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 정적 데이터 수집 및 DB 저장 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marine static data collection and DB storage algorithms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23 no.2, 2023년, pp.95 - 101  

최승환 (충북대학교 전파통신공학과) ,  박기조 (충북대학교 전파통신공학과) ,  정기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정우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김경석 (충북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적으로 해양공간정보의 활용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극대화하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 개발의 주요 추진 동력으로 부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는 해양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치를 추출해내는 것이 향후 우리나라의 과학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나 해양 정적 데이터는 거대 빅데이터베이스를 이루고 있으며, 높은 데이터 수집 비용과 고난이도 관측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의 유실 없는 보관 및 저장이 필요로 하다. 또한 재난안전지능화융합센터의 "해양 디지털 트윈 구축 및 활용기반 기술 연구" 과제를 위해 해양 데이터에 대한 수집 및 분석이 필요로 하여,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양 정적 데이터의 현황 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수집하여 DB에 저장하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obally, the importance of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spatial information is being maximized, and analyzing such data is emerging as a major driving force for R&D.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collecting marine dat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extracting its value will play an impor...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 재난안전지능화융합센터에서는 “해양 디지털 트윈 구축 및 활용기반 기술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해양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한 해양 데이터에 대한 수집 및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종 해양 관련 공공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양 디지털 트윈을 위한 기반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해양 정적 데이터의 현황 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수집하여 DB에 저장하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데이터 분석이 연구개발의 주요 추진 동력으로 부각되고, 이를 활용한 다분야융합·공동연구가 활성화 됨에 따라 연구데이터 공유·활용체계의 필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이를 위해서 해양 정적 데이터의 유실 없는 보관이 필요로 하다. 해양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한 해양 데이터에 대한 수집 및 분석이 필요하기에 본 논문에서는 각종 해양 관련 공공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양 디지털 트윈을 위한 기반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해양 정적 데이터의 현황 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수집하여 DB에 저장하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16건의 해양 정적 데이터는 각각 고유의 레이어명을 바탕으로 한 Open API 주소로 구성되어 있었고, 각각의 Open API 주소를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여 원본 데이터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B. G. Kim, H. K. Young, Y. S. Choi, K. S. Min, J. M.?Kim, "A Study on Standard and Conversion for Marine?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Information Association, Vol. 18, No. 3, pp. 3-12,?2016 

  2.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research data in the?draweris reborn as big data that is used together?[Internet]. Available:?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173274 

  3. H. G. Han, C. Y. Lee, Y. G. Park, "A Plan to Build an?Integrated Data Platform for Real-Time Data?Collection and Analysis of Extreme Ocean Spaces",?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2, No. 6, pp.?989-998, 2021?DOI: https://doi.org/10.9728/dcs.2021.22.6.989 

  4. H. G. Han, C. Y. Lee, T. H. Kim, J. R. Han, H. W.?Choi, "Establishment of A WebGIS-based Information?System for Continuous Observation during Ocean?Research Vessel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24, No. 1, pp. 40-53, 2016?DOI: https://doi.org/10.11108/kagis.2021.24.1.040 

  5. S. W. Oh, J. M. Park, S. H. Suh, "A Study on?Developing XML Marine GIS metadata", Journal of?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28, No. 3,?pp. 247-252, 2004?DOI: https://doi.org/10.5394/KINPR.2004.28.3.247 

  6. S. T. Kim, T. Y. Lee, Y. Kim, "Deriving the?Determining Factor for the Management of?Oceanographic Data",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Theory and Practice, Vol. 43, No. 3, pp. 97-115, 2012?DOI: https://doi.org/10.1633/JIM.2012.43.3.097 

  7. I. S. Lee, "A Study on Geospatial Information Role in?Digital Twi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Vol. 22, No. 3, pp. 268-278, 2021?DOI: https://doi.org/10.5762/KAIS.2021.22.3.268 

  8. S. M. Kim, J. S. Kim, "A Study on the Evaluation?Model for Reliability of Public Data", Journal of?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21,?No. 1, pp. 21-28, 2023?DOI: http://dx.doi.org/10.14801/jkiit.2023.21.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