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 모델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Public Diplomacy Crisis Communic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public diplomacy, v.3 no.2, 2023년, pp.1 - 34  

김장열 (Colorado Stat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고 없이 발생하는 초국가적 위기에 정부가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것인지 공공외교 측면에서 주목하고, 이를 위해 PR 분야에서 발달한 위기커뮤니케이션 연구를 토대로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PR 에서 중요한 분야인 위기커뮤니케이션의 대표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 모델 개발, 사례연구를 통하여 공공외교 위기 발생시 어떻게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커뮤니케이션 해야 할 지 제언하였다. 그 결과 공공외교 학문 및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 모델(Public Diplomacy Crisis Communication Model, PDCCM)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공공외교 위기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원칙으로 신속성, 개방성, 일관성, 진정성을 제시하고, 실행 내용으로 상시 소셜리스닝과 소셜모니터링을 통한 위기의 탐지, 위기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센스메이킹을 활용한 상황분석 및 위기대응목표설정, 네트워킹과 메시징을 통하여 상황에 맞는 위기대응전략과 이미지회복전략을 활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ind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efforts have focused on promotional activities such as the "K-wave" or responses to controversial historical issues. Howe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be more prepared for strategic responses to unexpected crises and su...

Keyword

표/그림 (5)

참고문헌 (24)

  1. 김영미 (2012). 수난받는 코란, 축구공에서 소각 사태까지. 시사 IN.?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50 

  2. 김장열 (2019). 디지털 위기 커뮤니케이션, 269-303 쪽. 한울아카데미. 

  3. 외교부 (2022a). 공공외교 사업개요. https://www.mofa.go.kr/www/wpge/m_22752/contents.do 

  4. 외교부 (2022b). 공공외교 주요 사이트. https://www.mofa.go.kr/www/wpge/m_22722/contents.do 

  5. Benoit, W.L. (1995). Accounts, excuses, and apologies: A theory of image restoration. State University of?New York Press. 

  6. Brandstrom, A., Bynander, F., & 't Hart, P. (2004). Governing by looking back: Historical analogies and?crisis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82(1), 91-210. 

  7. Brinson, S.L., & Benoit, W. L. (1999). The tarnished star: Restoring Texaco's damaged public image.?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2, 481-510. 

  8. Britannica (2023). Imam, https://www.britannica.com/topic/imam 

  9. Coombs, W.T. (2006). Crisis management: A communicative approach. In C. Botan & V. Hazleton?(Eds.). Public Relations Theory II (pp. 171-197).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 Coombs, W.T. (2019).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Sage. 

  11. Coombs, W.T., & Holladay, S. J. (2012). The handbook of crisis communication. Blackwell Publishing. 

  12. Dozier, D. (1986). The environmental scanning function of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participation?in management decision ma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Education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Norman, OK, USA.?https://eric.ed.gov/?idED274978 

  13. Dollinger, M.J. (1984). Environmental boundary spann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on?organizational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7(2), 351-68. 

  14. Emerson, K., Nabatchi, T., & Balogh, S. (2011).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collaborative governance.?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22(1), 1-29. 

  15. Fink, S. (1986). Crisis management: Planning for the inevitable. AMACOM. 

  16. Hervik, P. (2008). Original spin and its side effects: Freedom of speech as Danish news management, in?E. Eide, R. Kunelius & A. Phillips (eds). Transnational media events: The Mohammed cartoons and the imagined clash of civilizations (pp. 59-80), Goteborg: Nordicom, 

  17. Kim, J. (2014). Application of issues and crisis management to public diplomacy. In S. Yang, G. Golan,?& D. Kinsey (Eds.), Handbook of strategic public diplomacy (pp. 109-130). Peter Lang Publishing. 

  18. Klijn, E.H. & Koppenjan, J.F.M. (2006). Public management and policy networks, Public Management:?A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and Theory, 2(2), 135-58. 

  19. Kushner, J. (2021). What is social media monitoring and listening, and what are the differences??https://khoros.com/blog/social-monitoring-vs-listening 

  20. Larsson, G. & Lindekilde, L. (2009). Muslim claims-making in context: Comparing the Danish and the?Swedish Muhammad cartoons controversies. Ethnicities, 9(3), 361-82. 

  21. Lindholm, K. (2008). Politisk Krishantering i Danmark: Krisen i samband med publiceringen av?Muhammedkarikatyrerna 2005 och 2006 [Political crisis management in Denmark, the crisis in?relation to the publishing of the Muhammad cartoons 2005-2006] (Vol. 37). Forsvarshogskolan. 

  22. Mitroff, I. I. (1994). Crisis management and environmentalism: A natural fit. California Management?Review, 36(2), 101-113. 

  23. Olsson, E. (2013). Public diplomacy as a crisis communication tool. Journal of International?Communication. 19(2), 219-234 

  24. Wilcox, D.L., Cameron, G.T., & Reber, B.H. (2015). Public relations: Strategies and tactics (11th ed.).?Pearson.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