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립하는 세계와 한국의 공공외교: 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과 정책공공외교를 중심으로
Korean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in a New Cold War: An Evaluation of the 2nd Basic Plan for Public Diplomacy(2023-2027)

Journal of public diplomacy, v.3 no.2, 2023년, pp.53 - 68  

한의석 (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제정세는 신냉전으로 불릴 만큼 극심한 진영 간 대립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진영을 구분하는 요소로 가치와 규범이 강조되고 있지만 실제 갈등은 단순하게 이념과 가치에만 기반을 두기 보다는 훨씬 복잡하고 다층적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 정부는 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했다. 본 연구는 제1차 공공외교 기본계획과 제2차 기본계획을 비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바람직한 한국 공공외교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제2차 기본계획은 지식공공외교와 정책공공외교 측면에서 더욱 확장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공외교의 수단으로서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조하는 등 발전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지만, 정책공공외교의 일부인 가치와 규범에 대해 명확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가치와 규범은 최근 국제정치의 주요 요인이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국가들을 배제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글로벌 보편 가치를 설정하고 이를 추구하는 것이 정책공공외교의 주요 목표가 되어야 한다. 대립하고 갈등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우리의 공공외교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더욱 정교하고 세심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me observers call current conflic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s a new Cold War.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old War are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the Cold War. Under this condition,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2nd Basic Plan for Public Diplomacy in 2022. Compared with the 1st B...

Keyword

표/그림 (5)

참고문헌 (20)

  1.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2017년 7월. 

  2. 김상배 (2019). 제1장 공공외교의 이론적 이해. 김상배 외, . 사회평론아카데미. 

  3. 김예경 (2022).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전략경쟁: 쟁점과 접점. , 38권 2호,?1-30. 

  4. 김태효 (2021). 미-중 신냉전 시대 한국의 국가전략. , 28권 2호, 113-126. 

  5. 김태환 (2019). 가치외교의 부상과 가치의 '진영화': 강대국 사례와 한국 공공외교의 방향성. , 6권 1호, 5-32. 

  6. 김태환 (2021). 한국 정책공공외교의 진화와 방향성: 공공외교에 대한 정체성 접근의 시각. , 1권 1호, 1-28. 

  7. 김태환 (2023). 한국 공공외교의 유형 분석과 방향성 2018~2022: 자국 중심성을 넘어서. . 국립외교원외교안보연구소. 

  8. 김필동 (2014). . 소명출판. 

  9. 김헌준 (2022). 가치와 규범 외교: 인권과 민주주의를 둘러싼 미중 격돌 속 한국 외교. . 동아시아연구원. 

  10. 류동원 (2022). 21세기 미중 경쟁에 대한 신냉전 논쟁과 쟁점 연구. , 9권 2호, 333-362. 

  11. 류시헌 (2015). 일본의 ODA 정책과 인간안보: 일본 국내담론과 국제규범 형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41호, 33-52. 

  12. 백우열 (2017). 한국 공공외교 전략 및 정책 연구: 기초적 유형의 개념화. , 23권 3호, 5-32. 

  13. 신진 (2017). 공공외교의 한.미간 비교연구. , 24집 1호, pp. 1-26. 

  14. 외교부 (2017). . 2017년 8월. 

  15. 외교부 (2022a). . 2022년 8월. 

  16. 외교부 (2022b). ?(https://www.mofa.go.kr/www/wpge/m_22716/contents.do) 

  17. 오승희.박창건 (2020). 미.중 이중적 위계구조와 한국의 지전략. , 63권 3호, 29-54. 

  18. 장시영.남궁영 (2023). 도전받는 미국의 헤게모니: 중.러의 도전과 진영 형성에 따른 신냉전 가능성.? , 41집 10호, 1-53. 

  19. 정구연.이재현.백우열.이기태 (2018). 인도태평양 규칙기반 질서 형성과 쿼드협력의 전망. , 23권 2호, 5-40. 

  20. Nye, Joseph S. Jr. (2004). Soft Pow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119(2), 255-270.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