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예비교사가 제작한 과학교육용 앱의 특징과 앱 제작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생각
Characteristics of Science Education Apps Develop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Thoughts about Education Developing App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2 no.1, 2023년, pp.17 - 33  

나지연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앱의 특징과 앱 제작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생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TPACK 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과학교육 앱 제작 경험을 제공한 사례를 수집하고, 3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해당 사례에 관한 생각을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앱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앱을 제작하면서 의도한 교육목표는 탐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구형과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앱을 제작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 목표에 부합하도록 앱을 제작하였으나 건설적 차원과 협력적 차원에서는 낮은 수준의 유형에 해당하는 앱의 특징을 보여 주었다.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앱과 앱 제작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생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앱의 효과성에 가장 낮은 점수를 주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과 기 개발된 앱 평가 및 수정 활동을 제안하였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예비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하여 앱을 직접 제작해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앱 인벤터를 활용하여 앱을 제작할 수 있는 블록 코딩 문해력 정도가 예비교사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예비교사의 TPACK을 향상시키기 위해 앱 제작 교육에서 모의수업과 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루어 보는 경험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s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s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implications for TPACK educatio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whic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ed a science educati...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59)

  1. 고호경, 남가영, 맹은경(2013). 교사의 반성적 수업 평가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사례 연구. 교과교육학연구,?17(3), 839-868. 

  2. 교육부(2020a).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정책과제. Retrieved January 20, 2021, from https://ifblog.tistory.com/11190 

  3. 교육부(2020b). 과학, 수학, 정보, 융합교육 종합계획?('20-'24). Retrieved January 20, 2021, from https://blog.naver.com/moeblog/221979230254 

  4. 교육부(2020c). 학교 과학실, 지능정보기술 기반 탐구키움터로 변화 시동. Retrieved January 20, 2021, from?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81177 

  5.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총론 주요사항 발표.?Retrieved November 24, 2021,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89671&lev0 

  6. 김거현, 유인환(2017). 앱 인벤터 활용 SW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4), 371-380. 

  7. 김영민, 문지선, 박정숙, 임길선(2010).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학교사들의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1002-1016. 

  8. 김은수, 박준석(2012). 앱 저작도구를 이용한 교육용 앱?개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0(5), 1-6. 

  9. 나지연(2021). 스마트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 수업 계획 시 발생하는 초등 예비교사의 질문과 수업과정안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40(2), 162-174. 

  10. 나지연, 장병기(2016).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들이 테크놀로지 활용 과학수업 실행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초등과학교육, 35(1), 98-110. 

  11. 서형석, 이용배(2017). 초등정보영재 대상의 앱 인벤터?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1),?13-22. 

  12. 안상진, 이영준(2016).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프로그램 설계.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2), 1-10. 

  13. 유인환(2014). SW 교육을 위한 로봇과 앱 개발 도구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615-624. 

  14. 윤성혜, 강우리(2018). 교사의 앱 개발 교육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5), 509-517. 

  15. 윤성혜, 강우리, 이명우 (2017). 고등학생 대상 저작도구?활용 앱 개발 교육의 정의적?인지적 효과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4), 415-424. 

  16. 이근호, 이광우, 박지만, 박민정(2013). 핵심역량 중심의?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CRC 2013-17. 

  17. 임병노, 임정훈, 성은모(2013). 스마트 교육 핵심 속성 및?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9(3),?459-489. 

  18. 정수정, 임걸, 고유정, 심현애, 김경연(2010). 스마트폰의?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동향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1(2), 203-216. 

  19. 최경식, 백성혜(2020). TPACK 발달 단계를 고려한 수업이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발달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1371-1391. 

  20. 최은선, 이영준, 백성혜(2017).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이?과학교사의 TPACK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4), 693-703. 

  21. AI4K12 (2022).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K-12?initiative. Retrieved October 5, 2022, from https://ai4k12.org/ 

  22. Alessi, S. & Trollip, S. (1985). Computer-based instruction.?Englewood Cliffs. 

  23. Angeli, C., & Valanides, N. (2009). Epistemological and?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conceptualization,?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ICT-TPCK: Advances?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CK).?Computers & Education, 52(1), 154-168. 

  24. Baran, E., & Uygun, E. (2016). Putting technological,?p 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in?action: An integrated TPACK-design-learning (DBL)?approach.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32(2), 47-63. 

  25. Buckenmeyer, J. A. (2010). Beyond computers in the?classroom: Factors related to technology adoption to?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Contemporary Issues in?Education Research (CIER), 3(4), 27-36. 

  26. Calik, M., Ozsevgec, T., Ebenezer, J., Artun, H., &?Kucuk, Z. (2014). Effects of 'environmental chemistry' elective course via technology-embedded scientific?inquiry model on some variables. Journal of Science?Education and Technology, 23(3), 412-430. 

  27. Canbazoglu Bilici, S., Guzey, S. S., & Yamak, H. (2016).?Assess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chnological?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through?observations and lesson plans. Research in Science &?Technological Education, 34(2), 237-251. 

  28. Future Ready School (2021). Future ready schools'?framworks. Retrieved March 10, 2021, from https://futureready.org/ourwork/future-ready-frameworks/ 

  29. Gardner, H., & Davis, K. (2014). The AppGeneration:?How Today's Youth Navigate Identity, Intimacy, and?Imagination in a Digital World. (S. Lee, Trans.).?Seoul: Wiseberry. (Original work published 2013). 

  30. Grover, S., & Pea, R. (2013, March). Using a discourseintensivepedagogy and android's app inventor?forintroducing computational concepts to middleschool?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44th ACM Technical?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 723-728. 

  31. Harris, J., Grandgenett, N., & Hofer, M. (2010). Testing?a TPACK-based technology integration assessment?rubric. In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10(1),?3833-3840. 

  32. Jaipal-Jamani, K., & Figg, C. (2015). A case study of a?TPACK-based approach to teacher professional?development: Teaching science with blogs. Contemporary?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5(2),?161-200. 

  33. Janssen, N., Knoef, M., & Lazonder, A. W. (2019).?Technological and pedagogical support for pre-service?teachers' lesson planning. Technology, Pedagogy and?Education, 28(1), 115-128. 

  34. Jen, T. H., Yeh, Y. F., Hsu, Y. S., Wu, H. K., & Chen,?K. M. (2016). Science teachers' TPACK-Practical:?Standard-setting using an evidence-based approach.?Computers & Education, 95, 45-62. 

  35. Jimoyiannis, A. (2010).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integrated technological pedagogical science knowledge?framework for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Computers & Education, 55(3), 1259-1269. 

  36. Khalid, A., Dukmak, S. J., & Dweikat, F. F. I. (2017).?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educational?preparation. International Journal for Research in?Education, 41(1), 273-303. 

  37. Koehler, M. J. & Mishra, P. (2008). Introducing TPCK.?In AACTE committee on innovation and technology?(Ed.), Handbook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TPCK) for educators (pp. 3-29). NY:?Routledge. 

  38. Koh, J. H. L. (2013). A rubric for assessing teachers'?lesson activities with respect to TPACK for meaningful?learning with ICT.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Technology, 29(6), 887-900. 

  39. Mishra, P., & Koehler, M. J. (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integrating?technology in teachers' knowledge. Teachers College?Record, 108, 1017-1054. 

  40. Moore, M. G., & Kearsley, G. (1996). Distance education:?A System view. Bosto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41. Nadeem, M., Rana, M. S., Lone, A. H., Maqbool, S.,?Naz, K., & Ali, A. (2011). Teacher's competencies and?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female teachers in?Bahawalpur (Southern Punjab) Pakistan. International?Journal of Business and Social Science, 2(19), 217-222. 

  42. Nieveen, N., & Folmer, E. (2010). Formative Evaluation?in Educational Design Research. In T. Plomp, & N.?Nieveen (Eds.), Educational Design Research (pp. 152-169). Enschede, The Netherlands: SLO - Netherlands?Institute for Curriculum Development. 

  43. Nuangchalerm, P., & Prachagool, V. (2010). Influences of?teacher preparation program on preservice science?teachers' beliefs.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3(1),?87-91. 

  44. OECD (2018), Preparing our Youth for an Inclusive and?Sustainable World: The OECD PISA global competence?framework, https://www.oecd.org/education/ Globalcompetency-for-aninclusive-world.pdf. 

  45. Owston, R. (2007). Contextual factors that sustain innovative pedagogical practice using technology: An international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Change, 8, 61-77. 

  46.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methods (2nd ed.). Hewbury Park, CA: SAGE?Publications. 

  47. Prince, K., Saveri, A., & Swanson, J. (2015). Exp loring?the Future Education Workforce: New Roles for an?Expanding Learning Ecosystem. KnowledgeWorks.?Retrieved October 5, 2022, from https://knowledgeworks.org/resources/future-education-workforce-roles-ecosystem/ 

  48. Roblyer, M. D. (2003). Integrating educational technology?into teaching.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Prentice?Hall. 

  49. Schmid, M., Brianza, E., & Petko, D. (2021). Self-reported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of pre-service teachers in relation to digital?technology use in lesson plans. Computers in Human?Behavior, 115, 106586. 

  50. Shim, J. P., Dekleva, S., Guo, C., & Mittleman, D.?(2011). Twitter, Google, iPhone/iPad, and Facebook?(TGIF) and smart technology environments: How well?do educators communicate with students via TGIF??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Systems, 29(35), 657-672. 

  51.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Review, 57(1), 1-22. 

  52. Stanford University (2016).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fe?in 2030: One hundred year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Retrieved January 10, 2017, from https://ai100.stanford.edu/about 

  53. Statista (2022). Mobile app downloads worldwide from?2021 to 2026, by store(in billions). Retrieved?September 30, 2022, from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1010716/apple-app-store-google-play-app-downloads-forecast/ 

  54.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research. CA: Sage. 

  55. Tavares, R., Marques Vieira, R., & Pedro, L. (2021).?Mobile app for science education: Designing the learning?approach. Education Sciences, 11(2), 79; https://doi.org/10.3390/educsci11020079. 

  56. Teri, S., Acai, A., Griffith, D., Mahmoud, Q., Ma, D. W.,?& Newton, G. (2014). Student use and pedagogical?impact of a mobile learning application. Biochemistry?and Molecular Biology Education, 42(2), 121-135. 

  57. Tondeur, J., Braak, J., Sang, G., Voogt, J., Fisser, F., &?Ottenbreit-Leftwich, A. (2012). Preparing pre-service?teachers to integrate technology in education: A?synthesis of qualitative evidence. Computers &?Education, 59(1), 134-144. 

  58. Volman, M. (2005). A variety of roles for a new typ e of?teacher: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 teaching profess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15-31. 

  59. Zhou, G., Xu, J., & Martinovic, D. (2016). Developing?pre-service teachers' capacity in teaching science with?technology through microteaching lesson study approach.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Technology Education, 13(1), 85-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