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려의 향문화(香文化)와 향로(香爐)
Goryeo Dynasty Incense Culture and Incense Burners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2, 2023년, pp.62 - 78  

박지영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초록

향을 피우는 행위는 불교 의례나 관습에서 유래되었으나 점차 일상의 습속(習俗)이 되어 향문화를 형성하였다. 고려는 종교나 국가적인 의례 외에도 일상 속에서 향을 폭넓게 향유하였는데, 특히 고려의 문인들은 연거분향을 통해 삶의 고아한 정취를 즐겼다. 이러한 분위기는 동아시아 향문화의 일환으로 분향방식 역시 동시기 중국과 같은 방식을 공유하였는데, 이는 고려 문인들의 문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분향방식은 향로의 크기나 형태 등에 영향을 주었는데, 일상화된 분향 문화에 적합한 간소화된 소형의 향로들이 널리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소형 향로로 배(杯) 형태의 향완이 대표적이다. 향완은 종교적 용도의 금속제 거향로로 인식되어 왔지만, 송대에는 소형 향완이 도자로 활발히 제작되면서 일상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송과 같은 향문화, 분향방식을 공유했던 고려에서도 도자 향완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였다. 이는 개경에서 발견된 다수의 송대 백자향완, 그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고려의 청자향완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2~13세기에 제작된 청자 향완은 고려 내부의 적극적인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중국 백자향완과 유사한 형태의 청자향완 외에도 금속기를 모방하거나 고려청자의 기법과 문양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고려만의 청자향완들이 제작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고려시대 향로는 기본적으로 각종 의례·의식의 필수품이었지만, 개인 향문화의 확산으로 아취를 위한 기호품으로도 사용되었다. 금속제 향로나 고급 청자 향로들이 주로 국가나 종교의 의례·의식에 사용되었다면, 비교적 생산이 용이한 간소화된 도자 향로는 개인적인 수요에 부응하며 향문화의 확산에 기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t of burning incense originated from Buddhist rituals and customs, and gradually formed its own culture. In the Goryeo Dynasty, in addition to religious and national rituals, incense came to be enjoyed more generally and widely. In particular, Goryeo literati enjoyed the elegant lifestyle of s...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27)

  1. 「宣和奉使高麗圖經」 

  2. 「東文選」 

  3. 「東國李相國全集」 

  4. 「及菴詩集」 

  5. 「陶隱集」 

  6. 「高麗史」 

  7. 「香譜」 

  8. 「牧隱集」 

  9. 「四家詩集」 

  10. 「獨谷先生集」 

  11. 浙江省博物?.法?寺博物?, 2015, 「香遠益淸」, 中國書店, pp.106~107. 

  12. 강경남, 2010, 「청자사자장식향로에 관한 시론적 고찰」, 「동원학술논문집」 11,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pp.15~39. 

  13. 권순형, 2013, 「고려 전.중기 향과 문화 생활」, 「한국문화연구」 15,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pp.7~35. 

  14. 김윤정, 2021, 「고려 12세기 瑞獸 소재 청자의 등장과 의미」, 「고려청자 문양의 시대적 상징성 고찰-학술심포지엄자료집」, 고려청자박물관, pp.24~26. 

  15. 김지은, 2013, 「고대 香藥의 유통과 불교의례」, 「경주사학」37, 경주사학회, pp.1~32. 

  16. 박지영, 2007, 「고려 양각청자의 성격」, 「강좌미술사」 29, 한국미술사연구소, p.63. 

  17. 백은경, 2010, 「원산도 인양 청자향로 연구」, 「해양문화재」 3,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pp.5~50. 

  18. 이용진, 2012, 「高麗時代佛敎香爐의 傳統性과 獨創性」, 「동악미술사학」 13, 동악미술사학회, pp.151~180. 

  19. 이희관, 2011, 「대섬 해저 인양 靑瓷火爐形香爐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해양문화재」 4,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pp.7~74. 

  20. 최국희, 2020, 「滿城漢墓출토 香具를 통해 살펴본 한대 香文化」, 「동양미술사학」 10, 동양미술사학회, pp.75~96. 

  21. 하수민, 2020, 「고려시대 동아시아 훈의문화와 향재의 교역 연구」, 「문화재」 53(2), 국립문화재연구소, p.205. 

  22. 김경인, 2022, 「고려시대 유입 송대 남방 백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97~99. 

  23. 김현경, 2019, 「高麗時代 靑磁佛具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81~82. 

  24. ??, 2016, 「宋?香??意」, 中?美??院, pp.14~21. 

  25. 魏?敏, 2012, 「宋代陶瓷香熏?造型特征?究」, 景德?陶瓷?院?士?位?文, pp.5~29. 

  26. ?琳琳, 2020, 「?宋?看宋代香具?香事活?」, ??科技大??究生?位?文, pp.26~44. 

  27. 布宇?, 2021, 「陶瓷行??究」, 中?社?科?院大? ?士???位?文, pp.6~4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