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7 no.1, 2024년, pp.50 - 62
최정아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교양학부)
This study examined how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pecifically function in the interpersonal conflict coping strategies of engineering students. For this purpose, a interpersonal conflict coping strategie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cale was used for 548 engineering students. Multiple re...
강헌주(2017). 호텔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갈등관리전략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42(2), 1-27.
김나리(2002).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애착이 갈등 해결 전략에?미치는 영향: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를 매개변인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김선규.최성환(2019). 다문화주의에서의 도덕과 정치의 변증법-당위와 존재 사이에서의 갈등과 대립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31, 143-171.
김영수(2022). 분리-개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인지적?정서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7(1), 327-336.
김완석.심교린.조옥경(2016). 한국판 다차원 신체자각척도(K-MAIA): 개발과 타당화. 스트레스, 24(3), 177-192.
김원표(2017). 다시쓰는 통계분석: 고급회귀분석. 서울:와이즈인?컴퍼니.
김지현(2006). 조망수용, 관계귀인, 갈등대처행동 및 이성교제 만족도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김혜림(2015).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김희숙(2006). 정서조절양식,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류정화.정남운(2023). 대학생의 개별성-관계성의 하위집단에?따른 갈등해결전략이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5), 463-483.
박경옥.박기환(2007). 정서강도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3, 77-95.
박소연(2019). 대학생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능력 간의?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에 의한 갈등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승민.이수원(1995). 갈등관리훈련을 통한 갈등대처행동의?인지적 구성변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5(1),?90-117.
박지숙(2001). 청소년기 이성관계에서의 갈등협상전력과 자아중심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산대학교 대학원.
박희경(2011). 성인애착과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거부민감성의?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공미숙(2006). 대학생의 애착과 정서조절 양식이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안도연.이훈진(2019). 중용적 태도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과?효과검증: 대인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38(2), 147-183.
안현의.이나빈.주혜선(2013).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4(3), 1773-1794.
윤석빈(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사건에 따른 정서조절양식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나빈.민정아.채정호(2011). 우울장애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정도가 희망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차이. 우울조울병, 9(2), 78-86.
이수진.안경식(2010). 청소년의 자의식과 정서조절양식이 또래간 갈등해결정략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7(5), 151-170.
이아라.김원호.이주영(2018). 공과대학생의 진로결정 어려움과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분석. 공학교육연구, 21(3), 20-30.
이은해.고윤주.오원정(2000). 청소년기 친구에 대한 만족감과?친구의 지원 및 갈등해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3), 105-121.
이정석(2013). 거부민감성과 정서강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이학식.임지훈(2023).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2. 서울:?집현재.
임전옥(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관계.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장희순(2019). 청소년기 친구관계의 발달적 특성과 성차: 관계유지전략과 갈등해결전략, 우정만족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발달지원연구, 8(1), 37-57.
전인수(2017).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대학원.
조성현(2012).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조용래(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Assessing Emotion?Dysregulation).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1015-1038.
최규련(1995).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과?부부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3(6),99-113.
최정아(2020). 관계갈등 정서인식곤란 척도 개발 및 타당화.?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 43-64.
최정아(2019). 공과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 탐색. 공학교육연구, 22(6), 63-72.
최창욱 외(2004). 청소년 갈등해결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한국청소년개발원, 7(5), 1-180.
태연우(2014.). 공과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정서조절능력이?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하지원(2004).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황여주(2013). 미혼남녀의 정서조절과 이성관계만족도 관계에서?갈등대처방략의 매개효과와 갈등빈도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Alexander, K. L.(2000). Prosocial Behavior of Adolescence?in Work and Family Life: Empathy and Conflict Resolution?Strategies with Parent and Peers. doctoral dissertation?(Ph. D). Ohio State University.
Arellano, C., & Markman, H.(1995). The Managing Affect?and Differences Scale(MADS): Self-report Measures?Assessing Conflict Management in Couples. Journal of?Family Psychology, 9(3), 319-334.
Beck, A. T. et al.(1979).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The Guilford Press.
Blake, R. R., & Mouton, J. S.(1964). The Managerial?Grid. Houston, Texas: Gulf publishing.
Brehm, S. et al.(2002). Intimate Relationships (3rd ed.).?New York: McGraw-Hill.
Collins, W. A. et al.(1997). Conflict Processes and?Transitions in Parent and Peer Relationships: Implications?for Autonomy and Regulation. Journal of Adolescent?Research, 12(2), 178-198.
Cooper, C. R., & Cooper, R. G.(2016). Links between?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Peers:?Models, Evidence, and Mechanisms. In Family-peer?Relationships (pp. 135-158). Routledge.
Curran, P.J. West, S.G., & Finch, J.(1996). The Robustness?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Methods, 1(1), 16-29.
Deutsch, M.(1973). The Resolution of Conflict: Constructive?and Destructive Process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17(2), 248-248.
Ellis, A., & MacLaren, C.(1995). Rational Emotive Behavior?Therapy: A Therapist's Guide (2nd et.). Impact Publishers.
Garnefski, N., Kraaija, V., & Spinhoven, P.(2001). Negative?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1311-1327.
Gendlin, E. T.(1996). Focusing-oriented Psychotherapy.?New York: The Guilford Press.
Germer, C. K., Siegel, R. D., & Fulton, P. R.(2012).?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The Guildford Press.
Greenberg, L. S.(2016). Emotion-Focused Therapy. (2nd?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Gross, J. J.(2002).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39(3), 281-291.
Hammock, G. S. et al.(1990). Measurement of Conflict in?Social Relationship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11(6), 577-583.?
Hayes, S.C., Strosahl, K. D., & Wilson, K. G.(2012).?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second edition:?The process and Practice of Mindful Change. New York:?Guild Press.?
Mehling, W. E. et al..(2015). Multidimensional Assessment?of Interoceptive Awareness. PLoS ONE 7.?
Mendelson, M. J., Goldbaum, S., & Semeniuk, J.(1995).?Handing Disagreements Questionaire. Unpublished measure.?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Parkinson, B., & Totterdell, P.(1999). Classifying Affect-regulation Strategies. Cognition & Emotion, 13(3), 277-303.?
Pollard, A.(1985). The Social World of the Primary?School. Eastbourne: Holt, Rinehart and Winston.?
Rahim, M. A.(1983). A measure of style of handling?interpersonal conflict. Academy Management Journal, 26,?368-376.?
Schlaerth, A., Ensari, N. & Christian, J.(2013). A meta-analytical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intelligence and leaders' constructive conflict management.?Group Processes & Intergroup Relations. 16(1), 126-136.?
Sternberg, R. J., & Dobson, D.(1987). Resolving Interpersonal Conflicts: An Analysis of Stylistic Consistency.?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794-?812.?
Thomas, K. W., & Kilmann, R. H.(1974). Thomas-Kilmann Conflict Mode Instrument. New York: XICOM,?Tuxedo.?
Vashisht, R., Singh, K., & Sharma, S.(2018). Emotional?intellige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conflict management?and occupational stress: A meta-analysis. Pacific Business?Review International, 11(4), 30-38.?
Williams, M., & Penman, D.(2011). Mindfulness: A?Practical Guide to Finding Peace in a Frantic World.?Piatkus Books.?
Winardi, M. A., Prentice, C., & Weaven, S.(2022).?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emotional intelligence?and conflict management.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Marketing Science, 32(3), 372-39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