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송대(宋代) 유가와 도교에 근거한 원림 문화와 사상 고찰 - 주희(朱熹)와 백옥섬(白玉蟾)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arden Culture and Ideology based on the Confucianism and Taoism of the Song Dynasty - Focused on Zhū Xī(朱熹) and Báiyùchán(白玉蟾)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1, 2023년, pp.10 - 20  

박소현 (전남대학교 동아시학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송 유가와 도교 사상문화의 대표인 주희와 백옥섬은 그 사상문화의 기조에 따라 무이산이라는 동일한 공간을 달리 인식하고 향유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주희와 백옥섬이 무이산에서 기거했던 무이정사와 지지암을 통해 그들의 복거 양태를 통해 사상과 경관(공간) 인식을 규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구곡 관련 경물 음영시문을 근거로 무이구곡 제1곡에서 제9곡에 이르는 '이보음영[移步吟詠]'의 동적인 과정에서 나타난 양자의 경물 인식과 완상 체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경물이어도 조망자의 문화 사유 양식에 따라 해석되는 경물의 함의와 공간인식이 달리 나타난다. 둘째, 송대 유가와 도가 사상문화가 융화 발전하는 과정에서 상대 사상의 장점을 섭수원용(攝受援用)하여 각자의 사상의 단점을 보완하는 과정에서 비록 유가와 도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각 그들의 구경(究竟)의 종지(宗旨)에 따라 각 명제의 함의가 다름을 규명하였다. 셋째, 남송 성리학을 집대성한 유학의 대표, 주희에게 있어 무이정사와 무이구곡은 외물의 경계에 완상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모든 곳이 일상생활에서 도[理]와 합일되는 '자연합일'을 추구하는 강학처요, 구도처이다. 이는 유가의 학문 목적인 '복기성[復其性]'의 일환이며, 수려한 산수를 통해 '성정함양(性情涵養)'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남송 도교 금단파의 대표, 백옥섬에게 있어 지지암과 무이구곡은 태상원로부터 비롯한 유구한 연원을 가진 도교 도량으로 연단을 통해 성선(成仙)을 추구하는 청정 수행처이다. 이에 무이구곡에 남았는 도교 신화 전설과 관련해 이를 직접 인용하여 신선들의 향연과 신녀, 선태(仙蜕) 등을 등선(登仙)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인간세계를 완전히 초탈하여 우화(羽化)를 염원한다. 이에 무이산을 신선화, 선계화(仙界化)하여 그 안에서 자신 역시 신선이 되어 향유하는 의경과 주지로 시문을 관통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hū Xī, the representative of Confucianism, and Báiyùchán, the representative of Taoism in the South Song Dynasty, showed different sense of appreciation and enjoyment on the same space that was Mountain Wǔyí in their ideologically cultural ways. Base...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26)

  1. 이종호(2009). 「구곡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사상과 문화」. 제50호. pp.7-42. 

  2. 이종호(2011). 「한국 구곡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안동학연구」. 제10집. pp.9-65. 

  3. 전병철(2015). 「명대 楊亘의 「무이지」가 조선에 끼친 영향」. 한문학논집. 제42집. pp.265~288. 

  4. 王夫之. 「古詩評選」. 長沙: 岳麓書社. 1992. 

  5. (明) 徐表然. 「武夷志略」. 明萬曆47年[1619] 

  6. (?) 王懋?撰. 「朱子年譜」. ?文淵閣四庫全書本 

  7. (宋) 朱熹. 「晦菴集」. 四部叢刊景明嘉靖本 

  8. (宋) 朱熹. 「晦菴集」. 四部叢刊景明嘉靖本 

  9. (宋) 程顥, 程?. 「二程文集」. ?文淵閣四庫全書本 

  10. (宋) 朱熹. 「晦菴集」. 四部叢刊景明嘉靖本 

  11.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12.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13. (?) 鄭傑輯. 「?詩?」. ?宣統三年刻本 

  14.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15.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16.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17.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18. (?) 陳元龍輯. 「歷代賦彙」. ?文淵閣四庫全書本 

  19. (春秋戰國) 莊周撰, (晋) 郭象注. 「莊子」. 四部叢刊景明世德堂刊本 

  20.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21.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22.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23. (宋) 朱熹. 「晦菴集」. 四部叢刊景明嘉靖本 

  24.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25. (淸) 董天工. 「武夷山志」. ?乾隆刻本 

  26. (朝鮮) 李玄逸. 「葛庵集」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