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역량과 디지털 역량의 관계에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Their Digital Competence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20 no.1, 2024년, pp.1 - 19  

박진희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  손원경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their digital competence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30 early childhood t...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64)

  1. 고영숙, 김숙령 (2021).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교사협의'경험 및 반성적 사고와 실천변화. 코칭연구, 14(2), 195-213. 

  2. 곽현주 (2004). 수업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교육부 (2017).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 방안. 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20402&opTypeN&boardSeq72951에서 2023년 6월 30일 인출 

  4. 교육부 (2020. 11).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정책보고서).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9237에서 2023년 2월 1일 인출 

  5. 교육부 (2021a).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 연수 자료. 교육부. 

  6. 교육부 (2021b). 2021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72752&lev0&statusYNW&smoe&m010611&opTypeN&boardSeq89158에서 2022년 2월 17일 인출 

  7. 교육부 (2022. 8). 디지털 시대의 주인공이 될 100만 인재를 양성합니다.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92346에서 2022년 10월 1일 인출. 

  8. 권숙진 (2021). 유아교육에서 텐저블 미디어를 활용한 디지털 놀이 개념 탐색 연구: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9(1), 1-15. https://doi.org/10.31352/JER.19.1.1 

  9. 권은정, 손원경 (2023).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및 반성적 사고와 유아의놀이몰입 간 구조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8(2), 239-261. https://doi.org/10.20437/KOAECE28-2-10 

  10. 김경철, 오아름 (2021). 증강현실(AR) 기반 교육용 놀이 콘텐츠를 활용한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탐색.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169-195.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169 

  11. 김교령 (2022).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순환, 오현주 (2019).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55-83. https://dx.doi.org/10.22251/jlcci.2019.19.9.1267 

  13. 김아미 (2020). 교원 및 예비교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 강화 방안 연구(정책연구-2020-01-인재양성사업팀). 한국연구재단. 

  14. 김윤지, 김명순 (2023). 어린이집 조직혁신성,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1), 1-21.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1.001 

  15. 김윤희, 황해익 (2015).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에서 나타난 공립유치원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9(4), 339-364. 

  16. 김진미 (2017). 전문적 학습환경, 반성적 사고, 교사 효능감, 유치원 교사 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김하종 (2015).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김혜정, 서희전 (2020). 유아교육을 위한 메이커스페이스 핵심 설계원리 탐구: PTD와 어포던스를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9(1), 203-230. https://doi.org/10.21183/KJCM.2020.03.19.1.203 

  19. 김혜정, 이영신 (2022). 휴머노이드 소셜 로봇 기반 교구개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교과교육학지식과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44-150. 

  20. 노희련 (2022). 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놀이지원역량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1. 동풀잎, 전하윤 (2021). 유아와 교사의 자유로운 소통 공간으로서의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75-99.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75 

  22. 박은혜 (2003). 유아교사론. 창지사. 

  23. 박주연, 박남수, 서희전 (2022). 미래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탐색. 어린이미디어연구, 21(2), 327-360. https://doi.org/10.21183/kjcm.2022.06.21.2.327 

  24. 박주연, 서희전, 박남수 (2023).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및 요구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22(1), 213-244. https://doi.org/10.21183/kjcm.2023.03.22.1.213 

  25. 박지영 (2022).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교사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 창의성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백은영 (2022).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21(4), 253-271. https://doi.org/10.21183/kjcm.2022.12.21.4.253 

  27. 봉현주, 김민정 (2023).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 33-47.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3.33 

  28. 서은영 (2019).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효능감, 반성적 사고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석사학위논문. 

  29. 손귀옥 (2022).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 관련 변인 분석: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의관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안혜령, 이보람, 조우미 (2023). 유아보육.교육기관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이 유아교사의 인공지능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디지털 기기 활용 경험에 의해 조절된 과학교수태도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2), 61-85.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2.061 

  31. 엄문영 (2020). 현장 기반 유치원 교사 직무역량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441-463. https://doi.org/10.24211/tjkte.2020.37.1.441 

  32. 유민아, 황혜신 (2023).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 201-219.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201 

  33. 유수정 (2021).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경대학교석사학위논문. 

  34. 유수정, 이경화 (2021). 유아교사용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의 구성요인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 445-462.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22.445 

  35. 유승연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4(6), 75-100. https://doi.org/10.32349/ECERR.2020.12.24.6.75 

  36. 유신영 (2005).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수업 분석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윤민아, 한유진, 김호 (2021). 디지털 활용 교육 경험을 통한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6(4), 53-86. https://doi.org/10.20437/KOAECE26-4-03 

  38. 윤성례 (2017).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시민교육(digital citizenship education)의 필요성과 방향. 교양교육연구, 11(3), 35-62. 

  39. 이경화, 이소현 (2023).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와 놀이지원 역량 및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 간 관계. 아동교육, 32(1), 135-149. https://doi.org/10.17643/KJCE.2023.32.1.06 

  40. 이순복 (2021).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의 내용과 과제에 대한 탐색. 아동교육, 30(1), 139-155. https://doi.org/10.17643/KJCE.2021.30.1.07 

  41. 이순복, 정아름 (2022).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척도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21(1), 279-304. https://doi.org/10.21183/kjcm.2022.3.21.1.279 

  42. 이영주 (2021).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이완정, 최진아 (2021). 원장의 코칭 리더십이 교사의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반성적사고와 창의적 역할수행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2), 89-10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089 

  44. 이재은, 변영신, 전우용 (2022). AI교육 누리과정과 만나다. 공동체. 

  45. 이지은 (2022).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실태 및 요구 조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임부연 (2020). 「2019개정누리과정」에서 놀이와 교육내용의 연계성 탐구. 어린이교육비평, 10(2), 5-32. 

  47. 장다영, 이경화 (2023).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35(5), 864-874. https://doi.org/10.13000/JFMSE.2023.10.35.5.864 

  48. 장재홍, 신원석, 고유정 (2020). 교사의 AR.VR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및 영향변인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2), 367-393. https://doi.org/10.15833/KAFEIAM.26.2.367 

  49. 조운주 (2023). 인공지능 시대,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역량.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7-50 

  50. 채영란 (2022).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3(1), 2899-2912. https://doi.org/10.22143/HSS21.13.1.205 

  51. 최미애 (2020).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전문성의 구조적관계.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하정빈, 유구종 (2022). 공립유치원 초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강화를 위한 멘토링방안 및 적용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09-115. 

  5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9). 2019 KERIS 이슈리포트: 개발도상국 교원 ICT 역량 강화 연수 과정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4. 한유진 (2022). 디지털 시대의 유아를 위한 미래교육. 교육과학사. 

  55. NPJ데이터분석연구소 (2021).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한 논문작성법. 좋은땅. 

  56. Albirini, A. (2006). Teachers' attitudes towar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case of Syrian EFL teachers. Computers and Education, 47(4), 373-398. https://doi.org/10.1016/j.compedu.2004.10.013 

  57. Baylor, A. L., & Ritchie, D. (2002). What factors facilitate teacher skill, teacher morale, and perceived student learning in technology-using classrooms? Computers and Education, 39(4), 395-414. https://doi.org/10.1016/S0360-1315(02)00075-1 

  58. Howell, J., & McMaster, N. (2022). Teaching with technologies : Pedagogies for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creativity(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9. Larke, L. (2019). Agentic neglect: Teachers as gatekeepers of England's national computing curriculum.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50(3), 1137-1150. https://doi.org/10.1111/bjet.12744 

  60. OECD (n.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 OECD learning compass 2030. Retrieved August 3, 2023 from https://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 

  61. Pollard, A., & Tann, S. (1993). Reflective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Open University Press. 

  62. Redecker, C. (2017). European framework for the digital competence of educators (DigCompEdu). European Commission. Retrieved January 25, 2023 from https://joint-research-centre.ec.europa.eu/digcompedu_en 

  63. van Deursen, A. J. A. M., & van Diepen, S. (2013). Information and strategic Internet skills of secondary students: A performance test. Computers & Education, 63(1), 218-226. https://doi.org/10.1016/j.compedu.2012.12.007 

  64. Wood, E., & N. Bennett, N. (2000). Changing theories, changing practice: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5-6), 635-647.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