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public diplomacy, v.3 no.2, 2023년, pp.53 - 68
한의석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Some observers call current conflic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s a new Cold War.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old War are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the Cold War. Under this condition,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2nd Basic Plan for Public Diplomacy in 2022. Compared with the 1st B...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년 7월.
김상배 (2019). 제1장 공공외교의 이론적 이해. 김상배 외, . 사회평론아카데미.
김예경 (2022).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전략경쟁: 쟁점과 접점. , 38권 2호,?1-30.
김태효 (2021). 미-중 신냉전 시대 한국의 국가전략. , 28권 2호, 113-126.
김태환 (2019). 가치외교의 부상과 가치의 '진영화': 강대국 사례와 한국 공공외교의 방향성. , 6권 1호, 5-32.
김태환 (2021). 한국 정책공공외교의 진화와 방향성: 공공외교에 대한 정체성 접근의 시각. , 1권 1호, 1-28.
김태환 (2023). 한국 공공외교의 유형 분석과 방향성 2018~2022: 자국 중심성을 넘어서. . 국립외교원외교안보연구소.
김필동 (2014). . 소명출판.
김헌준 (2022). 가치와 규범 외교: 인권과 민주주의를 둘러싼 미중 격돌 속 한국 외교. . 동아시아연구원.
류동원 (2022). 21세기 미중 경쟁에 대한 신냉전 논쟁과 쟁점 연구. , 9권 2호, 333-362.
류시헌 (2015). 일본의 ODA 정책과 인간안보: 일본 국내담론과 국제규범 형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41호, 33-52.
백우열 (2017). 한국 공공외교 전략 및 정책 연구: 기초적 유형의 개념화. , 23권 3호, 5-32.
신진 (2017). 공공외교의 한.미간 비교연구. , 24집 1호, pp. 1-26.
외교부 (2017). . 2017년 8월.
외교부 (2022a). . 2022년 8월.
외교부 (2022b). ?(https://www.mofa.go.kr/www/wpge/m_22716/contents.do)
오승희.박창건 (2020). 미.중 이중적 위계구조와 한국의 지전략. , 63권 3호, 29-54.
장시영.남궁영 (2023). 도전받는 미국의 헤게모니: 중.러의 도전과 진영 형성에 따른 신냉전 가능성.? , 41집 10호, 1-53.
정구연.이재현.백우열.이기태 (2018). 인도태평양 규칙기반 질서 형성과 쿼드협력의 전망. , 23권 2호, 5-40.
Nye, Joseph S. Jr. (2004). Soft Pow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119(2), 255-27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