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록(염화동) 안료의 제조방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Manufactur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grok(copper chloride) pigments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2, 2023년, pp.148 - 169  

강영석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박주현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문성우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황가현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김명남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이선명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엽은 짙은 녹색을 띠는 전통 안료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색상, 원료물질, 제법 등에 대해서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단청, 괘불, 회화 등 채색문화유산의 안료 분석연구를 통해 밝혀진 하엽 안료의 입자형태나 구성광물 등을 볼 때 염 부식으로 제조된 동록 안료로 보인다. 따라서 하엽 안료를 복원하기 위해 고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동록 안료의 제조방법을 연구하였다. 고문헌 기록에서 확인되는 동록 안료의 제조방법은 동분말과 부식제를 혼합한 후 습한 조건에서 방치하여 부식시키는 자연 부식방법이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동분말을 부식시키기 위해 부식시험기를 이용한 인공부식을 도입하였고, 부식제 혼합비율, 부식 기간에 따른 부식생성물의 상태를 분석하여 적정 혼합비율과 부식 기간을 선정하였다. 또한, 잔류 부식제를 제거하기 위한 염 제거 공정과 안료 채색 시 채도를 높이기 위한 정제공정을 추가하여 동록 안료의 제조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정립된 방법으로 제조된 동록 안료는 청록 혹은 녹색의 색상을 나타냈다. 안료 입자는 표면이 다공성으로 타원형 형태의 작은 입자들이 뭉쳐져 있는 형태를 보였다. 주요 구성원소는 구리(Cu)와 염소(Cl)이고, 구성광물은 녹염동광[atacamite, Cu2Cl(OH)3]으로 동정되었다. 제조된 동록 안료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촉진내후성 시험을 진행한 결과,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녹색도가 일부 감소하고 황색도가 증가하는 색변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열화 전 동록 안료의 색도는 고단청의 하엽 안료와 비교할 때 황색도가 낮은 편이었으나 열화 후에는 황색도가 크게 증가하여 고단청의 하엽 안료와 유사한 색도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동록 안료는 입자형태나 구성광물뿐만 아니라 색상에서도 고단청의 하엽 안료를 구현하여 재현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yeob pigment is known as one of the traditional dark green pigments, but the color, raw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However,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article shape and constituent minerals of Hayeob pigments revealed through pigment analysis s...

주제어

표/그림 (31)

참고문헌 (14)

  1. 강규성, 2011, 「녹색 무기안료의 재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10~19. 

  2. 강영석.문성우.이선명.정혜영, 2020, 「산부식법으로 제조한 동록 안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36(3), pp.178~186.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20, 「천연 무기안료」, pp.134~147. 

  4.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전통 인공 무기안료」, pp.231~236. 

  5. 오준석.이새롬.황민영, 2020, 「구리와 염소 주성분 녹색 안료 코퍼 트리하이드록시클로라이드(Copper Trihydroxychloride)에 대한 고찰」, 「문화재」 53(2), pp.64~87. 

  6. 이은우.경유진.윤지현.권윤미.송정원.서민석.이장존, 2019, 「과학적 분석에 의한 은혜사 괘불탱의 상태 및 재료 해석, 「보존과학회지」 35(6), pp.689~700. 

  7. 이장존.경유진.이종수.서민석, 2019, 「보은 법주사 괘불탱의 미술사적 특징과 채색 안료의 과학적 분석 연구」, 「문화재」 52(4), pp.226~245. 

  8. 이찬희.이정은.한나라, 2012, 「서울 동관왕묘 소조상 채색안료의 정밀분석 및 동정」, 「보존과학회지」 28(2), pp.101~112. 

  9. 장수비.조남철.강형태, 2015, 「조선시대 상평통보의 성분 조성과 미세조직을 통한 재료학적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31(3), pp.319~330. 

  10. 전익환.이재성.박장식, 2013, 「고려 말 청동용기에 적용된 제작기술의 다양성 연구」, 「문화재」 46(1), pp.208~227. 

  11. 한우림.김소진.이은우.황진주, 2019, 「강릉 굴산사지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제작: 제자기술 및 원료산지」, 「보존과학회지」 35(3), pp.187~196. 

  12. 황가현.이선명.정혜영, 2022, 「전통단청에 사용된 채색안료의 현황과 원료 특성: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를 중심으로」, 「보존과학회지」 38(6), pp.703~719. 

  13. Scott, D.A., 2000, 'A review of copper chlorides and related salts in bronze corrosion and as painting pigments', Studies in Conservation, 45, pp.39~53. 

  14. Yong, L., 2012, 'Copper trihydroxychlorides as pigments in China', Studies in Conservation, 57(2), pp.106~1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