhlr.19.2.201806.473 

  3. Ha, Seung Rok, Yim, Jin Hee, & Rieh, Hae-young (2017). A study on the procedure for constructing?linked open data of records information by using open source tool.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1), 341-371.?https://doi.org/10.3743/KOSIM.2017.34.1.341 

  4. Ha, Seung-rok, An, Dae-Jin, & Yim, Jin-hee (201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utomatic?interlinking of meaning for the LOD construction of record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7(4), 177-200.?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4.177 

  5. Kim, Gu (2017). An evaluation of public data opening policy: focused on public data portal. Public?Policy Review, 31(2), 57-82. https://doi.org/10.17327/ippa.2017.31.2.003 

  6. Lee, Hyun Jung & Nam, Young Joon (2014). A study on revitalizing the use of Korean public?data: focused on linked open data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Management, 31(4), 249-266.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249 

  7. Lee, Jae Yoon (2006). A study on the network generation methods for examining the intellectual?structure of knowledge domai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40(2), 333-325. 

  8. Lee, Jae Yoon (2013). A comparison study on the weighted network centrality measures of tnet?and WN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241-264.?https://doi.org/10.3743/KOSIM.2013.30.4.241 

  9. Lee, Sung Sook (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publishing in library linked open?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7(2), 145-169.?https://doi.org/10.3743/KOSIM.2020.37.2.145 

  10. Lee, Sung Sook, Park, Zi Young, & Lee, Hye Won (2017). Expanding the scope of identifying?and link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linked data: focusing on the linked data of national?librar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3), 117-141.?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07 

  1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5). Easy-to-understand Linked Open Data. 

  12. Park, Jin Ho (2018). Developing an assessment model of library open data quality.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5(1), 33-59.?https://doi.org/10.3743/KOSIM.2018.35.1.033 

  13. Park, Joo Seok (2018). Comparative study of big data, open data, and my data. The Korea Journal?of BigData, 3(1), 41-46. https://doi.org/10.36498/kbigdt.2018.3.1.41 

  14. Shin, Ju Eun & Kim, Seong Hee (2021).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omestic open?access area.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5(2), 147-178.?https://doi.org/10.4275/KSLIS.2021.55.2.147 

  15. Yoon, Sang Oh & Hyun, Ji Woo (2019). An analysis of open data policy in Korea: focused?on national core data in open data portal.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33(1),?219-247. https://doi.org/10.24210/kapm.2019.33.1.010 

  16. Yoon, So Young (2013a). A study on national linking system implementation based on linked?data for public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259-284.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259 

  17. Yoon, So Young (2013b).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history contents service based?on linked open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3),?297-315. https://doi.org/10.3743/KOSIM.2013.30.3.297 

  18. Branney, P. E., Brooks, J., Kilby, L., Newman, K., Norris, E., Pownall, M., Talbot, C. V., Treharne,?G. J., & Whitaker, C. M. (2023). Three steps to open science for qualitative research in?psychology.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e12728.?https://doi.org/10.1111/spc3.12728 

  19. Braunschweig, K., Eberius, J., Thiele, M., & Lehner, W. (2012). The state of open data. limits?of current open data platforms, categories and subject descriptors. In Conference Proceedings?World Wide Web Conference, 1, 72-72. 

  20. European Commission (2015). Creating Value through Open Data: Study on the Impact of Re-use?of Public Data Resources. Publications Office. https://doi.org/10.2759/328101 

  21. Zuiderwijk, A., Janssen, M., & Davis, C. (2014). Innovation with open data: essential elements?of open data ecosystems. Information Polity, 19(1-2), 17-33.?https://doi.org/10.3233/IP-1403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