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강보험 코호트 자료를 활용한 충청남도 지역 환자의 특성에 따른 관외 의료이용과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Patient Characteristics of Chungnam-do and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Using Health Insurance Cohort DB 2.0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34 no.1, 2024년, pp.48 - 58  

이영준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  명세현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  문현우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  우서현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  김선정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이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 및 환자의 특성과 관외 의료기관 이용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충청남도 지역에 거주하는 입원 및 외래 환자들을 통해 도내 진료권을 분석하고, 수도권 및 대전권 의료기관에 대한 관외 의료이용 양상을 파악하여 도내 의료전달체계 개선 및 건강보험 재정 안정 도모를 위한 충청남도 의료정책 사업의 근거적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 연구는 건강보험 코호트 DB 2.0 2016-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원시 자료 중 환자의 거주지가 충청남도 지역이면서, 이용한 요양기관이 상급종합, 종합병원, 병원, 의원인 환자로 한정하였고, 최종적으로 2,570,439건(입원=43,309, 외래=2,527,130)의 자료를 추출하였다. 먼저, 분석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변수별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충청남도 지역 및 환자의 특성과 관외 의료기관 이용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관외 의료기관 이용에 따른 입원 및 외래 환자의 진료 1건당 의료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심사결정 후 건강보험 총요양급여비용을 자연로그값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은 충남권, 대전권, 수도권 순으로 의료기관을 많이 이용하였고, 입원 및 외래 환자 모두 천안, 아산 거주 환자들에 비해 모든 권역에서 관외 의료기관을 더 많이 이용하였다. 특히 공주, 부여, 천안(odds ratio [OR], 72.931) 및 계룡, 논산, 금산(OR, 116.817) 거주 입원 환자는 대전권 의료기관 이용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은 충남권 의료기관에 비해 수도권(외래=17.01%, 입원=22.11%)과 대전권(외래=16.63%, 입원=15.41%) 의료기관에서 더 많은 의료비를 지불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 거주 환자들의 관외 의료이용 양상을 분석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향후 지역 의료기관과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 및 만족도와 환자의 주진단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료의 지역화와 의료공급 효율성 및 건강보험 재정 건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고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ungcheongnam-do patients. We aimed to provide evidence of external medical service use enhance the healthcare delivery system in Chungcheongnam-do. Methods: We u...

Keyword

표/그림 (5)

참고문헌 (27)

  1. Won KA, Yang MA, Park JH. Factor affecting the health care use of the elderl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by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version 1.5). J Korean Gerontol Soc 2020;40(4):747-760. DOI: https://doi.org/10.31888/JKGS.2020.40.4.747? 

  2. Kim J. Income-related inequality of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 2009-2015. Korea Soc Secur Stud [Internet] 2019 [cited 2024 Dec 20];35(2):63-92. Available from: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67590? 

  3. Park Y, Kim JH, Kim S, Kim CY, Han JS, Kim S. Critical analysis of unmet healthcare needs index for addressing regional healthcare inequality. Health Policy Manag 2020;30(1):37-49. DOI: https://doi.org/10.4332/KJHPA.2020.30.1.37? 

  4. Yi YJ, Kim EJ. The effects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on perceived health of urban and rural elderly: using generalized ordered logit model. J Korea Reg Dev Assoc [Internet] 2015 [cited 2023 Dec 20];27(1):65-88. Available from: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78297? 

  5. Lee SJ, Park JY. Changing trends in Daegu and Gyeongbuk-based patients' use of health facilities in Seoul.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10;20(4):19-44.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0.20.4.019? 

  6. Cho JK. An improvement plan for health care delivery system. Health Welf Policy Forum 2010;(169):6-15. DOI: https://doi.org/10.23062/2010.11.2? 

  7. Park YH. Utilization patterns of other region in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rea.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1;5(3):63-76. DOI: https://doi.org/10.12811/kshsm.2011.5.3.063? 

  8. Kim JH, Lee JH, Yu WG, Bang SA, Gang SD, Lee JH, et al. Report on health impact assessment of KTX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cited 2023 Dec 20]. Available from: http://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97? 

  9. Cho WH, Kim HJ, Lee SH. A study o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Korean J Prev Med [Internet] 1992 [cited 2023 Dec 20];25(1):53-63. Available from: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199224717592555.pdf? 

  10. Hwang SC, Lee YH. A study on the use of other treatment rights during inpatient treatment. Health Soc Welf Rev [Internet] 1993 [cited 2023 Dec 20];13(1):1-18.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hswr/assets/pdf/161/journal-13-1-1.pdf? 

  11. Hong SO, Suh WS. Factors associated with utilization patterns of provincial patients discharged from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rea.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9;26(4):117-127.? 

  12. Park EC. The urgency of reforming the healthcare system for the aged society. Health Policy Manag 2018;28(2):105-106.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8.28.2.105? 

  13. Kim GH. Recent diagnosis of patient concentration in large hospitals. Healthc Policy Forum [Internet] 2020 [cited 2023 Dec 20];17(4):10-15. Available from: http://www.rihp.re.kr/publication_forum/01/2019-Vol17-No4-4-1-kim-K-H.pdf? 

  14. Park EC. Strategies for improving healthcare delivery system in Korea. HIRA Res 2021;1(1):9-15. DOI: https://doi.org/10.52937/hira.21.1.1.9? 

  15. Park SY. Jo EK, Lee KS. How were the regional health care resources used efficiently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 2014;40(4):107-119. DOI: https://doi.org/10.22900/kphr.2014.40.4.009? 

  16. Yang YJ, Han YS. The study on the medical use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by hospitalized cancer inpatient residing in Gwangju. J Humanit Soc Sci [Internet] 2022 [cited 2023 Dec 20];13(2):2697-2710. Available from: https://m.riss.kr/link?idA108110461? 

  17. Yang YJ, Han SJ. The study on the medical use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by cancer patients: focused on Jeollanam-do. Health Welf 2022;24(2):221-239. DOI: https://doi.org/10.23948/kshw.2022.06.24.2.221? 

  18. Kim HS. Discharge analysis of Chungcheongbuk-do residents using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in the recent 5 years. J Korea Entertain Ind Assoc 2021;15(8):389-401. DOI: https://doi.org/10.21184/jkeia.2021.12.15.8.389? 

  19. Baek JS, Han SJ. An analysis on the concentration factors of medical use in Seoul metropolitan area of inpatients in Gwangju. J Korea Entertain Ind Assoc 2022;16(3):197-203. DOI: https://doi.org/10.21184/jkeia.2022.4.16.3.197? 

  20. Kim SS. The effect of residential area and hospital bed size on the use of hospital in other regions for cancer inpatients. J Health Inf Stat 2018;43(1):18-25. DOI: https://doi.org/10.21032/jhis.2018.43.1.18? 

  21. Baek JS. Research on medical utility in metropolitan of Jeollanamdo residents. J Humanit Soc Sci [Internet] 2022 [cited 2023 Dec 20];13(2):1091-1104.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271356? 

  22. Lee YJ. A study of the factors and the regional difference of medical aid program recipient's medical utilization. Soc Welf Policy 2007;28:233-251. DOI: https://doi.org/10.15855/swp.2007..28.233? 

  23. Kim JJ, Oh JH, Moon OR, Kwon S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based on the survey of Gwangju-Jeonnam resident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7;17(3):26-49. DOI: https://doi.org/10.4332/KJHPA.2007.17.3.026? 

  24. Jeon YJ, Park JH, Kim YE. Factors affecting the hospital utilization in Seoul and Gyeonggi-do for inpatients residing in non-metropolitan areas. J Korea Acad Ind Coop Soc 2022;23(6):282-291. DOI: https://doi.org/10.5762/KAIS.2022.23.6.282? 

  25. Jeong YJ. The study on medical utilization in Seoul metropolitan regions by patients with congenital malformations residing in Jeollabuk-do. J Health Care Life Sci 2022;10(2):275-283. DOI: https://doi.org/10.22961/JHCLS.2022.10.2.275? 

  26. Lee KJ, Eom HE, Ko JA, Park DH.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 of patient leaning phenomenon in tertiary hospital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ertiary hospital users and managers. Korea J Hosp Manag 2021;26(1):55-70.? 

  27. Oh YH. The 2006 survey on national health care resources: results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Welf Policy Forum 2007;(133):88-102. DOI: https://doi.org/10.23062/2007.11.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