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와 위험요인
Cognitive Impairment and Risk Factors among Elderly Persons Aged 60 or More in Korea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7 no.3, 2013년, pp.450 - 465  

김혜령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양미경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gnitive impairment and risk factors among elderly persons aged 60 or more in Korea using raw data from the 2008 Elderly Survey: Basic Analysis Report of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Survey in Korea. Methods: This stud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대상자의 특성을 인구학적 특성, 건강특성, 사회적 특성으로 다양하게 하고, 둘째 우리나라 60세 이상 인구를 대표하는 표본 자료인 ‘2008년 노인실태조사’를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 전용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여 대표표본의 특성을 살리고자 한다.
  • 셋째 인지장애 측정도구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 하고, 연령, 성별, 교육수준에 의해 보정된 인지장애 기준점을 제시한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C(이하 MMSE-KC라 함)(Lee, Lee, Lee, Kim, & Jhoo, 2002)를 사용하여 도구의 객관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가 발생하는데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 건강특성 및 사회적 특성을 파악하여 노인들의 인지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간호중재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와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MHW, 2009)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와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와 위험요인을 추정함으로써 우리나라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는데 기여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장점으로는 대상자의 특성을 인구학적 특성, 건강특성, 사회적 특성으로 다양하게 하고, 대상자는 우리나라 60세 이상 인구를 대표하는 표본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인지장애 측정도구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 하고, 연령, 성별, 교육수준을 보정한 인지장애 기준점을 이용하였다는 점이다.
  • 동양에 속한 한국과 베트남의 경우 대도시 지역에 비해 농어촌, 산간을 포함한 소도시 지역 노인들에서 인지장애 비율이 높은데 비하여, 서양에 속한 독일의 경우 이와는 달리 소도시 노인들 보다 대도시 노인들의 인지장애 비율이 높다는 점이 흥미로운 점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동과 읍․면에 거주하는 노인의 인지장애 비율의 차이를 밝힘으로서 지역 간 인지장애 관련 위험요인의 원인을 밝히기 위한 정책적 노력의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본다.
  • 이러한 결과들은 비만도와 인지기능에 관한 한 체중이 정상인 노인들에 비해 정상범위에서 벗어난 저체중과 과체중 또는 비만인 노인들 모두에서 인지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저체중 노인이 정상체중이나 과체중 노인에 비해 인지장애 발생의 위험이 높다는 결과를 보고한 초기 연구로 저체중 노인이 인지장애에 있어 고위험인구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성 있는 표본인 2008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와 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의 60세 이상 노인의 인지장애와 위험요인을 규명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노인의 인지장애 고위험 인구를 파악하고 중재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기능의 장애란? 최근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인지장애를 가진 인구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Elizabeth, 2007). 인지기능의 장애는 인간의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Calero, López Pérez-Díaz, Navarro González, & Calero-García, 2013)로,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기능을 유지하는가를 판단하는 기준(Gorske, Daley, Yenerall, & Morrow, 2006)이다.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는 증가하여 개인 단위로 살아가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으며, 질병과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해 인지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Elizabeth, 2007).
인지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지기능의 장애는 인간의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Calero, López Pérez-Díaz, Navarro González, & Calero-García, 2013)로,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기능을 유지하는가를 판단하는 기준(Gorske, Daley, Yenerall, & Morrow, 2006)이다.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는 증가하여 개인 단위로 살아가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으며, 질병과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해 인지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Elizabeth, 2007). 이에 삶의 통합을 이루어야 할 시기인 노년기에 발생하는 인지장애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추세이다(Calero et al.
인지장애는 노인과 그의 가족들의 삶을 위협하고 사회적 국가적 부담을 증가시키는 이유는? 노년기에 오는 인지장애는 그 정도가 경미한 단계에서는 노인의 자존감을 훼손하고(Zunzunegui, Alvarado, Del Ser, & Otero, 2003), 삶의 질을 감소시킨다(Calero et al., 2013). 그러나 인지장애 정도가 심해 지면, 사회적 활동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Zunzunegui et al., 2003) 가족에게 부담을 주고(Gorske et al., 2006), 최종단계에서는 혼자서는 일상생활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인지장애는 노인과 그의 가족들의 삶을 위협하고 사회적 국가적 부담을 증가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rett-Connor, E., Edelstein, S., Corey-Bloom, J., & Wiederholt W. (1996). Weight loss precedes dementia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4(10), 1147-1152. 

  2. Calero, M. D., Lopez Perez-Diaz, A. G., Navarro Gonzalez, E., & Calero-Garcia, M. J. (2013). Cognitive plasticity, cognitive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QoL) in a sample of young-old and old-old adults in southern Spain.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25(1), 35-42. 

  3. Chang, Y., & Etnier, J. L. (2009). Exploring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exercise intensity and cognitive function.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31(5), 640-656. 

  4. Choi, Y. H., & Lee, C. J. (2013). The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variables with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N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5-15. 

  5. Doi, T., Makizako, H., Shimada, H., Park, H., Tsutsumimoto, K., Uemura, K., & Suzuki, T. (2013). Brain activation during dual-task walking and executive function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fNIRS study. Aging Clinical Experimental Research, 25(5), 539-44. http://dx.doi.org/10.1007/s40520-013-0119-5 

  6. Elizabeth, L. G. (2007).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in human aging. In R. R. David (Eds.), Brain aging: models, methods, and mechanisms: An annual review(pp. 1-9). New York: CRC Press. 

  7.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Oxford: Pergamon Press. 

  8. Foley, D., Monjan, A. A., Masaki, K., Ross, W, Havlik, R, White, L., & Launer, L. (2001). Day time sleepiness is associated with 3-year incident dementia and cognitive decline in older Japanese-American me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9(12), 1628-1632.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1.49271.x 

  9. Ganguli, M., Snitz, B. E., Lee, C. W., Vanderbilt, J., Saxton, J. A., & Chang, C. C. H. (2010). Age and education effects and norms on a cognitive test battery from a population based cohort: The Monongahela -youghiogheny healthy aging team. Aging and Mental Health, 14(1), http://dx.doi.org/100-107.10.1080/13607860903071014 

  10. Gorske, T. T., Daley, D. C., Yenerall, E., & Morrow, L. A. (2006). Neuropsychological function and employment status in a welfare-to work sample. Applied Neuropsychology, 13(3), 141-150. http://dx.doi.org/141-150.10.1207/s15324826an1303_1 

  11. Hong, I. S., Kim, D. A., Kim, J. S., Yoo, Y. J., & Park, S. (2011). Relation in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Korean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13(1), 23-31. 

  12. Jones, K., & Harrison, Y. (2001). Frontal lobe function, sleep loss and fragmented sleep. Sleep Medicine Reviews, 5(6), 463-475. http://dx.doi.org/10.1053/smrv.2001.0203 

  13. Kim, M. S., Yoon, S. Y., & Oh, E. Y. (2012). Relationships among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in persons with decreased memor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404-416.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404 

  14. Lee, D. Y., Lee, K. U., Lee, J. H., Kim, K. W., Jhoo, J. H., Youn, J. C., Kim S. Y., Woo S. I., & Woo J. I. (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3), 508-525. 

  15. Leggett, A., Zarit, S. H., Hoang, C. N., & Nguyen, H. T. (2013). Aging and mental health, article views 2: Correlates of cognitive impairment in older Vietnamese. New York: Thomson Reuters. 

  16. Lim, J. Y., Song, M. S., Han, Y. R., Kim, E. J., Choi, K. W., & Sung, Y. M. (2010). Willingness to pay for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for eld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2), 173-182. 

  17. Lindsay, J., Laurin, D., Verreault, R., Hebert, R., Helliwell, B., Hill1, G. B., & McDowell, I. (2002). Risk factors for alzheimer's disease: A prospective analysis from the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6(5), 445-453. http://dx.doi.org/10.1093/aje/kwf074 

  18. Littbrand, H., Stenvall, M., & Rosendahl, E. (2011). Applicability and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on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0(6), 495-518. http://dx.doi.org/10.1097/PHM.0b013e318214de26.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2008, Elderly survey: Basic analysis report of actu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welfare need survey in Korea(No. 11-1351000-000316-12). Seoul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In 2011, the elderly survey(No. 11-1352000-000672-12). Seoul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epartment of Elderly Policy. 

  21.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2010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analysis data sheet. Seoul : NHIC. 

  22. Oh, S. K., & Lee, T. R. (2011). Comparison of cognitive function, barthe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elf-perceived health toward elders and demented elder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6(2), 137-149. 

  23. Park, N. H., Lee, Y. M., & Lu Rie, E. (2008).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in the community elderly.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1), 36-45. 

  24. Ranft, U., Schikowski, T., Sugiri, D., Krutmann, J., & Kramer, U. (2009). Long-term exposure to traffic-related particulate matter impairs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Environmental Research, 109(8), 1004-1011. http://dx.doi.org/10.1016/j.envres.2009.08.003 

  25.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08).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 elders. Seoul: MHW. 

  26. Virtanen, M., Singh-Manoux. A., Ferrie, J. E., Gimeno, D., Marmot, M. G., Elovainio, M., Jokela, M., Vahtera, J., & Kivimaki, M. (2009). Long working hours and cognitive function: the whitehall II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9(5), 596-605. http://dx.doi.org/10.1093/aje/kwn382 

  27. Van Gelder, B. M., Tijhuis, M., Kalmijn, S., Giampaoli, S., Nissinen, A., & Kromhout, D. (2006). Marital status and living situation during a 5-year period are associated with a subsequent 10-year cognitive decline in older men: the fine study.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61(4), 213-219. 

  28. Yi, H. R. (2013). Sleep quali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76-88.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76 

  29. Zhuang, J. P., Fang, R., Feng, X., Xu, X. H., Liu L. H., Bai, Q. K., Tang, H. D., Zhao, Z. G., & Chen, S. D. (2013). The impact of human-computer interaction-based comprehensive training on the cognitive functions of cognitive impairment elderly individuals in a nursing home.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36(2), 245-251. http://dx.doi.org/10.3233/JAD-130158 

  30. Zunzunegui, M. V., Alvarado, B. E., Del Ser, T., & Otero A. (2003). Social networks,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engagement determine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 -dwelling Spanish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58(2), S93-S100. http://dx.doi.org/10.1093/geronb/ 58.2.S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