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심리부검 기반 이차원적 자살유형 연구: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Two-Dimensional Suicidal Type Based on Psychological Autopsy: A Focus on Suicidal Behaviors and Suicidal Risk Factors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9 no.1, 2023년, pp.75 - 99  

육성필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  서종한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리부검을 통해 완결된 자살자의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지표로 자살 유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이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28명의 완결된 자살자와 관련 유가족과 지인을 대상으로 심리부검 면담을 실시했고 유형 분석에 필요한 지표변수를 최종 선정하였다. 자살위험요인 지표변수로 정신장애, 자살/자해, 중대한 신체변화, 배우자간 갈등, 직장/학교 내 적응 및 관계문제, 실직/해고, 사업실패, 무직, 심각한 재정적 문제가 선정되었다. 자살행동 지표변수로 자살의지표현, 자살유서, 구조도움요청, 자살시간/장소/방법, 과거 자살/자해 시도, 자살자 최초발견이 선정되었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3단계 분석 방법(3-step method)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석하였고 각 유형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자 외부변수(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존재/변화, 관계변화, 가족 중 정신장애/알코올문제/신체질병, 학교/직장 만족)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살행동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는 5가지 계층(경제문제, 적응문제, 복합문제, 정신과문제, 사건반응), 자살위험요인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서는 3가지 계층(주거지-자살시도-가족발견형, 비주거지-비자살시도-지인발견형, 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이 탐색되었다. 자살행동 기반 3가지 유형 간에는 성별, 결혼상태, 동거여부, 관계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형 3(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동거중인 상태로, 기혼자일 가능성이 높고 대인관계 갈등이 두드러졌다. 자살위험요인 기반 5가지 유형 간에는 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관계변화, 가족 관련 문제, 학교/직장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유형3(복합문제)은 상대적으로 가족 관련 문제는 없으나 개인적인 스트레스 발생과 악화가 두드러졌다. 향후 해당 유형과 유형별 영향요인에 맞는 자살예방과 위기개입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suicidal behaviors and risk factors of completed suicides using psychological autopsy and use them as index variables to classify suicidal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each suicidal type. related to suicidal beh...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58)

  1. 권호인, 고선규 (2016). 심리부검에 대한 고찰과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4), 623-641. 

  2. 김기환, 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127-152. 

  3. 김종두 (1998). 자살에 대한 이론적 접근. 교육논총, 2, 307-332. 

  4. 김효창 (2006). 성인자살의 특성과 자살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1), 15-33. 

  5. 김효창, 손영미 (2006).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2), 1-19. 

  6. 나경세, 백종우, 윤미경, 김현수 (2015). 심리부검: 우리나라에서 향후 방향에 대한 검토?및 고찰. 신경정신의학, 54(1), 40-48. 

  7. 박상칠, 조용범 (1999). 자살, 예방할 수 있다. 상담과 선교, 7(4), 130. 

  8. 박지영 (2020). 성 소수자 청소년 A는 왜 자살했는가?: 질적 심리부검을 통한 학급 내 집단 괴롭힘과 A의 행동결정과정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22(4), 1-36. 

  9. 백은아 (2014). 경기도 심리적 부검.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5, 197-208. 

  10. 서인균, 정유선 (2010). 노인의 보호요인이 위험요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복지, 12, 97-114. 

  11. 서종한, 김경일 (2014). 2014 한국형 심리부검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12. 서종한, 김나애, 김경일 (2018). 사망유형 분석을 위한 자살위험요인 탐색: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2?(3), 25-49. 

  13. 서종한, 육성필, 조윤정, 홍현기, 김경일 (2018).?전문가를 위한 한국형 심리부검. 서울: 박영스토리. 

  14. 서종한, 이창환, 김경일, 김성혜 (2012). 한국자살사망자 특징: 사례-대조 심리부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23-344. 

  15. 서종한, 조병철, 이가애, 김경일 (2017). 생태순간평가(EMA) 일기법 기반 자살패턴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19(3), 1535-1556. 

  16. 서종한, 최선희, 김경일 (2018). 심리부검 기반 자살유형 연구. 보건사회연구 38(2), 350-393. 

  17. 이구상, 최민정, 김수정, 박재영, 이명수, 서지혜, 이소영 (2012). 정신보건: 자살사망자의 축약 심리적 부검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 서울시정신건강증진센터, 3(1). 18-24. 

  18. 이만석, 김명식, 권호인 (2015). 심리적 부검을?통한 전북지역 자살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119-130. 

  19. 중앙심리부검센터 (2017). 심리부검 면담 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 중앙심리부검센터 (2018). 심리부검 면담 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1. 중앙심리부검센터 (2019). 심리부검 면담 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2. 중앙자살예방센터 (2020). 자살통계 자료집. 서울: 보건복지부 

  23. 제갈다나, 박재연 (2017). 대학생 자살생각에?영향을 미치는 가족적 측면의 위험요인과?보호요인. 청소년학연구, 24(2), 413-444. 

  24. 최진영, 유 비, 김기현, 최윤선, 함혜욱 (2020).?청소년 자살위험의 유형화와 심리사회적?특성연구. 사회복지연구, 51(2), 57-96. 

  25. 최진화, 이구상, 유혜림, 서지혜, 김은지, 전홍진 (2021). 유족과의 면담을 통한 자살자?심리부검과 경찰 수사기록 조사를 통한?자살자 심리부검 결과 비교. 신경정신의학, 60(1), 61-69. 

  26.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2020). 심리부검 면담결과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7.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2021). 심리부검 면담결과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8.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2021). 2021 자살예방백서. 서울: 보건복지부 

  29. 한국자살예방협회 (2009). 자살사망자 심리부검?및 자살시도자 사례관리 서비스 구축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30. 한규석 (2018). 사회심리학의 이해 4판. 서울: 학지사 

  31. Akaike, H. (1974).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model ident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c control, 19(6), 716-723. 

  3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52). Diagnostic?and statisticalmanual of mental disorders.?Washington, DC: Author 

  33. Asparouhov, T., & Muthen, B. (2014). Auxiliary?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Three-step?approaches using M plus.Structural equation?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21(3),?329-341. 

  34. Bolck, A., Croon, M., & Hagenaars, J. (2004).?Estimating latent structure models with?categorical variables: One-step versus three-step?estimators. Political Analysis, 12(1), 327. 

  35. Brent, D. A., Perper, J. A., Kolko, D. J., &?Zelenak, J. P. (1988). The psychological autopsy: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for the?study of adolescent suicide. Journal of the?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Psychiatry, 27(3), 362-366. 

  36. Chiu, H. F. K., Yip, P. S. F., Chi, I., Chan, S.,?Tsoh, J., Kwan, C. W., ... & Caine, E.?(2004). Elderly suicide in Hong Kong-a case -controlled psychological autopsy study. Acta?Psychiatrica Scandinavica, 109(4), 299-305. 

  37. Conner, K. R., Houston, R. J., Swogger, M. T.,?Conwell, Y., You, S., He, H., ... &?Duberstein, P. R. (2012). Stressful life events?and suicidal behavior in adults with alcohol use disorders: Role of event severity, timing,?and type.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20(1-3),?155-161. 

  38. Durkheim, E. (1897). Suicide: A sociological study. Paris: Alcan. 

  39. Everitt, B. S. (1979). Unresolved problems in?cluster analysis. Biometrics, 169-181. 

  40. Henry, M., & Greenfield, B. J. (2009). Therapeutic?effects of psychological autopsies: The impact?of investigating suicides on interviewees. Crisis:?The Journal of Crisis Intervention and Suicide?Prevention, 30(1), 20-24. 

  41. Hirokawa, S., Kawakami, N., Matsumoto, T.,?Inagaki, A., Eguchi, N., Tsuchiya, M., ... &?Takeshima, T. (2012). Mental disorders and?suicide in Japan: a nation-wide psychological?autopsy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affective?disorders, 140(2), 168-175. 

  42. Isometsa, E. T. (2001). Psychological autopsy?studies-a review. European psychiatry, 16(7),?pp.379-385. 

  43. Joiner, T. E., Buchman-Schmitt, J. M., Chu, C., &?Hom, M. A. (2017). A sociobiological?extension of the interpersonal theory of?suicide. Crisis, 38(2), 69-72. 

  44. Joiner, T. E.. (2005).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5. Juhnke, G. A., Granello, P. F., & Lebron-Striker,?M. A. (2007). IS PATH WARM? A suicide?assessment mnemonic for counselors?(ACAPCD-03). Alexandria, VA: American?Counseling Association. 

  46. Knoll IV, J. L. (2008). The psychological autopsy,?part I: applications and methods. Journal of?Psychiatric Practice, 14(6), 393-397. 

  47. McLachlan, G., & Peel, D. (2000). Mixtures of?factor analyzers. In Proceedings of the Seventeenth?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48. Nock, M. K. (2009). Why do people hurt?themselves? New insights into the nature and?functions of self-injury. Current directions in?psychological science, 18(2),.78-83. 

  49. Partonen, T. (2020). A new national suicide?prevention programme in Finland. Psychiatria?Fennica, 51, 10-15. 

  50. Robins, E., Gassner, S., Kayes, J., Wilkinson, R.?H., & Murphy, G. E. (1959). The?Communication of suicidal intent: A study of?134 consecutive cases of successful (completed)?suicid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15(8),?724-733. 

  51. Schwar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461-464. 

  52. Sclove, S. L. (1987).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analysis. Psychometrika, 52(3), 333-343. 

  53. Shneidman, E. S. (1981). The psychological autopsy. Suicide Life Threat Behavior, 11(4),?325-340. 

  54. Shneidman, E. S. (2004). Autopsy of a suicidal mind.?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5. Steinley, D., & Brusco, M. J. (2011). Evaluating?mixture modeling for clustering:?recommendations and cautions. Psychological?methods, 16(1), 63. 

  56. Van Orden, K. A., Witte, T. K., Cukrowicz, K.?C., Braithwaite, S. R., Selby, E. A., & Joiner?Jr, T. E. (2010). The interpersonal theory of?suicide. Psychological review, 117(2), 575-600. 

  57. Zhang, J., Conwell, Y., Zhou, L., & Jiang, C.?(2004). Culture, risk factors, and suicide in?rural China: A psychological autopsy case control stud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110(6), 430-437. 

  58. Zubin, J., & Spring, B. (1977). Vulnerability: a new view of schizophrenia. Journal of abnormal?psychology, 86(2), 103-12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