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인지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Upper function, Cognition and Activity of Daily of Living in the with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9 no.4, 2023년, pp.195 - 200  

박우권 (경복대학교 작업치료과) ,  부정아 (경복대학교 작업치료과) ,  김보중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인지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참여한 25명 중 무작위로 실험군 13명과 대조군 12명으로 분류하였다. 실험군 가상현실재활훈련 기기를 활용하여 재활훈련을 주 3회와 일반 작업치료 주 2회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일반 작업치료만 매주 5회, 회당 30분씩 진행하였다.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 진행한 결과 인지기능은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 실시한 실험군은 3.39점 증가 하였고, 일반 작업치료만 실시한 대조군은 실험 후 1.5점이 증가하였다, 상지기능은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 실시한 실험군은 4.84점 증가 하였고, 일반 작업치료만 실시한 대조군은 1.34점이 증가하였다, 일상생활활동은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 실시한 실험군은 20.38점 증가 하였고, 일반 작업치료만 실시한 대조군은 7.61점이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인지와 일상생활활동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upper limb function, cogni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mong the 25 participants in the program, it was randomly classified 13 experimental group and 12 control group.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0)

  1. Dijkerman, H. C., Ietswaart, M., Johnston, M., &?MacWalter, R. S. (2004). Does motor imagery?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patients? A pil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18(5), 538-549. 

  2. Hochstenbach, J., Prigatano, G., & Mulder, T.?(2005). Patients' and relatives' reports of?disturbances 9 months after stroke: Subjective?changes in physical functioning, cognition,?emotion, and behavior. Archives of Physical?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8), 1587-1593. 

  3. Joo, M. C., Park, H. I., Noh, S. E., Kim, J. H.,?Kim, H, J., & Jang, C. H. (2014). Effects of?robot-assisted arm training in patients with?subacute stroke. Brain & NeuroRehabilitation,?7(2), 111-117. 

  4. Meadmore, K. L., Exell, T. A., Hallewell, E.,?Hughes, A. M., Freeman, C. T., Kutlu, M., ...?Burridge, J. H. (2014). The application of?precisely controll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to the shoulder, elbow and wrist for upper limb?stroke rehabilitation: A feasibility study. Journal?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1(1),?1-11. 

  5. Cicerone, K. D., Langenbahn, D. M., Braden, C.,?Malec, J. F., Kalmar, K., Fraas, M., ... Bergquist,?T. (2011).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Upd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2003?through 2008.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Rehabilitation, 92 (4), 519-530. 

  6. H. M. Kim.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of a force sensor and finger rehabilitation robot?for stroke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University, Jinju. 

  7. H. K. Shin. (2008). The recovery of hand?function induced by EMG-triggered electrical?stimulation in hemiplegic finger extensor. J?Korean Soc Occup Ther, 16, 61-69. 

  8. P. S. Buyn & M. Y. Chon. (2012). The effects?of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video game on?improvement range of motion for upper-extremity, shoulder pain and stress in stroke?patients with hemiplegia. Journal of muscle and?joint health, 19(1), 46-56. 

  9. V. Sirtori, D. Corbetta, L. Moja & R. Gatti.?(2009).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for?upper extremities in stroke patients. Cochrane?Database Syst Rev, 4(4). 

  10. C. R. Senesac, S. Davis & L. Richards. (2010).?Generalization of a modified form of repetitive?rhythmic bilateral training in stroke. Human?movement science, 29(1), 137-148. 

  11. A. A. Rizzo, J. G. Buckwalter & U. Neumann.?(1997). Virtual reality and cognitive rehabilitation:?A brief review of the future. The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12. Turolla, A., Dam, M., Ventura, L., Tonin, P.,?Agostini, M., Zucconi, C., Piron, L. (2013).?Virtual reality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upper?limb motor function after stroke: A prospective?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Rehabilitation, 10(1), 1-9. 

  13. Faria, A. L., Andrade, A., Soares, L., & Badia,?S. B. (2016). Benefits of virtual reality based?cognitive rehabilitation through simulated activities?of daily liv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with stroke patient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3 (1), 1-12 

  14. S. A. Park & H. Y. Kim. (2019). Effects of?virtual reality program on recovery of functional?in individuals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meta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17(5), 235-247. 

  15. Folstein, M.F., Folsein, S.E, Mchugh, P.R.(1975).?Mini-Mental State : A practica; method for?grading the congnotive state of pateinets for the?clician. J psychiatr Res 12:189-198. 

  16. Kwon, Y. C.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of the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1,123-135. 

  17. Nakamura, R., & Moriyama, S. (2000). Manual?Function Test (MFT) and functional occupational?therapy for stroke patients. Tokorozawa, JP:?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18. Shah, S., Vanclay, F., & Cooper, B. (1989).?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for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Epidemiology, 42(8), 703-709. 

  19. Jung, H. Y., Park, B. K., Shin, H. S., Kang, Y.?K., Pyun, S. B., Paik, N. J. Han, T. R. (2007).?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subjects with stroke. Annals of Rehabilitation?Medicine, 31(3), 283-297 

  20. A. L. Aramaki, R. F. Sampaio, A. C. S. Reis, A.?Cavalcanti, F. C. M. S. E. Dutra(2019). "Virtual?reality in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stroke: an integrative review", Arquivos de?Neuro-Psiquiatria, 77(4), 268-27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