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받는 영양교육과 식생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and Dietary Life Received at School in Adolescent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1 no.10, 2023년, pp.29 - 35  

박정숙 (광주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받는 영양 및 식습관 교육이 실제로 식생활 문화와 어떠한 연관성과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과 방법은 2022년도(제18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KYRSB) 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연구이다. 아침식사 빈도, 아침식사 결식 이유, 과일, 고카페인 음료, 단맛 나는 음료, 패스트푸드, 채소, 우유, 물, 야식 섭취 빈도를 변수로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학교에서 영양·식습관 교육을 받은 그룹과 받지 않은 그룹은 아침 식사, 패스트푸드, 야식에 대해 유의한 차이 있었다(p<.001). 아침식사 섭취 빈도를 비교한 결과, 교육을 받은 그룹이 7일 이상 먹는 비율이 높았고, 0일의 경우는 교육을 받지 않는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우유 섭취에 대해서는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이 더 높은 비율로 먹지 않았고, 물 섭취에 대해서도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이 더 높은 비율로 1컵 미만으로 먹었다. 본 연구는 학교에서의 영양·식습관 교육, 아침 식사 및 음료 섭취에 대한 개선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 및 학교에서의 영양·식습관 교육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는 방안 연구의 토대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nutrition and eating habit education that Korean adolescents receive at school actually affects and affects their dietary culture. he subject and method of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study using the data from the 18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2022...

주제어

참고문헌 (16)

  1.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attern of?Food and Incidence of Disease in Korean. 2006 

  2.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2/6/index.board 

  3. https://www.sfic.go.kr/board/view.do?boardIdBBS_0000008&menuCdDOM_000000105001000000&startPage1&dataSid57496 

  4. J. H. Lee, S. Y. Jeong, G. G. Ko, H. S Park, Y. S.?Ko. (2016). Development of a Food Safety and?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by?Appl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song Public?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7(4). 248-?260. DOI : 10.1016/j.phrp.2016.05.005 

  5. A. Garrido-Fernandez, F. Maria Garcia-Padilla,?J. L. Sanchez-Ramos, J. Gomez-Salgado, G. H.?Trave-Gonzalez, and E. Sosa-Cordobes. (2020).?Food Consumed by High School Students during?the School Day. Nutrients. 12(2). 485.?DOI : 10.3390/nu12020485 

  6. K. S. N. Liu, J. Y. Chen, M. Y. C. Ng, M. H. Y.?Yeung, L. E. Bedford, and C. L. K. Lam. (2021).?How Does the Family Influence Adolescent?Eating Habits in Terms of Knowledge, Attitudes?and Practices? A Global Systematic Review of?Qualitative Studies. Nutrients. 13(11). 3717.?DOI : 10.3390/nu13113717 

  7. S. Partida, A. Marshall, R. Henry, J. Townsend,?A. Toy. (2018). Attitudes toward Nutrition and?Dietary Habits and Effectiveness of Nutrition?Education in Active Adolescents in a Private?School Setting: A Pilot Study. Nutrients. 10(9).?1260. DOI : 10.3390/nu10091260. 

  8. S. G. Rhie, H. A. Park, E. H. Jung. (2007). The?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ary?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Weight?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Community Living Science. 18(3). 469-480. 

  9.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65279&page1 

  10. http://www.kdca.go.kr/yhs/ 

  11. T. Burrows, S. Goldman, R. K Olson, B. Byrne,?W. L Coventry. (2017). Associations between?selected dietary behaviours and academic?achievement: A study of Australian school aged?children. Appetite. 1(116). 372-380.?DOI : 10.1016/j.appet. 

  12. K. Adolphus, C. L. Lawton, and L. Dye. (2013).?The effects of breakfast on behavior and academic?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ront?Hum Neurosci. 7. 425.?DOI : 10.3389/fnhum.2013.00425 

  13. H. S. Yoon, H. L. Yang, E. S. Her. (2000). Effect?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Knowledge ,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5(3). 513-521. 

  14. K. S. Lee, K. N. Kim.(1997). Effects of Nutrition?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 Dietary?Attitudes, and Food Behavior of College?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1):?86-93. 

  15. M. H. Kim. (2012). Eating Habits, Self?Perception of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Behavior by Gender in Korean Adolescents?-Using Data from a 2010 Korea Youth Risk?Behavior Web-based Survey. J East Asian Soc?Dietary Life. 22(6): 720-733 

  16. N. Lien, L. A. Lytle, K. I. Klepp. (2001). Stability?in consumption of fruit, vegetables, and sugary?foods in a cohort from age 14 to age 21. Prev?Med. 33(3). 217-26.?DOI : 10.1006/pmed.2001.08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