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산림 황폐화 실태와 복구를 위한 남·북한 협력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Forest Degradation in North Korea and the Cooperative pla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e Restor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9 no.2, 2023년, pp.313 - 318  

박상혁 (우석대학교 군사학과) ,  이재건 (육군 25사단) ,  왕승우 (해병대 2사단)

초록

본 연구는 '북한 산림 황폐화 실태와 복구를 위한 남·북한 협력방안 연구'이다. 즉, 북한지역의 심각한 산림 황폐화 현상에 '산림복구'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도록 목표로 한다. 이러한 이유는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한반도의 국토 이질화 현상과 더불어 홍수·가뭄·토양 유실을 유발하여 식량난을 가중시키며 미래 남북한 통일 이후를 상정하였을 때 북한의 산림복구 비용은 시간이 지날수록 환경·경제적인 문제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성은 북한지역의 산림 황폐화 원인과 실태를 고찰하며 북한지역의 산림 정책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남·북한의 산림정책에 대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forest devastation in North Korea and the cooperative pla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e restoration. In other words, it aim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forest restoration' from the phenomenon of severe forest devastation in North Korea. It...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8)

  1. K. S. Park(2013). Forest Status and Forest?Policy in North Korea, KREI, 15(3), pp. 3-23. 

  2. H. D. Seok(1999). Forest and Management Status in?North Korea, KREI, 27(37), p. 11. 

  3. S. W. Kim(2002). A Study on the Changes of?Forest Degradation in North Korea Considering?Topographical Conditions, Ministry of Unification?Republic of Korea. 

  4. Ministry of Agriculture Republic of Korea(2002). A?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of Agricultural Base in North Korea, pp. 273-337. 

  5. I. W. Choi, J. C. Woo(2007). Development Process?of Forest Policy Direction in Korea and Present?Status of Forest Desolation in North Korea. Journal?of Forest Science, 23(1)?pp. 35-49. 

  6. J. H. Lim(2011). Social Control and Forest?Devastation in North Korea, Discourse and Policy?in Social Science, 4(1), pp. 77-102. 

  7. S. H. Lee(2004). The Degradation of Forest?Resources in North Korea and the Development?of Forestry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Korea,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38(3) pp. 101-113. 

  8. S. Y. Lee, K. S. Park, S. Y. Park, J. S. Oh, M. S.?M. S. Cho, H. B. Cho(2010). Direction and?Challenges of Cooperation in Restoration of Forest?in North Korea, Korea Forest Research?Institute, pp. 56-60. 

  9. https://blog.naver.com/nuacmail/22130691555 

  10. https://www.dailynk.com. 

  11. S. U. Oh, E. H. Kim, K. M. Kim, S. Y.?Park(2019).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est?Law and Policy of North and South Korea, The?Korean Journal of National Unification, 28(1), pp.?159-181. 

  12. https://chosonsinbo.com/2016/05/kcna_160508/ 

  13. North Korean labor Newspaper(2017). 

  14. K. S. Shin(2017). Characteristics of Forest?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KREI, 63(4), pp.?88-93. 

  15. K. S. Park, S. Y. Park(2012). Rehabilitation of North Korea's Devastated Forest With focus on?the Case of South Korea, North Korean studies,?8(1), pp. 133-159. 

  16. North Korean Forest Law(2021). Article 5. 

  17. North Korean Forest Law(2021). Article 30. 

  18. North Korean Forest Law(2021). Article 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