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증강현실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 및 수업 모형 설계 제안
A Proposal for the Design of Augmented Reality Reading Activity Application and Class Model Based On Nuri Curriculu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9 no.1, 2023년, pp.355 - 360  

김서영 (성결대학교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  김태우 (성결대학교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  이경업 (성결대학교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  조유빈 (성결대학교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  김정이 (성결대학교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디지털의 발달로 아동들은 미디어 매체에 많이 접하고 있다. 독서 활동이 줄어 책에서의 정보를 습득하거나 습득한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증강현실이 접목된 교육이 학습에 대한 아동의 참여도와 몰입도를 높이므로, 우리는 아동의 독서 흥미도와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이 도입된 독후활동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또한, 5가지의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갈 놀이 중심의 독후활동을 설계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제안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놀이 중심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업 모형 설계에 따른 개념적인 사고의 틀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어린이집을 방문하고 전문가가 참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참관한 전문가들에게 독후활동 수업 모델 및 운영의 적합성 검토를 위해 미리 제작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리의 수업 모형 설계는 한정된 도서의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윤리상의 문제로 아동 대상으로 대규모 실험을 진행하지 못하여 연구의 결과가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하지만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독후활동 수업 운영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hildren are exposed to a lot of media media. Reading activity de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acquire information from books or organize and remember acquired information. Since education with augmented reality increases children's participation and imme...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5)

  1. Cultural Center e-books(2021) a survey of the?reading conditions of the people: Seoul: Ministry?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 Kim, A-R. and Oh, A-R. (2021). Exploring the?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execution function,?reading time, and preference of children in?4th-6th grade.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ical?Society: Development, 34(4), 109-131. 

  3. Jae-In Lee and Jong-Soo Choi (2011). Making?Contents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Element?Schoolchildren based on the AR(Augmented?Real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ASSOCIATION, 11(11), 514-520.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ce No.?2019-152 「Nuri Curriculum Examination by Age?of 3 to 5」 All Amendment, Ministry of Health?and Welfare, (2019). 

  5. Lee, J.-H and Cho, H.-W (2011). "Implementation?of Infant Learning Content using Augmented?Real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6. Nam, S-H and Lee, J-M (2020). Augmented?Reality in Education: A meta-analysis, The?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26(1), 129-156. 

  7. Ha and S-O (2003). Effects of reading activities?by level on self-directed learning. language?education, 26(): 309-364. 

  8. Lee Soon-young, Kim Joo-hwan, Baek Won-geun?and Park Shin-ae (2019). a survey of young?readers and non-readers. Korea Publication and?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9. Minatojihiro, Creative Memory, Nonhyung, 2017. 

  10. Gae and Bo-Kyung (2016). The Possibility of?Augmented Reality as an Educational Media and?Its Use in the United States, Happy Education?(2016) 12th. 

  11. Marion Wolf, Leader, Come Home, Across,?(2019). 

  12.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Welfar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Play?Understanding Materials」 Ministry of Education,?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13. Sungwook Kim and Cheolil Lim (2017). Develop?ment of a Conceptual Model of Instructional?Design for Mobile Inquiry Learning: Focusing on?Technology Integration. Journal of Educational?Technology33, no.2:327-364 

  14. Sunhee Kim and Cheolil Lim (2016). Develop?ment of a Conceptual Model for Forum Theater?Instructional Design Utilizing Digital Media.?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32, no.3: 453-486 

  15. Rubio, D. M., Berg-Weger, M., Tebb, S. S., Lee,?W. S. and Rauch, S. (2003). Objectifying content?validit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tudy in?social work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27(2), 84-1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