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유산도시 경주의 유산화 과정과 지역공동체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ritagization Process and Local Community in Gyeongju, a World Heritage City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1, 2023년, pp.226 - 256  

함예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김의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주는 약 1,000여 년 간 신라의 수도였으며 시내에는 월성, 대릉원, 동궁과 월지 등 신라시대를 대표하는 유적들이 다수 분포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까지 지역에 소재한 유적의 유산화 과정이 진행되었다. 유산화는 과거의 산물을 현재의 필요에 따라 선정하여 유산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경우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배 정당화, 광복 이후에는 민족문화 중흥 및 국가적 정체성 형성이라는 목적 하에 국가 주도의 유산화가 이루어졌으며, 경주는 이것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경주의 유산화 과정에서 지역공동체는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받지 못하고 수동적 위치에 머물렀다. 2000년 경주의 유산들은 '경주역사유적지구'라는 명칭으로 경주 시내와 남산 지역의 면 단위 세계유산 등재로 이어졌다. 세계유산 등재와 함께 유산에 대한 지역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인식 전환이 이루어졌고, 이후 2004년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시작으로 지역공동체의 참여를 증진하는 제도적 장치가 지속적으로 정비되고 있다. 하지만 중앙정부와 전문가 집단을 통해 진행된 경주의 유산화 과정은 경주 유산의 의미와 지역성이 이들을 통해 형성된 정체성이 부각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현재까지 지역공동체가 소극적으로 유산화 과정 또는 유산 관리에 참여하게 되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주의 유산화 과정을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실제 경주에서 오랫동안 거주한 지역주민의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제도적 유산화 과정이 주민들에게 미친 영향과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주의 유산 관리에 지역공동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yeongju has been the capital of Silla Kingdom for about 1,000 years, and many cultural heritages of the Silla period, such as the Wolseong Palace Site, Daereungwon Ancient Tomb Complex and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are located in the city.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process of heritagi...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66)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20, 「세계유산 보존관리 제도와 경주 월성」, p.96. 

  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21, 「경주 동궁과 월지 조사.연구 마스터플랜 수립 보고서」, p.17. 

  3. 문화재청, 2021, 「문화재 보존원칙 정립 연구」, p.24. 

  4. 문화재청, 2021,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종합계획(2021~2025)」, p.85. 

  5. 문화재청, 2022,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 정비 시행계획」, p.83. 

  6. 청와대, 1971,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 p.15. 

  7. Ashworth, Gregory John&Tunbridge, John E, 2007, Pluralising Pasts: Heritage, Identity and Place in Multicultural?Societies, London: Pluto Press, pp.1~6. 

  8. Atalay, S, 2012, Community-based archaeology: Research with, by, and for indigenous and local communities. Univ of?California Press. pp.160, 194, 227. 

  9. Australia ICOMOS, 1999, The Burra Charter: The Australia ICOMOS Charter for the Conservation of Places of Cultural?Significance, p.5. 

  10. Council of Europe, 2005, Council of Europe Framework Convention on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for Society, p.5. 

  11. Cohen, Anthony P, 1985, The Symbolic Construction of Community, London: Routeledge, pp. 71~86. 

  12. Gupta, Akhil & Ferguson, James, 1997, Culture, Power, Place: Explorations in Critical Anthropology, Durham and London:?Duke, pp.1~21. 

  13. Harrison, Rodney, 2013, Heritage: Critical Approaches, London: Routeledge, pp.68~69. 

  14. Harrison, Rodney, 2006, Heritage as Social Action, Understanding heritage in practice, Manchester: Manchester?University Press, pp.246~248. 

  15. Smith, A. D., 1986, The ethnic origins of nations, oxford: Blackwell, p.209. 

  16. Smith, Laurajane, 2006, Uses of Heritage, London: Routeledge, pp.29~30. 

  17. Taylor, Ken & Verdini, Giulio, 2022, Management Planning for Cultural Heritage, London: Routeledge, pp.68~69. 

  18. Tunbridge, John E. & Ashworth, Gregory, 1996, Dissonant Heritage: The Management of the Past as a Resource in?Conflict, West Sussex: Wiley, pp.1~3. 

  19. ICOMOS, 2005, Xian Declaration on The Conservation of The Setting Of Heritage Structures, Site and Areas. p.4. 

  20. ICOMOS, 2014, Nara+20: on heritage practices, cultural values, and the concept of authenticity. 20th Anniversary of the?Nara Document on Authenticity Conference, Nara, Japan. 

  21. UNESCO, 2002, WHC-02/CONF.202/5, p.5. 

  22. UNESCO, 2007, WHC-07/31.COM/24. p.22. 

  23. UNESCO, 2011, WHC-11/35.COM/20. p.271. 

  24. UNESCO, 2015,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pp.9, 24. 

  25. UNESCO, 2019,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p.17. 

  26. UNESCO, 2022, The role of visitor centres in UNESCO Designated Sites: report of the third regional Workshop for?Europe, online, 23 September 2021, Ercolano, Italy, 29 September - 2 October 2021; working with communities, p.27. 

  27. Walsh, Kevin, 1992, The Representation of the Past, London: Routeledge, pp.3~5. 

  28. 김영재.한동수, 2002, 「도시 주거지 근린관계분석 위한 방법론연구 - 기존의 국내외 이론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18(11), 대한건축학회, pp.229~238. 

  29. 경주시사편찬위원회, 2006, 「경주시사」, 경주시청, p.786. 

  30. 경주시.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0, 「경주 동궁과 월지 방문객 센터 기본구상 및 타당성 분석」. 

  31. 김동하, 2013, 「일제강점기 경주지역 불교유적조사와 경주고적보존회의 「慶州古蹟及遺物調書」」, 「불교미술사학」 15, 불교미술사학회, p.209. 

  32. 김수민, 2020, 「역사도시의 통합적 보존이 지역의 지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여 고도이미지찾기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과 문화」 7(4),?한국지역문화학회, pp.29~31. 

  33. 김신재, 2021, 「일제강점기 경주 소재 문화재의 지정 현황과 성격」, 「대구사학」 143, 대구사학회, pp.18~22. 

  34. 김의연, 2022, 「세계유산 신라왕경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속성 분석」, 「문화재」 55(1), 국립문화재연구원, p.157. 

  35. 김종수, 2020,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 연구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1933년)' 제정.시행 관련-」, 「문화재」53(2), 국립문화재연구원, pp.159~160. 

  36. 문화공보부, 1978, 「호국선현의 유적」, p.4. 

  37. 배기동, 1999, 「문화재연구소 발굴 30년의 성과와 전망」, 「문화재」 32, 국립문화재연구원, p.6. 

  38. 신창수, 2013, 「한국 고대 불교고고학의 현황」, 「불교와 사회」 21,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p.220. 

  39. 심재권, 1996, 「한반도 평화를 위하여 비핵화와 대안적 안보체제」, 파주: 한울, p.156. 

  40. 오명석, 1998, 「1960~70년대의 문화정책과 민족문화담론」, 「비교문화연구」 4,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p.127. 

  41. 오춘영, 2020, 「20세기 한국 문화재 인식의 이데올로기적 영향과 변화」, 「문화재」 53(4), 국립문화재연구원 pp.64~73. 

  42. 윤소영, 2009, 「식민통치 표상 공간 경주와 투어리즘-1910~20년대 일본인의 여행기를 중심으로-」, 「동양학」 4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p.162. 

  43. 이나연, 2021, 「세계유산 해석에 관한 비판적 연구 : 한.중.일의 세계유산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90. 

  44. 이동현 외, 2022, 「역사적 지역 정체성의 지역민 소외 아이러니에 관한 이론적 고찰」, 「건축역사연구」 31(2), 한국건축역사학회, pp.7~8. 

  45. 이현경 외, 2019, 「문화재에서 문화유산으로: 한국의 문화재 개념 및 역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및 비판」, 「문화정책논총」 33(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15. 

  46. 전덕재, 2015, 「1973년 천마총 발굴과 박정희 정권의 문화재 정책」, 「역사비평」 112, 역사문제연구소, p.198. 

  47. 정재훈, 1965, 「문화재 보존관리의 실적과 그 전망」, 「문화재」 1, 문화재관리국, p.14. 

  48. 조두원, 2015, 「세계유산 남한산성 보존관리에 있어 '매개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한국도시지리학회, p.74. 

  49. 조일형, 2020, 「사적 정비사업과 사회경제적 영향」, 「사적 정비사업과 사회경제적 영향 - 경주 월성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7. 

  50. 최광승, 2012, 「박정희의 경주고도(慶州古都)개발사업」, 「한국학」 35(1), 한국학중앙연구원, pp.190~192. 

  51. 한인규, 2020, 「사적 정비사업과 사회경제적 영향」, 「사적 정비사업과 사회경제적 영향 - 경주 월성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12. 

  52. 허병식, 2007a, 「식민지 조선과'신라'의 심상지리」, 「비교문학」 41, 한국비교문학회, p.99. 

  53. 허병식, 2007b, 「식민지의 장소, 경주의 표상」, 「비교문학」 43, 한국비교문학회, p.186. 

  54. 保田與重郞, 1987, 「慶州」, 「保田與重郞全集 第16卷」, p.388.? 

  55. Aziz, N. A. A., Ariffin, N. F. M., Ismail, N. A., & Alias, A., 2023,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Importance of Living Heritage?Conservation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e Community-Based Education Model towards Creating a Sustainable?Community in Melaka UNESCO World Heritage Site, Sustainability 15(3), p.4. 

  56. Fontal, Olaia & Gomez-Redondo, Carmen, 2016, 'Heritage Education and Heritagization Processes: SHEO Metodology for?Educational Programs Evaluation', Interchange 47, Berlin: Springer, pp.67~69. 

  57. Hodges, Andrew & Watson, Steve, 2000, Community-based Heritage Management: a case study and agenda for research,?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6(3), pp.233~235. 

  58. Human, H, 2015, Democratising world heritage: The policies and practices of community involvement in Turkey, Journal?of social archaeology 15(2), p.165. 

  59. Mickel, A., Filipowicz, P., & Bennison-Chapman, L. 2020, Ethnography, Engagement, Evaluations, and Endings: The?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Community Outreach at Catalhoyuk. Near Eastern Archaeology 83(3), pp.182, 187. 

  60. Silliman, S. W. & Dring, K. H. S, 2008, Working on pasts for futures: Eastern Pequot field school archaeology in?Connecticut, Collaborating at the Trowel's Edge: teaching and learning in indigenous Archaeology, p.74. 

  61. Sjoholm, Jennie, 2016, Heritagisation, Re-Heritagisation and De-Heritagisation of Built Environments -The Urban?Transformation of Kiruna, Sweden-, Doctoral Thesis 2016, Lulea University of Technology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and Natural Resources Engineering Architecture Research Group, pp.26~27.? 

  62.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검색일: 2023.02.07.). 

  63. 유네스코와 유산, https://heritage.unesco.or.kr(접속일: 2023.02.04.). 

  64.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접속일: 2022.11.17.). 

  65.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접속일: 2022.11.17.). 

  66. 경북신문, 2021.07.04., "경주시민 64.5%, 주낙영 시장 시정운영 '만족'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