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AR 영상과 GPS 추적기를 이용한 여름철 해빙 이동 궤적 추적
Sea Ice Drift Tracking from SAR Images and GPS Tracker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9 no.3, 2023년, pp.257 - 268  

박정원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 ,  김현철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 ,  서민지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 ,  박지은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 ,  박진구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빙은 지구의 태양에너지 흡수량 및 대기-해양간 열과 물질 교환을 조절함으로써 기후조절자의 역할을 하며 그 생성, 이동, 소멸은 인공위성에 의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되고 있다. 그러나 수동마이크로파방사계 관측을 중심으로 한 저해상 산출물은 해빙 표면이 빠르게 변하는 여름철에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며,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관측이 대체재로 떠오르고 있으나 그간의 연구는 주로 겨울철 해빙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SAR 영상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추적기를 이용하여 해빙의 거칠기, 높낮이, 구조 등 표면 상태 변화가 심한 늦여름~초가을 시기의 해빙 이동 추적 기술을 평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보다는 관측 불확실성이 증가하나 GPS 실측치와의 상관관계는 0.98로 우수했으며, 해빙 농도 50% 이상인 경우에 해빙 농도와 적용 알고리즘의 산출 성능은 상관관계 0.59로 서로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 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arth's climate by regulating the amount of solar energy absorbed and controlling the exchange of heat and material across the air-sea interface. Its growth, drift, and melting are monitored on a regular basis by satellite observations. However, low-resolution prod...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GPS 추적기가 기록한 실제 위치 변화와 SAR 영상 기반 추적 결과와의 비교를 위해 GPS 추적기의 기록을 SAR 영상쌍의 취득 시간에 맞춰 보간하였다. 또한 UTC 12시를 기준시간으로 하는 저해상 해빙 이동량 자료(OSI-405-C)와 해빙 농도 자료(OSI-408)도 SAR 영상쌍의 취득 시간 전후로 1일씩을 추가한 시계열 자료로부터 값을 보간하였다.
  • 또한 UTC 12시를 기준시간으로 하는 저해상 해빙 이동량 자료(OSI-405-C)와 해빙 농도 자료(OSI-408)도 SAR 영상쌍의 취득 시간 전후로 1일씩을 추가한 시계열 자료로부터 값을 보간하였다. 따라서 SAR 영상 기반 추적 결과 각각에 대해 GPS 추적기 위치 변화와 보조자료인 저해상 해빙 이동량, 해빙 농도를 포함하는 4종 자료를 비교하고 상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해빙 표면의 변화가 적은 겨울철에 한해 적용, 평가되었던 SAR 영상 기반 해빙 이동 추적 기술을 레이더 관점에서 가장 표면 식별도가 떨어지는 늦여름~가을철 해빙에 대해 확장 적용했으며, 직접 설치한 GPS 추적기의 기록과 대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겨울철 해빙에 비해 약 6.
  • 앞서 3.2절에서 보인 SAR 기반 해빙 이동 추적에 비해 기존 저해상도 해빙 이동량 산출물이 가지는 정확도 평가를 위해 동일한 방식으로 GPS 추적기와 OSI-405-C 산출물을 비교하였다. Fig.
  • 이 연구는 SAR 영상과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추적기를 이용하여 융빙-재결빙으로 해빙의 표면 변화가 심한 늦여름~초가을 시기의 해빙 이동 추적 기술을 검증하고 적용 한계를 분석한다. 또한 같은 기간에 해당하는 기존 저해상 해빙 이동 산출물의 정확도를 평가한다.

대상 데이터

  • Fig. 1은 OSI-405-C 해빙 이동량 자료(2.2.3절 참조)를 이용하여 GPS 추적기 설치 후 3개월간의 평균 해빙 이동 속도를 나타낸 것이며, 우측열의 월별 평균 움직임에서 융빙 말기인 8월에는 남동쪽, 결빙 초기인 10월에는 남서쪽을 향했다. 그 중간의 해빙 극소기인 9월에는 명확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시기에 비하여 해당 위치가 해수-해빙 경계선에 가깝고 해빙 농도가 낮아 위성 관측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극지연구소의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는 매년 북반구의 여름철에 해당하는 7~9월에 척치해, 보퍼트해, 동시베리아해에서 극지 해양, 해빙, 대기, 지질 등에 대한 이동 항해 연구를 수행하며 조사기간 중 일부(통상 1주 이내)는 해빙에 정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2022년에는 8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직경 약 10 km, 두께 약 1.2 m의 다년빙(multiyear ice)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했으며, 이 과정에서 해당 해빙의 표면에 GPS 추적기를 설치하였다. 설치 시 기록한 위치는 76° 13′ 26.
  • GPS 추적기는 UTC 2022년 8월 3일 22시경부터 11월 4일 14시까지 94일 동안 총 2,192 지점의 위치를 기록했다. Fig.
  • GPS 추적기는 아두이노(Arduino) 기반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저비용의 부이를 개발하는 WRG 사(https://www.makerbuoy.com)의 Maker Buoy 제품을 사용하였다. 해당 제품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GPS 모듈, Iridium 모뎀, 2,000 mAh 리튬폴리머 전지, 1 W 태양광 충전 패널, 방수 외장 등으로 단순하게 구성된다.
  • Table 1은 전술한 Sentinel-1과 KOMPSAT-5의 재원 및 자료의 특성을 정리한 것이며, Table 2는 본 연구에 사용한 영상쌍 목록이다. KOMPSAT-5는 다른 미션 수요에 의해 GPS 추적기의 설치 이후 초반에만 획득되었으며, 전반적인 연구 수행은 Sentinel-1을 주로 이용하였다.
  • 극지연구소의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는 매년 북반구의 여름철에 해당하는 7~9월에 척치해, 보퍼트해, 동시베리아해에서 극지 해양, 해빙, 대기, 지질 등에 대한 이동 항해 연구를 수행하며 조사기간 중 일부(통상 1주 이내)는 해빙에 정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2022년에는 8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직경 약 10 km, 두께 약 1.
  • KOMPSAT-5 (아리랑-5호)는 대한민국의 다목적실용위성 중 SAR로는 첫 번째 미션으로 개발된 X-밴드 SAR 위성으로, 2013년 8월 발사 이래 당초 임무 수명 기한인 4년을 훨씬 넘긴 현재까지도 운용 중이다. 이 연구에서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의 현장활동 기간을 전후하여 주변 해빙 상황의 고해상도 판별을 위해 KOMPSAT-5 영상의 촬영을 요청, 획득하였으며, GPS 추적기의 위치가 포함된 영상의 수는 7장이다. 이들 영상은 모두 100 km 관측폭의 ScanSAR 모드로 관측되었으며, multi-looking과 ground-range projection 및 geocoding까지 거친 geocoded earth corrected (GEC) 형식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 8의 왼쪽 도표에서 KOMPSAT-5 결과의 군집은 낮은 최대상관계수를 가지면서도 적은 측정오차를 보인다. 이는 KOMPSAT-5와 Sentinel-1의 센서 및 자료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으로 추정하며, 이후의 분석은 영상쌍 수가 5개 밖에 없어 통계적 산출이 어려운 KOMPSAT-5를 제외하고 Sentinel-1만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의 현장활동 기간을 전후하여 주변 해빙 상황의 고해상도 판별을 위해 KOMPSAT-5 영상의 촬영을 요청, 획득하였으며, GPS 추적기의 위치가 포함된 영상의 수는 7장이다. 이들 영상은 모두 100 km 관측폭의 ScanSAR 모드로 관측되었으며, multi-looking과 ground-range projection 및 geocoding까지 거친 geocoded earth corrected (GEC) 형식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 com)의 Maker Buoy 제품을 사용하였다. 해당 제품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GPS 모듈, Iridium 모뎀, 2,000 mAh 리튬폴리머 전지, 1 W 태양광 충전 패널, 방수 외장 등으로 단순하게 구성된다. 사용자가 GPS 위치 정보 수집에 사용할 시간 길이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수집된 위치 정보는 전력 및 위성통신 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기록을 모아 한 번에 전송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arlson, D. F., Pavalko, W. J., Petersen, D., Olsen, M.,?and Hass, A. E., 2020. Maker buoy variants for?water level monitoring and tracking drifting?objects in remote areas of Greenland. Sensors,?20, 1254. https://doi.org/10.3390/s20051254? 

  2. Copernicus, 2022. News: End of mission of the Copernicus?Sentinel-1B satellite. Available online: https://sentinels.copernicus.eu/web/sentinel/-/end-ofmission-of-the-copernicus-sentinel-1b-satellite/1.5?(accessed on Apr. 26, 2023).? 

  3. Haas, C., 2017. Sea ice thickness distribution. In:?Thomas, D. N. (eds.), Sea ice (3rd ed.), John?Wiley and Sons, Ltd., pp. 42-64. https://doi.org/10.1002/9781118778371.ch2? 

  4. Hibler, W. D., Roberts, A., Heil, P., Proshutinsky, A. Y.,?Simmons, H. L., and Lovick, J., 2006. Modeling?M2 tidal variability in Arctic Sea-ice drift and?deformation. Annals of Glaciology, 44, 418-428.?https://doi.org/10.3189/172756406781811178? 

  5. Hollands, T. and Dierking, W., 2011. Performance of?a multiscale correlation algorithm for the?estimation of sea-ice drift from SAR images:?Initial results. Annals of Glaciology, 52(57),?311-317. https://doi.org/10.3189/172756411795931462? 

  6. Kimura, N., Nishimura, A., Tanaka, Y., and Yamaguchi,?H., 2013. Influence of winter sea-ice motion on?summer ice cover in the Arctic. Polar Research,?32(1), 20193. https://doi.org/10.3402/polar.v32i0.20193? 

  7. Komarov, A. S. and Barber, D. G., 2014. Sea ice?motion tracking from sequential dual-polarization?RADARSAT-2 images. IEEE Transactions on?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2(1), 121-136.?https://doi.org/10.1109/TGRS.2012.2236845? 

  8. Korosov, A. and Rampal, P., 2017. A combination?of feature tracking and pattern matching with?optimal parametrization for sea ice drift retrieval?from SAR data. Remote Sensing, 9(3), 258.?https://doi.org/10.3390/rs9030258? 

  9. Kort, E. A., Wofsy, S. C., Daube, B. C., Diao, M.,?Elkins, J. W., Gao, R. S. et al., 2012. Atmospheric?observations of Arctic Ocean methane emissions?up to 82° north. Nature Geoscience, 5, 318-321,?https://doi.org/10.1038/ngeo1452? 

  10. Kwok, R., Curlander, J. C., McConnell, R., and Pang, S.?S., 1990. An ice-motion tracking system at the?Alaska SAR facility. IEEE Journal of Oceanic?Engineering, 15(1), 44-54. https://doi.org/10.1109/48.46835? 

  11. Kwok, R., 2018. Arctic sea ice thickness, volume, and?multiyear ice coverage: Losses and coupled?variability (1958-2018). Environmental Research?Letters, 13, 105005. https://doi.org/10.1088/1748-9326/aae3ec? 

  12. Lavelle, J., Tonboe, R., Pfeiffer, R.-H., and Howe, E.,?2016. Validation report for the OSI SAF AMSR-2?sea ice concentration - ver. 1.1 (Technical Report SAF/OSI/CDOP/DMI/SCI/RP/259). EUMETSAT?OSI SAF - Ocean and Sea Ice Satellite Application?Facility. https://osisaf-hl.met.no/sites/osisaf-hl.met.no/files/validation_reports/osisaf_cdop2_ss2_valrep_amsr2-ice-conc_v1p1.pdf? 

  13. Lavergne, T., 2016. Validation and monitoring of the?OSI SAF low resolution sea ice drift product -?ver. 5 (Technical Report SAF/OSI/CDOP/met.no/T&V/RP/131). EUMETSAT OSI SAF - Ocean?and Sea Ice Satellite Application Facility. https://osisaf-hl.met.no/sites/osisaf-hl.met.no/files/validation_reports/osisaf_cdop2_ss2_valrep_sea-ice-driftlr_v5p0.pdf? 

  14. Leck, C., Norman, M., Bigg, E. K., and Hillamo, R.,?2002.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s of the?high Arctic aerosol relevant for cloud formation.?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107(D12), AAC 1-1-AAC 1-17. https://doi.org/10.1029/2001jd001463? 

  15. Maykut, G. A., 1986. The surface heat and mass balance.?In: Untersteiner, N. (eds.), The geophysics of sea?ice, Springer, pp. 395-463. https://doi.org/10.1007/978-1-4899-5352-0_6? 

  16. McPhee, M. G., 2017. The sea ice-ocean boundary?layer. In: Thomas, D. N. (eds.), Sea ice (3rd ed.),?John Wiley and Sons, Ltd., pp. 138-159. https://doi.org/10.1002/9781118778371.ch5? 

  17. Park, J.-W., Korosov, A. A., Babiker, M., Won, J.-S.,?Hansen, M. W., and Kim, H.-C., 2020. Classification?of sea ice types in Sentinel-1 synthetic aperture?radar images. The Cryosphere, 14(8), 2629-2645.?https://doi.org/10.5194/tc-14-2629-2020? 

  18. Park, J.-W., Kim, H.-C., Korosov, A., Demchev, D.,?Zecchetto, S., Kim, S. H. et al., 2021. Feasibility?study on estimation of sea ice drift from KOMPSAT5 and COSMO-SkyMed SAR images. Remote?Sensing, 13(20), 4038. https://doi.org/10.3390/rs13204038? 

  19. Perovich, D. K., Light, B., Eicken, H., Jones, K. F.,?Runciman, K., and Nghiem, S. V., 2007. Increasing?solar heating of the Arctic Ocean and adjacent?seas, 1979-2005: Attribution and role in the icealbedo feedback.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L19505. https://doi.org/10.1029/2007gl031480? 

  20. Sumata, H., Kwok, R., Gerdes, R., Kauker, F., and?Karcher, M., 2015. Uncertainty of Arctic summer?ice drift assessed by high-resolution SAR data.?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20(8),?5285-5301. https://doi.org/10.1002/2015JC010810? 

  21. Thomas, M., Geiger, C. A., and Kambhamettu, C., 2008.?High resolution (400m) motion characterization?of sea ice using ERS-1 SAR imagery. Cold?Regions Science and Technology, 52(2), 207-223.?https://doi.org/10.1016/j.coldregions.2007.06.006? 

  22. Wadhams, P., 2000. Ice in the ocean. CRC Press.? 

  23. Weiss, J., 2013. Drift, deformation, and fracture of sea ice:?A perspective across scales. Springer Dordrecht.?https://doi.org/10.1007/978-94-007-620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