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개신교 상황에서 영적 지도 연구
Research on Spiritual Direction in the Korean Protestant Context 원문보기

기독교교육 논총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73, 2023년, pp.139 - 157  

권진구 (목원대학교)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 상황에서 영적 지도에 관한 연구가 초기부터 현재까지 영적 지도의 정의, 역사, 적용 등을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영적 지도를 중심 주제로 연구를 시작한 학자들과 이후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수행된 연구의 내용을 분석하고 한국 개신교회 상황에서 이들의 연구가 보여주는 영적 지도에 관한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1980년대 이래로 한국 개신교회에서 기독교 영성에 관한 관심이 크게 늘었고 영성은 신학과 목회의 중요한 주제로 연구되고 적용되었다. 영성에 관한 연구가 학문과 목회의 여러 영역으로 확대되고 영성에 관한 다양한 주제가 다루어지면서 영적 지도에 관한 연구 또한 시작되었다. 북미에서 공부한 김외식과 유해룡은 1990년대부터 한국 개신교에서 영적 지도를 연구하기 시작한 초기 학자에 속하고 이들의 연구는 한국 개신교 학자와 목회자가 영적 지도를 이해하고 신학교육과 교회에 적용하는 데 영향을 준다. 영적 지도는 신앙 교육, 영적 훈련, 경건 훈련, 제자 훈련, 소그룹, 목회 상담 등의 내용과 형식으로 한국 교회에서 실천되었지만, 기독교 역사에서 동방교회, 서방교회, 수도원 전통이 행해온 영적 지도와 같은 개념, 내용, 형식의 것은 아니다. 한국 개신교는 한국적 토양에서 독특한 영적 전통을 발전시켜 왔기 때문에 한국적 상황을 반영한 영적 지도의 내용과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한국 개신교는 관상 기도나 관상적 삶과 같은 관상 전통과 개인 영적 지도보다 통성기도, 새벽기도, 성경 공부나 묵상, 소그룹에 더 익숙하고 이를 통해 신앙생활을 유지해 왔다. 영적 지도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지 30년이 지난 상황에서 영적 지도를 연구하고 실천하는 한국 개신교회는 지금까지의 연구와 실천을 비판적으로 돌아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적 지도를 연구한 학자들의 논문과 서적을 분석하고 영적 지도를 어떻게 정의하고 신학의 다른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영적 지도에 관한 초기 한국 교회의 상황을 알려주는 자료들과 현재 학자들의 연구 논문을 함께 살펴보면서 영적 지도의 변화와 흐름을 재구성한다. 결론 및 제언 : 영적 지도는 다양한 개념과 형태로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독교 역사와 전통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통해 한국 개신교 영성에 적합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영적 지도의 개념과 적용에 대한 유연한 이해와 관점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n Protestantism, interest in Christian spirituality has grown significantly since the 1980s. Spirituality is now studied and used as a crucial term and topic in theology and ministry. As research on spirituality expanded to various areas of study and ministry and various topics related to sp...

주제어

참고문헌 (42)

  1. Bae, J. D. (2009). A study on prayer theology in the reformed Church and the korean Church. Journal?of Christian Philosophy, 8, 199-223. 

  2. Gale, J. S. (1904). The vanguard: a tale of Korea. New York: Fleming H. Revell Company. 

  3. Lee, G. et al. (1909). Quarto centennial papers read before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Church in the USA at the annual meeting in Pyengyang. Pyongyang: the Presbyterian?Church in the USA. 

  4. Lee, G. (1928). On prayer. The living waters, 72, 13-16. 

  5. Gutierrez, G. (2003). We drink from our own wells: the spiritual journey of a people. New York: Orbis?Books. 

  6. Han, K. M. (2010). A study on the Protestant community's perception of Catholicism in the 1920s.?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 34, 121-147. 

  7. Hinson, G. (2000). Spiritual preparation for spiritual leadership. Translator: Eom, S. O. Seoul: Eunsung?Publications. 

  8. Kilbourne, E. A. (1925). On retreat. The Living Waters, 28, 1-2. 

  9. Jones, W. P. (2005). The art of spiritual direction. Translator: Bae, J. W. Seoul: Eunsung Publications. 

  10. Kim, G. C. (2019). Pastoral counseling reclaming the tradition of soul care: bringing patoral counseling?and spiritual direction together. Theology and Praxis, 63, 239-269. 

  11. Kim, H. S. (2018). Programs an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girls' school?at late Chosen Dynas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2/3, 165-185. 

  12. Kim, J. S. (2005). Christian counseling and spiritual direction. ACTS Theology and Mission, 9, 370-387. 

  13. Kim, K. E. (2015). The positive role of spiritual direction for social reconciliation. Theology and?Praxis, 43, 267-292. 

  14. Kim, O. S. (1990). Research on spiritual direction. Theology and World, 20, 160-186. 

  15. Kim, O. S. (1991). Research on the models of spiritual direction. Theology and World, 22, 157-183 

  16. Kim, O. S. (1994). Dream and spiritual direction. Theology and World, 28, 177-203. 

  17. Kim, O. S. (1994). Modern Church and spiritual ministry. Seoul: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Press. 

  18. Korean Quarter-Centennial Commission of M. E. C(1910), Korea ten outstanding and compelling facts.?New York: KQCC. 

  19. Kwon, H. S. (2006a). Women's spirituality and spiritual direction. Journal of Pastoral Care and?Counseling, 8, 91-126. 

  20. Kwon, H. S. (2006b). Wesleyan spiritual exercise program. Seoul: KMC Press. 

  21. Kwon, J. G. (2019). Korean Protestant studies on spirituality in the 1980s. Journal of Christian?Education in Korea, 60, 227-259. 

  22. Kwon, J. G. (2022). Understanding contemplative prayer in the Korean Protestant context.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69, 163-192. 

  23. Kwon, Y. K. (2011). Human development and spiritual guidance. Theology and Ministry, 35, 273-302. 

  24. Kwon, Y. K. (2016). Spiritual guidance and training for spiritual life. Theology and Ministry, 46, 141-167. 

  25. Lee, D. C. (2018). Christians' social practice and spiritual direction. Theology and Praxis, 62, 187-210. 

  26. Lee, J. H. (2014). Spiritual direction and pastoral counseling: spiritual growth through counseling?relationship. Journa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23, 144-172 

  27. Lee, J. G. (2012). The formation of Protestant denominations and their religious identities in modern?Korea: focusing on Presbyterianism, modernism, and Holiness Church. Critical Review of?Religion and Culture, 22, 51-87. 

  28. Lee, K. H. (2019). Current practice and research of spiritual direction in the Protestant churches of?the USA. Theology and Praxis, 66, 129-155. 

  29. Lee, K. H. (2020). Cross-cultural spiritual direction: the spiritual exercise and the true meaning of?the lord of heaven. Theology and Praxis, 81, 209-235. 

  30. Leech, K. (1977) Soul friend: a study of spirituality. London: Sheldon Press. 

  31. Lee, M. H. & Lim, K. S. (2009). A study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sychodynamic-psychotherapy and spiritual directio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17, 155-178. 

  32. McFarland, E. F. (1919). Prayer life of pastor. Presbyterian Theological Quarterly, 8, 60-72. 

  33. Oh, S. J. (2016). An approach to spiritual direction and education for the wholistic self. Theological?Forum, 85, 195-225. 

  34. Park, K. W. (1983). Theological education and spiritual discipline. Christian Thoughts, 27/3, 90-102. 

  35. Part, K. W. (1985). Today's ministers and theological formation. Christian Thoughts, 29/9, 23-33. 

  36. Rice, H. (2000). Pastor as spiritual guide. Translator: Choi, D. H. Seoul: Eunsung Publications. 

  37. Seong, S. J. (2017). Study on the 'anti-structure' characteristics of spiritual direction: Focusing on?Victor W. Turner's theory of rituals.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50, 81-116. 

  38. Yang, H. H. (2015) The women's education activity of Mary Scranton and the earliest beginning of?Korean feminist perspective in the modern period. Journal of Christian History Society?in Korea, 42, 133-173. 

  39. You, H. Y. (1997). The tradition of spiritual direction and its contemporary meaning. Church and?Theology, 31(1997), 195-222. 

  40. You, H. Y. (1997). Experience of God and spiritual exercise. Seoul: Presbyterian University and?Theological Seminary Press. 

  41. You, H. Y. (2000). A need for spiritual direction: the request of the times. Educational Church, 280,?2-7. 

  42. You, H. Y. (2002). A need and a practical suggestion for spiritual direction. Korean Presbyterian?Journal of Theology, 18, 425-4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