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커머스 시대 패션브랜드 홍보 방법에 관한 연구 - 패션홍보대행사 업무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how to promote fashion brands in the e-commerce era - Focusing on the work of a fashion PR agency -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5 no.2, 2023년, pp.17 - 29  

박송애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스타일리스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gital environment, which has been rapidly developing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has become more specific due to COVID-19, and marketing strategies are rapidly changing to suit purchasing activities of Generation MZ, whose online purchases are becoming the center of their lives. A...

주제어

참고문헌 (29)

  1. 고아라, 김선희. (2013). 패션 브랜드의 SNS 마케팅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지, 22(6), 1011-1027. 

  2. 고재성. (2013).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패션 광고속성이 광고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지안, 임은혁. (2018). 패션필름의 오프라인 플랫폼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42(5), 809-822. 

  4. 김동현, 이진. (2022). 글로벌 패션 명품 브랜드의?메타버스 패션 마케팅 사례 연구. 예술 디자인학 연구, 25(1), 11-24. 

  5. 김초롱, 곽태기. (2016). 여성의 화장품 소비가치에 따른 화장품 브랜드의 SNS 특성 선호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3), 99-111. 

  6. 이완기, 이규혜. (2022). 원활한 옴니채널 경험: 패션리테일 유형에 따른 충성도. 2022년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차 학술대회 프로시딩, 33-34. 

  7. 김희선. (2007). 인터넷 패션소호쇼핑몰 활성화를?위한 촉진전략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9(3), 59-73. 

  8. 박지수, 이영주. (2021).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3(1), 87-102. 

  9. 송하연, 유진영, 김지은, 김태년. (2021). 글로벌?패션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광고 이미지 특성?분석. 소비문화연구지, 24(3), 59-73. 

  10. 양송이, 이정교. (2020). 패션브랜드의 옴니 체험?공간을 위한 사례 연구-디지털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지, 15(8), 489-498. 

  11. 양윤정. (2022). SNS시대의 패션 콘텐츠. 커뮤니케이션 북스. 

  12. 왕가요, 장청건. (2022). 패션 스포츠 브랜드의 SNS?광고 특성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2-73. 

  13. 이계정, 이은정. (2017). 스페셜 오더 상품과 모바일 SNS 홍보 전략이 브랜드 럭셔리 및 브랜드?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19(4), 411-420. 

  14. 이혜진. (2013).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 대한 고찰.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승희, 이혜주. (2016). 연예인 스타일리스트의?직무몰입과 만족의 영향요인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66(6), 1-16. 

  16. 장연아, 김한나. (2019) SNS특성이 인스타그램 마켓을 통한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생활과학회지, 28(6), 629-642. 

  17. 전채남. (2007). 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IMC)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홍소희, 김민. (2021). MZ세대 특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메소드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회지, 24(1), 113-120. 

  19. shooong16. (2021. 8. 23). 패션마케팅의 커뮤니케이션 개념 및 전략. 16life. 자료검색일 2023. 02.?15, 자료출처 https://shoong16.tistory.com/13 

  20. 정서휘. (2021. 05. 18). 보테가 베네타가 선택한?새 디지털 채널 "이슈 01". 국민대 미디어광고학부 미디어플래닝 & 디지털마케팅커뮤니케이션. 자료검색일 2023. 02. 22, 자료출처 https://kookminadpr.tistory.com/164 

  21. 장뚜기. (2021. 02. 22). 왜 보테가베네타는 SNS를?전면 중단했을까?. Mobiinside. 자료검색일 2023. 02. 20, 자료출처 https://www.mobiinside.co.kr 

  22. 조영진. (2021. 11. 11). 패션업계의 디지털 마케팅, 브랜드의 다양한 시도. 소비자 평가. 자료?검색일 2023. 02. 20, 자료출처 http://www.iconsumer.or.kr/news 

  23. DANK. (2018. 03. 12). 구찌의 디지털 마케팅.?DANK Design Haus. 자료검색일 2023. 02. 22,?자료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 

  24. 어도비코리아. (2022. 01. 12). 패션업계의 MZ세대?마케팅: 래플 마케팅과 초개인화 전략. Adobe?Experience Cloud Blog. 자료검색일 2023. 02. 26.?자료출처 https://business.adobe.com/kr/blog/thelatest/unique-fashion-marketing-for-millenials-and-genz 

  25. 보브. (2022. 06. 07). 이런디자이너봤어?-패션PR?매니저편. NAEDANAEDA. 자료검색일 2023. 02. 22, 자료출처 https://m.blog.naver.com/naedanaeda/222763091941 

  26. 시사경제용어사전. (2023).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외. 자료검색일 2022. 12. 06, 자료출처?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18XX84301522? 

  27. 위키백과. (2023). OTT 외. 자료검색일 2022. 12. 06,?자료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OTT 

  28. 2021 Research Analysis & 2022 Market Forecasting.?(2021. 12. 16). 한국섬유산업연합회(Korea?Fashion Index). 자료검색일 2022. 12. 02. 자료출처 http://www.kofoti.or.kr 

  29. Ahn, Y. S., & Kim, H. S. (2018). Apparel?production methods of domestic fashion?brands for the activation of K-fashion. The Res?J Costume Culture, 20(3), 115-1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