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pPCK와 ePCK 사이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PCK and ePCK Perceived b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1, 2024년, pp.95 - 107  

채유정 (서울교육대학교) ,  이기영 (강원대학교) ,  박재용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개인적 PCK(pPCK)와 실행된 PCK(ePCK) 사이의 관계에서 그릿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pPCK, ePCK, 그릿을 잠재변수로 설정하여 연구 가설 모형을 설계하였다. 분석 방법은 잠재 변수를 구성하는 측정변수들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했고,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그릿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측정 모형은 연구 가설 모형에 부합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랩핑 분석 결과,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pPCK와 ePCK 사이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교사 전문성 영역에서 그릿의 중요성과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살펴본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전문성 계발 및 교사교육 연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ived person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CK) and enact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PCK). Drawing on insights from a review of the literature, we developed a resear...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42)

  1. 강훈식(2023).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영향 요인 탐색. 초등과학교육, 42(1), 1-16.? 

  2. 권대훈(2018). 고등학교 교사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그릿(grit), 스트레스, 삶의 만족 간의 관계. 교원교육, 34(3), 209-228.? 

  3. 박성혜(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4. 배병렬(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5. 소연희(2019).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 환경, 그릿과?핵심역량과의 구조적 관계. 교사교육연구, 58(4), 635-650.? 

  6. 오욱환(2005). 교사 전문성: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교육과학사.? 

  7. 우종필(202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개정판). 한나래.? 

  8. 우필희(2010).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실행 전문성 개발의?발달과 학습 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10. 임효진(2019). 그릿 개념의 재정립: 목적, 열정, 인내의 재검토. 교육심리연구, 33(3), 317-339.? 

  11. 조벽(2010). 조벽 교수의 명강의 노하우 & 노와이. 해냄.? 

  12.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2008). 초등학교 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01-921.? 

  13. 조성진, 안연경(2023).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23(12), 427-438.? 

  14. 채유정, 이기영, 박재용(2023). 초등학교 과학 교사가 인식하는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3(4), 389-402.? 

  15.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Marketing Science, 16(1), 74-94.? 

  1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17. Carlson, J., & Dachler, K. (2019). The refined consensus?mod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education. In A. Hume, R. Cooper, & A. Borowski?(Eds.), Repositio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Science. Springer.? 

  18. Carlson, J., Stokes, L., Helms, J., Gess-Newsome, J., &?Gardner, A. (2015). The PCK summit: A process and?structure for challenging current ideas, provoking future?work, and considering new directions. In A. Berry, P.?Friedrichsen, & J. Loughran (Eds.), Re-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Routledge.? 

  19. Chan, K., & Hume, A. (2019). Towards a consensus model:?Literature review of how science teachers' pedagogical?content knowledge is investigated in empirical studies.?In A. Hume, R. Cooper, & A. Borowski (Eds.), Repositio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ers'?Knowledge for Teaching Science. Springer.? 

  20. Cochran, K., DeRuiter, J., & King, R. (1993). Pedagogical?content knowing: 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21. Crede, M., Tyna n, M., & Ha rms, P. (2017). Much a do?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the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 

  22. Dobbins, D. (2016). Teacher effectiveness: Examining the?relationship between teacher grit and teacher self-efficacy?(Doctoral dissertation). Oklahoma State University.? 

  23. Duckworth, A. (2016).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Perseverance. Scribner.? 

  24. Duckworth, A., Kirby, T., Tsukayama, E., Berstein, H., &?Ericsson, K. (2011).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be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2(2),?174-181.? 

  25. Duckworth, A., Peterson, C., Matthews, M., & Kelly, D.?(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26. Duckworth, A., & Quinn, P. (2009). Development and?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27. Duckworth, A., Quinn, P., & Seligman, M. (2009). Positive predictors of teacher effectiveness. The Journal of?Positive Psychology, 4(6), 540-547.? 

  28. Grossman, P.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Teachers College?Press.? 

  29. Hashweh, M. (2005). Teacher pedagogical constructions:?A reconfigur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1(3),?273-292.? 

  30. Keller, M. M., Neumann, K., & Fischer, H. E. (2017). The?impact of physics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motivation on students' achievement and?interes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4(5),?586-614.? 

  31.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N. G.?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Education. Springer.? 

  32. Martin, J. (2020). Researching teacher agency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using positioning theory and grammar of agenc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31(1), 94-113.? 

  33. Morine-Dershimer, G., & Kent, T. (1999). The complex?nature and sources of teachers' pedagogical knowledge.?In J. Gess-Newsome,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Springer.? 

  34. Park, S. (2019). Reconciliation between the refined consensus model of PCK and extant PCK models for advancing PCK research in science. In HA. Hume, R. Cooper,?& A. Borowski (Eds.), Repositio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Science. Springer.? 

  35. Park, S., & Oliver, J.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261-284.? 

  36. Rollnick, M., Bennett, J., Rhemtula, M., Dharsey, N., &?Ndlovu, T. (2008). The plac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i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study?of South African teachers teaching the amount of substance and chemical equilibrium. International Journal?of Science Education, 30(10), 1365-1387.? 

  37. Shavelson, R. J., & Stern, P. (1981). Research on teachers'?pedagogical thoughts, judgments, decisions, and behavior.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1(4), 455-498.? 

  38.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9.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1-23.? 

  40. Sorge, S., Stender, A., & Neumann, K. (2019).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e. In?A. Hume, R. Cooper, & A. Borowski (Eds.), Repositio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ers'?Knowledge for Teaching Science. Springer.? 

  41. Stender, A., Bruckmann, M., & Neumann, K. (2017).?Transformation of topic-specific professional knowledge?into person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lesson plan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12), 1690-1714.? 

  42. Zembylas, M. (2007). Emotional ecology: The intersection?of emotional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4), 355-3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