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로터널 안정성에 미치는 요소를 고려한 근접시공범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ear Construction Range Conside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tability of Water Tunnel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4 no.5, 2023년, pp.5 - 12  

이민규 (Deprtment of Civil Engineering, Sangji University) ,  이동혁 (Department of Fire Safety, Sangj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는 도시개발 및 확장으로 지하철, 도로, 대형관로 등 기존 터널 구조물에 인접하여 건설 계획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터널에 인접한 구조물 계획은 신규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인접 정도, 위치에 따라 터널 안정성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특히 압력 수로터널은 지반 거동 특성 및 운영 특성에 있어 도로터널 및 철도터널과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수로터널의 거동 특성 및 신규공사 공법을 고려하여 근접시공으로 인한 안전영역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터널 인접 시공 기준을 조사하고 수로터널 특성을 고려하여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안정성 평가는 운용 중인 터널의 콘크리트라이닝열화를 고려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신규 구조물의 말뚝 시공 및 발파굴착에 의한 진동 영향을 검토하여 인접 시공방법에 따른 기존 터널 안정성이 확보되는 영역을 검토하였다. 국내 다양한 근접시공 영역에 대한 기준을 바탕으로 운용 중인 수로터널 특성을 반영하여 안전영역을 재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근접 안전 시공범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due to urban development and expansion, construction plans have been increasing adjacent to existing tunnel structures such as subways, roads, and large pipelines. Structural plans adjacent to existing tunnels have different effects on tunnel stability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method,...

주제어

표/그림 (18)

참고문헌 (12)

  1.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981), OOdam construction?site. 

  2.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ater) (2007), Technical?method for Ensuring Safety of the Existing Water Supply Tunnel?against Neighboring New Construction. 

  3.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Seoul Metro)?(1983), Tunnel Safety Zone. 

  4.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Seoul Metro)?(2001), Practical manual for adjacent to Urban Metro, pp. 1~222. 

  5.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Seoul Metro)?(2007), Manual for Near-Subway Excavation Construction.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Detailed?Guidelines for Safety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7.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3), KS F 2730, Testing method?for rebound number to conclud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8. Attewell, P. B. (1977), Ground movements caused by tunnelling?in soil,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rge Movements?and Structures, London, pp. 812~948. 

  9. Attewell, P. B., Yeates, J. and Selby, A. R. (1986), Soil movements induced by tunnelling and their effects on pipelines and?structures, Blackie, Glasgow. 

  10. Cording, E. J. and Hansmire, W. H. (1975), Displacements?around soft ground tunnels, In Proceedings of the 5th PanAmerican?Congress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Buenos?Aires, Session IV, pp. 571~632. 

  11. Konya, C. J. and Walter, E. J. (1991), Rock blasting and overbreak?control, National Highway Institute, p. 5. 

  12. Starfield, A. M. and Pugliese, J. M. (1968), Compression waves?generated in rock by cylindrical explosive charges: A comparison?between a computer model and field measurements, International?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 Geomechanics?Abstracts, Vol. 5, pp. 65~7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