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국가재(Procambarus clarkii) 수족관 개체군 및 국내 침입 자연개체군의 유전적 변이 연구
Investigation of genetic variability in commercial and invaded natural populations of red swamp crayfish(Procambarus clarkii) from South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41 no.3, 2023년, pp.325 - 334  

강지현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한국곤충연구소) ,  황정미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한국곤충연구소) ,  권순직 ((주)애일) ,  백민정 (국립생물자원관) ,  박선재 (국립생물자원관) ,  임창섭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한국곤충연구소) ,  배연재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한국곤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국과 멕시코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진 미국가재는 세계적인 침입종으로서, 최근 국내에서도 자연개체군의 출현과 개체수의 증가가 보고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및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하여, 다양한 체색을 포함한 침입 자연개체군, 유입경로로 추정되는 수족관 개체군, 원산지 개체군인 미국 개체군의 유전자 다양성집단유전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다양성 분석 결과, 국내에서 채집된 침입 자연개체군(33개체)과 수족관 개체군(226개체)에서 5개의 단상형만이 발견되었으며,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집단유전학 분석 결과에서도 침입 자연개체군과 수족관 개체군은 낮은 유전자 다양성을 나타냈다. 미국 개체군의 유전자 다양성은 두 마커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원산지(source population) 개체군이 높은 유전자 다양성을 가지는 특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미국 개체군에서 수족관 개체군으로 그리고 침입 자연개체군으로 유입된 경로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지는 않으나, 모든 개체군에서 공유되는 COI 단상형(haplotype)과 낮은 유전적 분화도(FST)로 볼 때, 원산지인 미국으로부터 수입된 개체들이 각기 다른 수족관을 통해 침입 자연개체군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수족관 개체군은 많은 개체수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임으로써 창시자 효과 후 inbreeding에 의한 개체군일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는 소수의 개체로부터 대량 증식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서로 다른 체색을 띠는 수족관 개체들은 체색에 따른 유전적 차이는 없었다. 다만 주홍색 가재와 흰색 가재에서 더 높은 inbreeding이 나타났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자연개체군의 체색의 경우 수족관 개체의 특정 체색으로부터 유입되었다기보다는 자연환경에서 적응에 의해 나타난 변화의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침입 자연개체군의 낮은 유전적 다양성으로 볼 때 초기 국내 자연개체군의 유효집단(effective population)의 크기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근거리에 위치한 두 침입 자연개체군의 비교적 큰 유전적 분화도 결과로 볼 때 두 침입 자연개체군의 유전적 흐름보다는, 원산지인 미국의 다양한 유전자형이 다양한 국내 지역 수족관으로 유입되고, 이후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각각의 자연개체군을 형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본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유입경로가 있음을 보여주며, 대량 사육되어 판매되는 미국가재가 자연개체군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 결과에서 얻은 미국 개체군, 국내 수족관 개체군, 국내 침입 자연개체군의 유전자 다양성 및 집단유전학 연구는 개체군 증가와 확산이 우려되는 국내 침입 자연개체군의 크기 및 유입경로를 추론하는 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며, 이후 국내 자연개체군 대량 발생의 분석과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vasive red swamp crayfish, Procambarus clarkii, is native to south-central United States and northeastern Mexico. Recently, it has been being spreading in the wild in South Korea. However, its primary sources, introduction routes, establishment, and expansion in South Korea remain unclear. Her...

Keyword

참고문헌 (32)

  1. Bissattini AM, L Traversetti, G Bellavia and M Scalici. 2015. Tolerance of increasing water salinity in the red swamp crayfish?Procambarus clarkii (Girard, 1852). J. Crustac. Biol. 35:682-685. https://doi.org/10.1163/1937240X-00002366 

  2. Carr CM, SM Hardy, TM Brown, TA Macdonald and PD Hebert. 2011. A tri-oceanic perspective: DNA barcoding reveals?geographic structure and cryptic diversity in Canadian polychaetes. PLoS One 6:e22232.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22232 

  3. Catherine S, MA Pedro, A Laura, B Filipe, C Justine, C Christoph?and T Elena. 2016. The red swamp crayfish Procambarus?clarkii in Europe: Impacts on aquatic ecosystems and human?well-being. Limnologica 58:78-93. https://doi.org/10.1016/j.limno.2016.03.003 

  4. Choi JY, SK Kim, JC Kim and JH Yun. 2021. Invasion and dispersion of the exotic species Procambarus clarkii (Decapoda?Cambaridae) in Yeongsan River Basin, South Korea. Animals?11:3489. https://doi.org/10.3390/ani11123489 

  5. Evanno G, S Regnaut and J Goudet. 2005. Detecting the number?of clusters of individuals using the software STRUCTURE:?a simulation study. Mol. Ecol. 14:2611-2620. https://doi.org/10.1111/j.1365-294X.2005.02553.x 

  6. Excoffier L and HEL Lischer. 2010. Arlequin suite ver 3.5: A new?series of programs to perform population genetics analyses?under Linux and Windows. Mol. Ecol. Resour. 10:564-567.?https://doi.org/10.1111/j.1755-0998.2010.02847.x 

  7. Ghabooli S, TA Shiganova, A Zhan, ME Cristescu, P Eghtesadi-Araghi and HJ MacIsaac. 2011. Multiple introductions and?invasion pathways for the invasive ctenophore Mnemiopsis?leidyi in Eurasia. Biol. Invasions 13:679-690. https://doi.org/10.1007/s10530-010-9859-8 

  8. Goudet J. 2001. FSTAT, a program to estimate and test gene diversity and fixation indices (version 2.9.3). http://www2.unil.ch/popgen/softwares/fstat.htm 

  9. Hartl D and AG Clark. 2007. Principles of Population Genetics.?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 https://doi.org/10.1093/jhered/esm035 

  10. Haubrock PJ, AF Inghilesi, G Mazza, M Bendoni, L Solari and E?Tricarico. 2019. Burrowing activity of Procambarus clarkii on?levees: analysing behaviour and burrow structure. Wetl. Ecol.?Manag. 27:497-511. https://doi.org/10.1007/s11273-019-09674-3 

  11. Hebert PDN, A Cywinska, SL Ball and JR deWaard. 2003. Biological identifications through DNA barcodes. Proc. R. Soc.?B-Biol. Sci. 270:313-321. https://doi.org/10.1098/rspb.2002.2218 

  12. Huang J, S Tang, F Cai, Y Lin and Z Wu. 2017. Microsatellite evidence of dispersal mechanism of red swamp crayfish (Procambarus clarkii) in the Pearl River basin and implications for?its management. Sci. Rep. 7:8272. https://doi.org/10.1038/s41598-017-08552-3 

  13. Jang JE, SY Byeon, HR Kim, JY Kim, HH Myeong and HJ Lee. 2021. Genetic evidence for sex-biased dispersal and cryptic?diversity in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Biodivers. Conserv. 30:847-864. https://doi.org/10.1007/s10531-021-02120-y 

  14. Jung SW, J Lee, T Kawai, P Kim and S Kim. 2022. Distribution?status of invasive alien species (Procambarus clarkii (Girard,?1852)) using biomonitoring with environmental DNA in South?Korea. Korean J. Environ. Ecol. 36:368-380. https://doi.org/10.13047/KJEE.2022.36.4.368 

  15. Kang JH, D Ham, SH Park, JM Hwang, SJ Park, MJ Baek and?YJ Bae. 2023.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a recent insect?invasion: a gall midge, Asynapta groverae (Diptera: Cecidomyiidae) in South Korea since the first outbreak in 2008. Sci.?Rep. 13:2812. https://doi.org/10.1038/s41598-023-29782-8 

  16. Kim JM, JH Kil, WM Kim, JH Seo, HC Shin, WH Kim, JY Ban, UG?Kim, JY Lee, GS Go, SH Park and HS Oh. 2006. A Study of?Detailed Survey on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and Designa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Foreign Countries. National?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 408. 

  17. Kim SH, HJ Baek and GB Yang. 2019. Report on settlement of?alien species red swamp crawfish (Procambarus clarkii) in?Korea. Korean J. Environ. Ecol. 52:333-339. https://doi.org/10.11614/KSL.2019.52.4.333 

  18. Kim YR, JE Jang, H Choi and HJ Lee. 2020. Phylogeographic and?population genetic study of a Korean endemic freshwater fish?species, Zacco koreanus. Korean J. Environ. Biol. 38:650-657.?https://doi.org/10.11626/KJEB.2020.38.4.650 

  19. Lee DS and YS Park. 2019. Evalua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area of the red swamp crayfish(Procambarus clarkii) in South?Korea. Korean J. Environ. Ecol. 52:340-347. https://doi.org/10.11614/KSL.2019.52.4.340 

  20. Le Roux J and AM Wieczorek. 2009. Molecular systematics and?population genetics of biological invasions: towards a better?understanding of invasive species management. Ann. Appl.?Biol. 154:1-17. 

  21. NIBR. 2020. Research on the Features of Environmentally Issued?Animals (II)(No. 11-1480592-001732-01). National Institute of?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105. 

  22. Oficialdegui FJ, MI Sanchez and M Clavero. 2020. One century?away from home: how the red swamp crayfish took over?the world. Rev. Fish Biol. Fish. 30:121-135. https://doi.org/10.1007/s11160-020-09594-z 

  23. Park CW, JW Kim, YJ Cho, JG Kim, MJ Lee and SH Kim. 2020.?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red swamp crawfish(Procambarus clarkii)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53:331-335. https://doi.org/10.11614/KSL.2020.53.4.331 

  24. Richman NI, M Bohm, SB Adams, F Alvarez, EA Bergey, JJS?Bunn, Q Burnham, J Cordeiro, J Coughran, KA Crandall, KL?Dawkins, ... , TS Walsh and B Collen. 2015. Multiple drivers of?decline in the global status of freshwater crayfish (Decapoda:?Astacidea). Philos. Trans. R. Soc. B-Biol. Sci. 370:20140060.?https://doi.org/10.1098/rstb.2014.0060 

  25. Rousset F. 2008. GENEPOP'007: a complete re-implementation?of the GENEPOP software for Windows and Linux. Mol. Ecol.?Resour. 8:103-106. https://doi.org/10.1111/j.1471-8286.2007.01931.x 

  26. Rozas J, A Ferrer-Mata, JC Sanchez-DelBarrio, S Guirao-Rico,?P Librado, SE Ramos-Onsins and A Sanchez-Gracia. 2017.?DnaSP 6: DNA sequence polymorphism analysis of large datasets. Mol. Biol. Evol. 34:3299-3302. https://doi.org/10.1093/molbev/msx248 

  27. Song, HR, NY Kim, SH Kim, DE Kim, DH Lee, DH Choi, HJ Lee,?HJ Baek, DK Kim, MJ Kim, TB Ryu, YC Kim and SW Sim.?2018. Investigating Ecological Risk of Alien Species (V).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89pp. 

  28. Song J, J Hong and K Cho. 2022. Availability of the metapopulation theory in research of biological invasion: Focusing on the?invasion success. Korean J. Environ. Biol. 40:525-549. https://doi.org/10.11626/KJEB.2022.40.4.525 

  29. Stepien CA, JE Brown, ME Neilson and MA Tumeo. 2005. Genetic?diversity of invasive species in the Great Lakes versus their?Eurasian source populations: insights for risk analysis. Risk.?Anal. 25:1043-1060. http://doi.org/10.1111/j.1539-6924.2005.00655.x 

  30. Teacher AGF and DJ Griffiths. 2011. HapStar: Automated haplotype network layout and visualization. Mol. Ecol. Resour.?11:151-153. https://doi.org/10.1111/j.1755-0998.2010.02890.x 

  31. Van Oosterhout C, WF Hutchinson, DP Wills and P Shipley. 2004.?MICRO-CHECKER: software for identifying and correcting?genotyping errors in microsatellite data. Mol. Ecol. Resour.?4:535-538. https://doi.org/10.1111/j.1471-8286.2004.00684.x 

  32. Yi S, Y Li, L Shi, L Zhang, Q Li and J Chen. 2018. Characterization of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red swamp crayfish,?Procambarus clarkii, in China. Sci. Rep. 8:5586. https://doi.org/10.1038/s41598-018-23986-z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