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with RAPAEL Smart Glove on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7 no.2, 2019년, pp.69 - 76  

김고운 (더자람감각통합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Methods : The subjects were equally and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6) to whom a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의 일종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착용하여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을 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착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의 향상과 함께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의 일종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한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16명으로 나눠 무작위로 배분하여 실험군에는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하였고, 대조군에서는 전통적 작업치료를 적용하였다.
  • 그러므로 최근 다양하고 효과적인 재활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대두되고 있는 프로그램 중의 하나가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 중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하여 필 기능 증진을 통한 일상생활 활동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의 재활 치료 필요성의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을 제공한 실험군과 전통적 작업치료를 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선배치 방식으로 실험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 중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하여 필 기능 증진을 통한 일상생활 활동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의 재활 치료 필요성의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을 제공한 실험군과 전통적 작업치료를 한 대조군을 대상으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및 일상생활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선배치 방식으로 실험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상지 기능 일상생활 활동을 위해 보편적인 재활 치료를 주 5회 30분 6주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는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을 주 5회 30분 6주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 중의 하나로 뇌혈관이 터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는 신체에 전반적으로 작용하는 장애이다(Prange 등, 2006). 뇌졸중 환자의 역학 연구에 따르면, 30~66 % 정도 편마비를 가지며, 발병 6개월 이후 상지 기능의 완전한 회복은 5~20 % 정도에 불구하다(Kwakkel 등, 2008).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대두되고 있는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RAPAEL smart glove)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의 일종으로,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 기능의 재활을 위해 설계된 글러브 모양의 센서 장치와 상지 기능의 움직임을 통해 재활의 효과를 증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software application)으로, 생체 되먹임(biofeedback) 시스템을 이용하며(Shin 등, 2016),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착용한 환자의 상지와 손 움직임의 자세를 통한 상지의 여러 가지 움직임(아래상지의 엎침/뒤침, 손목의 굽힘/폄/좌측/노측편위, 손가락 굽힘/폄 등)을 인식하여 3차원적인 방위를 측정하고 5개의 굽힘 센서는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Neofect, 2016). 스마트 글러브를 착용하여,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을 통해 일상생활 활동을 시뮬레이션(simulation)할 수 있어, 환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로 인한 동기유발에 긍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Shin 등, 2016).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는 무엇인가? 최근 대두되고 있는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RAPAEL smart glove)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의 일종으로,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 기능의 재활을 위해 설계된 글러브 모양의 센서 장치와 상지 기능의 움직임을 통해 재활의 효과를 증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software application)으로, 생체 되먹임(biofeedback) 시스템을 이용하며(Shin 등, 2016),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착용한 환자의 상지와 손 움직임의 자세를 통한 상지의 여러 가지 움직임(아래상지의 엎침/뒤침, 손목의 굽힘/폄/좌측/노측편위, 손가락 굽힘/폄 등)을 인식하여 3차원적인 방위를 측정하고 5개의 굽힘 센서는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Neofect, 2016). 스마트 글러브를 착용하여, 가상현실 재활프로그램을 통해 일상생활 활동을 시뮬레이션(simulation)할 수 있어, 환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로 인한 동기유발에 긍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Shin 등,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sher IE(1996).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s: An annotated index. 2nd ed, Bethesda, MD: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pp.310-315. 

  2. Bae WJ, Kam KY(2017). Effects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ost-stroke patients.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5(3), 1-9. 

  3. Baek SW(2017). Effect of mirror therapy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in chronic stage stroke patient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4. Broeren J, Rydmark M, Sunnerhagen KS(2004). Virtual reality and haptics as a training device for movement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 single-cas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85(8), 1247-1250. 

  5. Cheng X, Zhou Y, Zuo C, et al(2011). Design of an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 based on medical theory. Procedia Eng, 15, 688-692. 

  6. Dault MC, de Haart M, Geurts AC, et al(2003). Effects of visual center of pressure feedback on postural control in young and elderly healthy adults and in stroke patients. Hum Mov Sci, 22(3), 221-236. 

  7. Hong WJ(2015). Short-term effect of robot-assisted therapy on arm reach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8. Jebsen RH, Taylor NE, Trieschmann RB, et al(1969).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 Phys Med Rehabil, 50(6), 311-319. 

  9. Kim YG(2015). The effect on korean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VREHAT) in balanc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brain injury. J Rehabil Res, 19(2), 257-276. 

  10. Kim JH(2011). The effects of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s on stroke patients' functional recovery.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11. Kim JH, Kim IS, Han TR(2007). New scoring system for Jebsen hand function test. Ann Rehabil Med, 31(6), 623-629. 

  12. Kwakkel G, Kollen BJ, Krebs HI(2008).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upper limb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Neurorehabil Neural Repair, 22(2), 111-121. 

  13. Lee HM(2013). Effects of virtual reality based viode gam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8(2), 201-207. 

  14. Lee SH(2009). Correlation between ACLT and FIM, MMSE-K, and MFT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9), 287-294. 

  15. Lee MJ, Koo HM(2017).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sitting balance training program on ability of sitting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miplegic patients.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5(3), 11-19. 

  16. Michaelsen SM, Dannenbaum R, Levin MF(2006). Task-specific training with trunk restraint on arm recovery in stroke: randomized control trial. Stroke, 37(1), 186-192. 

  17. Neofect(2016). RAPAEL smart solution manual. Neofect. Korea. 

  18. Park CS, Park SW, Kim KM, et al(2005). Th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Korean Wolf Motor Function Test. Ann Rehabil Med, 29(3), 317-322. 

  19. Peurala SH, Kantanen MP, Sjogren T, et al(2012). Effectivenes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lin Rehabil, 26(3), 209-223. 

  20. Prange GB, Jannink MJ, Groothuis-Oudshoorn CG, et al(2006).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 Rehabil Res Dev, 43(2), 171-184. 

  21. Sears ED, Chung KC(2010).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 Hand Surg Am, 35(1), 30-37. 

  22. Shah S, Vanclay F, Cooper B(1989).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 Clin Epidemiol, 42(8), 703-709. 

  23. Shin JH, Kim MY, Lee JY, et al(2016).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on distal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Neuroeng Rehabil, 13(1), 17. 

  24. Song CH, Seo SM, Lee KJ, et al(2011). Video game-based exercise for upper-extremity function, strength, visual perception of stroke patients. J Spe Edu & Rehabil Sci, 50(1), 155-180. 

  25. Thieme H, Morkisch N, Mehrholz J, et al(2019). Mirror therapy for improving motor function after stroke. Stroke, 50(2), 26-27. 

  26. Van Peppen RP, Kwakkel G, Wood-Dauphinee S, et al(2004). The impact of physical therapy on functional outcomes after stroke: what's the evidence. Clin Rehabil, 18(8), 833-862. 

  27. Winstein CJ, Wolf SL, Dromerick AW, et al(2016). Effect of a task-oriented rehabilitation program on upper extremity recovery following motor stroke: the ICARE randomized clinical trial. J Am Med Assoc, 315(6), 571-581. 

  28. Wolf SL, Lecraw DE, Barton LA, et al(1989). Forced use of hemiplegic upper extremities to reverse the effect of learned nonuse among chronic stroke and head-injured patients. Exp Neurol, 104(2), 125-132. 

  29. Yang NY, Park HS, Yoon TH, et al(2018). Effectiveness of motion-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Joystim)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J Rehabil Welfare Eng & Ass Tech, 12(1), 1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