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𝛽-Glucosidase 생성 효모 Rhodotorula sp. GYP-1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𝛽-Glucosidase-Producing Yeast, Rhodotorula sp. GYP-1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40 no.5, 2023년, pp.1126 - 1135  

노현수 (목원대학교 미생물생명공학과) ,  권민영 (목원대학교 미생물생명공학과) ,  김솔비 (쏠바이오(주)) ,  조재은 (쏠바이오(주)) ,  한송이 (목원대학교 미생물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부산물 및 인삼밭 토양에서 분리한 9균주 중 𝛽-Glucosidase 생성 균주 GYP-1과 GYP-3-3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𝛽-Glucosidase 생성 균주에 대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ITS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계통 분석을 실시한 결과, GYP-1 균주는 Rhodotorula 속에 속하며, GYP-3-3은 Brachybacterium 속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Rhodotorula sp. GYP-1 균주는 호기성 효모종으로 biomass 생산량이 높아 최종 우수 균주로 선발하였다. Rhodotorula sp. GYP-1가 생성하는 𝛽-Glucosidase의 온도 및 pH에 따른 효소 활성 및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 30 ℃에서 6.7 unit/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20 ℃ ~ 40 ℃에서 효소 활성의 약 70 % 이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H에 따른 효소의 활성 및 안정의 경우, pH 5에서 6.8 unit/ml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pH 5~pH 8까지 93.3 % 이상의 효소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Rhodotorula sp. GYP-1가 생성하는 𝛽-Glucosidase는 ginsenoside Rb1 minor 진세노사이드로 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삼 뿌리 병원균(Botrytis cinerea)에 대해 항진균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ne microb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byproduct of ginseng processing and field of ginseng cultivation. Two strains among them were confirme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se 𝛽-Glucosidase strains confirmed that strain GYP-1 belongs to the Rhodotorula and strain GYP-3-3 belong to genu...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22)

  1. Y. Kikuchi, H. Sasa, T. Kita, J. Hirata, T.?Tode, I. Nagata, "Inhibition of human?ovaria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vitro by?ginsenoside-Rb2 and adjuvant effects of?cisplatin in vivo", Anticancer Drug, Vol.2, pp. 63-67, (1991). 

  2. H. Oura, S. Hiai, T. Nakajima, "Color?reaction of some sapogenins and saponins?with vanillin and sulfuric acid", Planta?Medica, Vol.29, pp. 116-122, (1976). 

  3. J. H. Han, S. J. Park, C. N. Ahn, J. J.?Wee, K. Y. Kim, S. H. Park, "Nutritional?composition, ginsenoside content and?fundermental safety evaluation with leaf?and stem extract of Panax ginseng",?Journal of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3, No.5 pp. 778-784, (2004). 

  4. D. C. Yang, H. Y. Choi, Y. H. Kim, K.?Y. Yun, D. C. Yang, "Growth and?ginsenoides production of hairy root via?light energy",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20, No.3 pp. 318-324, (1996). 

  5. H. K. Chang, "Effect of processiong?methods on the saponin contents of Panax?ginseng leaf-tea", The Korean Journal of?Food And Nutrition, Vol.16, No.1 pp. 46-53, (2003). 

  6. J. W. Lee, J. H. Do, "Antioxidative?activity of ethanol extraction fraction from?the Korean red tail ginseng", Korean J?Food Sci Technol, Vol.33, No.4 pp.497-500, (2001). 

  7. H. Kitazawa, T. Harata, J. Uemura, T.?Saito, T. Kaneko, T. Itoh, "Phosphate?group requirement for mitogenic activation?of lymphocytes by an extracellular?phosphopolysaccharide from Lactobacillus?delbrueckii subsp. bulgaricus", Int. J. Food?Microbiol, Vol.40, No.3 pp. 169-175, (1998). 

  8. Y. J. Chen, M. Nose, Y. Ogihara,?"Alkaline cleavage of ginsenoside", Chem.?Pharm. Bull, Vol.35, No.4 pp. 1653-1655, (1987). 

  9. H. Chi, B. H. Lee, H. J. You, M. S. Park,?G. E. Ji, "Differential transformation of?ginseoside from Panax ginseng by lactic?acid bacteria", J. Microbiol. Biotechnol, Vol.16, No.10 pp. 1629-1633, (2006). 

  10. H. G. Kim, K. Y. Kim, C. J. Cha,?"Screening for ginseng fermenting?microorganisms capable of biotransforming?ginsenosides", Kor. J. Microbiology, Vol.43, No.2 pp. 142-146, (2007). 

  11. M. H. Jang, M. D. Kim, "Exploration of?β-Glucosidase activity of lactic acid?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Food?Engineering Progress, Vol.14, No.3 pp.?243-248, (2010). 

  12. I. H. Jeon, G. Y. Cho, S. I. Han, S. K.?Yoo, K. S. Whang, "Conversion of?ginsenoside Rb1 and taxonomical?characterization of Stenotrophomonas sp.?4KR4 from ginseng rhizosphere soil",?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49,?No.4 pp. 369-376, (2013). 

  13. O. S. Kim, Y. J. Cho, K. Lee, S. H.?Yoon, M. Kim, "Introducing EzTaxon-e: a prokaryotic 16S rRNA gene sequence?database with phylotypes that represent?uncultured species", Microbiology, Vol.62,?pp.716-721, (2012). 

  14. K. Tamura, G. Stecher, D. Peterson, A.?Filipski, S. Kumar, "MEGA6: Molecular?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Vol.30,?No.12 pp. 2725-2729, (2013). 

  15. J. R. Na, Y. J. Kim, S. H. Kim, H. B.?Kim, J. S. Snim, S. Y. Kim, D. C. Yang,?"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by ginseng?soil bacterium Cellulosimicrobium sp. Gsoil?235 according to various culture broths",?Kor. J. Microbiol. Biotechnol, Vol.37,?No.1 pp. 55-61, (2009). 

  16. S. Loqman, E. A. Barka, C. Clement, Y.?Ouhdouch, "Antagonistic actinomycetes?from Moroccan soil to control the?grapevine gray mold", World Journal of?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25,?No.1 pp. 81-91, (2009). 

  17. B. Dworecka-Kaszak, M. Kizerwetter-Swida, "Pseudomycelium forming Rhodotorula - unusual picture of biofilm", Food?Bioscience, Vol.5 pp. 64-72, (2014). 

  18. E. Reiss, H. Jean, G. Marshall-Lyon,?"Fundamental medical mycology", Wiley-Blackwell, pp. 656, (2012). 

  19. I. Marova, M. Carnecka, A. Halienova,?M. Certik, T. Dvorakova, A. Haronikova,?"Use of several waste substrates for?carotenoid-rich yeast biomass production",?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95 pp. S338-S342, (2012). 

  20. M. Roadjnakamolson, W. Suntornsuk,?"Production of β-carotene-enriched rice?bran using solid-state fermentation of?Rhodotorula glutinis", Journal of?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20,?No.3 pp. 525-531, (2010).? 

  21. Y. Ke, L. Huang, Y. Song, Z. Liu, L.?Liang, L. Wang, T. Wang, "Preparation?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minor?ginsenoside nanoparticles: a review", Front?Pharmacol, Vol.13, pp. 974274, (2022). 

  22. B. K. Shin, S. W. Kwon, J. H. Park,?"Chemical diversity of ginseng saponins?from Panax ginseng", Journal of Ginseng?Research, Vol.39, No.4 pp. 287-29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