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무등산국립공원의 암설사면 분포변화 및 식생 특성
Changes in Distribution of Debris Slopes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Mudeung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7 no.1, 2023년, pp.1 - 12  

박석곤 (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김동효 ((사)한국환경생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등산국립공원의 과거(1966년)와 현재(2017년) 항공사진으로 암설사면 분포면적을 분석했고, 암설사면과 그 일대의 식생을 조사하여 암설사면의 면적 변화에 영향을 주는 식생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무등산에 외관상 보이는 암설사면의 면적은 과거보다 1/4수준까지 줄어들었다. 이곳의 암설사면은 51년 동안 식생 피복에 의해 연평균 2.3ha씩 감소했다. 특히, 저지대 완경사지에 소면적의 암설사면은 식생 피복이 활발하여 대부분이 사라졌다. 하지만 서향, 남서향, 남향 그리고 대면적의 암설사면이 남아 있었는데 이는 태양의 복사열이 암괴의 표면온도를 급속도로 상승시켜, 수분 건조에 따른 수목 생육이 불리해졌기 때문이다. 이런 입지특성 때문에 가장 넓은 덕산너덜 중간부의 소규모 식생은 인접한 산림지역과 다른 특성을 보였다. 덕산너덜에는 양지바른 곳이나 내건조성이 뛰어난 수종이 흔하게 출현했다. 하지만, 토양조건이 양호한 계곡부에 잘 자라는 호습성 수종 또한 세력이 우세했다. 이곳 일부에는 암괴 틈사이로 세립물질과 유기물 축적으로 토양층이 발달해 이런 수종이 정착해 자라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무등산 정상부에는 산림이 암설사면을 덮었는데 고지대에 전형적으로 자라는 신갈나무·철쭉이 우세했다. 이곳은 덕산너덜처럼 암괴 밀도가 높지 않고 토양이 드러나, 식생 발달에 유리했다고 본다. 또한 이곳에는 계곡부에 출현하는 물푸레나무와 당단풍나무의 세력이 강했다. 이는 일부 지역에 암괴들이 떨어져 아래에 쌓이면서 원지형을 오목한 형태의 함몰지형으로 만들어, 빗물 집수로 인해 토양수분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암괴사면의 면적, 암괴밀도, 분포유형이 암설지형에서의 식생발달과 종조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area of debris slopes in Mudeungsan (Mt. Mudeung) National Park by comparing aerial photos of the past (1966) and the present (2017) and identified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change in the area of the debris slopes by investigating the vegetation stat...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2)

  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 Choi, K.H.(2020)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bouldery slope landforms in Unbongsan, Goseong, South?Korea.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20(3):?45-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urry, A.M. and C.J. Morris(2004) Lateglacial and Holocene talus?slope development and rockwall retreat on Mynydd Du, UK.?Geomorphology 58: 85-106. 

  4. Hill, M.O.(1979a)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0pp. 

  5. Hill, M.O.(1979b)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New York, 520pp. 

  6. Jang, D.H. and C.S. Kim(2018)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analysis of block stream and talus landform by using GIS-based?likelihood ratio in the Honam region. Journal of the Korean?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5(2): 1-14. (in Korean with?English abstract) 

  7. Jeon, Y.G. and M.W. Son(2004) A study on the use planning of?geomorphic resources within Biseulsan(Mt. Biseul), in Daegu?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Geographers 10: 53-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eon, Y.G.(2000) A study on the boulder stream of granitoid in?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Geographers 6: 7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B.H., Y.G. Park, S.J. Kang and J.S. Kim(2014) Basic research?for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of wind-hole zone in?Mudeungsan National Park. Proc. Korean Soc. Environ. Ecol.?Con. 24(1): 25-26. (in Korean) 

  10. Kim, E.M., C.W. Kang, S.Y. Lee, K.M. Song and H.K. Won(2016a)?The status of birds consuming fruits and seeds of the tree and?related tree species on Jeju Island, the Republic of Korea.?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5):?635-6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S., J.M. Chung, J.H. Kim, W. Lee, B.Y. Lee and J.H. Pak(2016b)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management?strategies of algific talus slopes on the Korean peninsula.?Korean J. Pl. Taxon. 46(2): 213-246. (in Korean with English?abstract) 

  12. Kim, Y.S., K.J. Song, Y.H. An, K.K. Oh, K.J. Lee, Y.M. Lee and S.J.?Jeong(2010) Handbook of Korean Landscape Woody?Plants(3rd ed.). Kwang-il Publishing Co., 361pp. (in Korean) 

  13. Lee, G.R. and H.S. Park(2010) The distribution and geomorphic?change of debris slope at Ongjeom-ri in Cheongsong-gun.?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45(3):?360-3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Oh, J.J.(2012) A Study on the Debris Geomorphogy in Mt.?Mudeung.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 153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Oh, J.J., S.S. Park and Y.B. Seong(2012) Type and characteristics?of debris landform in Mt. Mudeung. Journal of the Korean?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8(3): 253-267. (in?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Park, C.W.(201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rm wind hole?zone of talus slope in Mt. Mudeung National Park. Journal of?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6(3): 381-393. (in?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I.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Ph.D. dissertation, Seoul?Natinal Univ., 4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S.G. and D.H. Kim(2021) Changes in the debris landform of?Mudeungsan National Park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vegetationa.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31(2):?36-37. (in Korean) 

  19. Park, S.G. and H.M. Kang(2020)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Geumnamhonam?Honam ridge areas understood through?quantitative vegetation analysis. Korean J. Environ. Ecol.?34(4): 304-3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S.G. Park and K.K. Oh(2015) The types and structures of?forest vegetation on the ridge of the Jeongmaeks in South?Korea. Korean J. Environ. Ecol. 29(5): 753-763. (in Korean?with English abstract) 

  21. Park, S.P.(199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landforms of Mt.?Moodeung.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Association 3(2): 115-1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Sasaki, T., A. Koyama, T. Koyanagi, T. Furukawa and K.?Uchida(2020) Data analysi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diversity. Translated by Park, S.G. and S.H. Choi, Nexus?Publishing, 259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