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학교 보고서에 나타난 중학교 과학과 과정중심평가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ience Classes from the Research Middle School Report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6 no.2, 2023년, pp.182 - 195  

김종희 (전남대학교) ,  박지영 (전남대학교) ,  유난숙 (고려대학교) ,  주민선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이 중학교 과학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학교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과정중심평가 운영 지표 또는 진단 도구를 제시한 6개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서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에 대한 분석 관점(수업과 평가의 통합, 평가 요소와 평가 방법, 피드백 내용과 시기, 학습자의 성장 관리)을 추출하였다. 그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 주관으로 운영한 7개 중학교의 과정중심평가 연구학교 결과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과 평가의 통합 측면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운영할 때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기반하여 수업과 평가 계획이 잘 구현되고 있었으며, 모든 보고서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수행평가로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 요소와 평가 방법 측면에서는 지식에 대한 평가 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고, 역량을 계획 단계에서는 제시하고 있으나 수업 실행에서는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평가 방법은 교사 중심의 관찰 평가와 보고서 평가에 치우쳐져 있고, 각 평가 요소에 대해 채점 기준의 설정이 미흡했다. 피드백 내용과 시기 측면에서 피드백은 주로 성취도 확인 측면에서 제공하였으며 학습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한 비계를 적절한 시기에 제공한 사례는 찾지 못하였다. 학습자의 성장 관리 측면에서 과학 수업을 통해 함양된 역량은 생활기록부의 과목별 세부 특기사항에 기재하는 형태로 관리하고 있었으며, 학습자의 역량 성장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평가의 결과를 교사의 수업 개선에 반영하는 내용은 보고서에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ports from research middle schools based on the criteria for process-focused assessment to find out how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were being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characteristics ...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30)

  1. 고헌(2019).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지원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1137-1164. 

  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제2015-74호. 

  3.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중등 연구자료, ORM 2017-19-2. 

  4.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초.중학교 교사별?과정중심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 연수.?연구보고. 

  5. 김석우(2021). CBAM 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관심도 및 실행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527-549. 

  6. 김석우, 김형란, 배가나, 장재혁(2022). 중학교 교사용 과정중심평가 전문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2), 411-428. 

  7. 김석우, 장카이, 서원석(2021).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429-441. 

  8. 김성기, 민희정, 하민수, 백성혜(2021). 과학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평가 전문성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24(1), 231-251. 

  9. 김유정, 이경건, 장원형, 홍훈기(2019).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역량(T-PEC)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99-121. 

  10. 김유정, 이경건, 홍훈기(2019).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중.고등학교 과학교사 사례를?중심으로. 과학교육학회지, 39(6), 695-706. 

  11. 김정민(2018).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839-859. 

  12. 박정(2019).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학생 자기평가 의미 탐색. 교육평가연구, 32(3), 421-440. 

  13. 박지현, 조지민, 진경애, 김수진, 이재봉, 배주경, 김현정,?박종임, 이상아, 배화순, 이소연, 이동욱(2018). 초.중학교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및 강사 연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 KICE?RRE 2018-5. 

  14. 박지현, 진경애, 김수진, 이상아(2020). 단위학교의 과정중심평가 운영 지표 개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23(2), 157-181. 

  15. 반재천, 김선, 박정, 김희경(2018).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과정평가연구, 21(3),?105-130. 

  16. 손준호(2018). 과정중심평가가 반영된 백워드 설계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2), 90-106. 

  17. 신정윤, 박상우(2021). 초등 과학과 과정중심평가문항예시 자료의 특징. 초등과학교육, 40(2), 191-209. 

  18. 신혜진, 안소연, 김유원(2017). 과정 중심 평가 활용의?정책적 분석: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교사의 수행평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20(2), 135-162. 

  19. 유선아, 곽영순, 양성호(2018). 학습발달과정에 근거한?과정중심 STEAM 역량 평가 모델에 대한 이론적?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2(2), 132-147. 

  20. 이경화, 고은성, 신보미, 이동환, 김선희, 강현영, 이환철(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21. 이현주, 백종민, 곽영순(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행 및 어려움에 대한 인식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4(2),?133-144. 

  22. 임은영, 이인화, 김유향, 심현표(2018). 교사별 학생평가?도입을 위한 학교단위 학생평가 실태 및 교사별 학생평가 인식 조사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1(3),?75-104. 

  23. 임종헌, 최원석(2018). '과정중심평가'의 특징과 의미에?관한 연구: 자유학기제 '과정중심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5(3), 31-59. 

  24. 전경희(2016). 과정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KEDI CP-2016-02-4. 

  25. 전성수(2019).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중심평가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38(1), 16-30. 

  26. 전현욱, 이형연(2019). 과정중심평가 수행 방식에 관한?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경기도 초록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123-154. 

  27. 정수경(2017). 과정중심평가 측면에서의 백워드 설계를?활용한 맥락적 수행과제 개발.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5(3), 249-269. 

  28. 최상호, 이동근, 김동중(2017). 과정중심평가 친화적 교사 교육과 평가에 대한 인식. 교원교육, 33(2), 1-23.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중학교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이렇게 하세요(과학과). 

  30. Swaffield, S. (2011). Getting to the heart of authentic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Policy & Practice, 18(4), 433-4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