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daimojiOkumura, 1949)의 서식지 특성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분포 예측
Habitat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for Macromia daimoji Okumura, 1949 (Odonata: Macromiidae)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6 no.1, 2024년, pp.21 - 31  

권순직 ((주)애일) ,  권혁영 (에코벅스) ,  황인철 ((주)애일) ,  이창수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김태근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박재흥 ((주)생태자원연구소) ,  전영철 ((주)생태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노란잔산잠자리(M. daimoji Okumura, 1949)를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고, 국가적색목록 평가에서 위기(EN)로 등재하였다. 이들은 주로 동북아지역에 서식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위도상 사천시(35.1°)부터 연천군(38.0°)까지, 경도상 연천군(126.8°)부터 양산시(128.9°)까지 관찰되었다. 서식지는 저지대의 평지하천에 하상재료가 모래로 이루어져 있고, 유속이 완만한 하천의 가장자리와 하중도의 가장자리, 하천 구역에 일시적으로 형성된 웅덩이를 선호한다. 노란잔산잠자리 출현 지점에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는 낙동강 본류의 경우 서식지에 따라 군집 조성의 차이가 적었고, 지류의 경우 주변 환경과 하천의 규모에 따라 낙동강 본류보다 군집 조성의 차이가 컸다. 현재 분포지역을 토대로 MaxEnt 모델을 이용하여 잠재적 분포를 예측한 결과, 낙동강 본류와 지류에 서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환경변수 중 기여도는 BIO03(36.2%), BIO10(15.8%), BIO14(13.8%), BIO12(12.5%), BIO08(6.1%) 등의 순으로, 모형에 대한 중요도는 BIO10(43.7%), BIO14(14.6%), BIO17(13.78%), BIO13(9.8%), BIO02(6.7%), BIO18(5.2%) 등의 순으로 높았다. 노란잔산잠자리의 공통사회경제경로를 통한 미래 분포 예측에 있어서 재생에너지 기술 발달로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한 SSP1은 서식가능지역이 넓은 범위에서 확대되었으며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심을 두어 화석연료 사용이 높고 도시 위주의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것을 가정한 SSP5는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들의 서식지는 하천공사, 골재채취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변화와 강우 강도의 증가에 의한 홍수 등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노란잔산잠자리 보호를 위해서는 생태계 환경변화관찰을 위한 장기적인 모니터링 수행과 개체군 유지를 위한 보전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cromia daimoji Okumura, 1949 wa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and also categorized as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o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Red List in Korea.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ranged within a region delimited by northern latitude f...

Keyword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이들의 서식지는 하천공사와 준설, 인공구조물 설치와 같은 물리적인 교란에 취약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란잔산잠자리의 서식지 정보를 취합하여 MaxEnt 모델로 현재 잠재적 서식적합성이 높은 지역을 예측하였고,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및 분포변화를 예측하였으며, 서식지 보전에 대한 간접적인 지표로서의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다양한 위협 요인에 의한 서식지 감소로부터 노란잔산잠자리를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efaoui, R. M., Hortal, J. and Lobo, J. M. (2005). "Potential?distribution modelling, niche characterization and?conservation status assessment using GIS tools: a case study?of Iberian Copris species." Biol. Conserv. 122(2): pp.?327-338. <https://doi.org/10.1016/j.biocon.2004.08.005>. 

  2. Elith, J., Phillips, S. J., Hastie, T., Dudik, M., Chee, Y. E. and?Yates, C. J. (2011). "A statistical explanation of MaxEnt?for ecologists." Divers. Distrib. 17(1): pp. 43-57. <https://doi.org/10.1111/j.1472-4642.2010.00725.x>. 

  3. Farheen, K. S., Reyes, N. J. D. G., Jeon, M. S. and Kim, L. H.?(2022). "The Status of Ramsar wetlands in India: A review?of ecosystem benefits, threats, and management strategies."?J. Wet. Res. 24(2): pp. 123-141. <https://doi.org/10.17663/JWR.2022.24.2.123>. 

  4.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2023). GBIF, accessed?25 December 2023. <https://doi.org/10.15468/dl.edqfex>. 

  5. Hernandez, P. A., Graham, C. H., Master, L. L. and Albert, D.?L. (2006). "The effect of sample size and species?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 of different species?distribution modeling methods." Ecography, 29(5): pp.?773-785. <https://doi.org/10.1111/j.0906-7590.2006.04700.x>. 

  6. Hijmans, R., Cameron, S. E., Parra, J. L., Jones P. G. and Jarvis,?A. (2005). "Very high resolution interpolated climate?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 Int. J. Climatol. 25(15): pp.?1965-1978. <https://doi.org/10.1002/joc.1276>. 

  7. Hong, J. S., Kwon, S. J., Lee, C. S., Choi, J. Y., Cho, K. J. and?Kim, H. G. (2023).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critically?endangered dragonfly Libellula angelina (Odonata:?Libellulidae) under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Entomol. Res. 53(10): pp. 367-379. <https://doi.org/10.1111/1748-5967.12671>. 

  8. Hong, J. S., Lee, G. S., Park, J. J., Mo, H. H., and Cho, K. J.?(2019). "Risk map for the range expansion of Thrips palmi?in Korea under climate change: Combining species?distribution models with land-use change." J. Asia Pac.?Entomol. 22(3): pp. 666-674. <https://doi.org/10.1016/j.aspen.2019.04.013>. 

  9. Inoue, K. (2004). "Critical species of Odonata in Japan. IUCN?Regional Report." Int. J. Odonatol. 7(2): pp. 311-324.?<https://doi.org/10.1080/13887890.2004.9748219>. 

  10. IPCC. (2022). Summary for Policymakers [H.-O. Portner, D.C.?Roberts, E.S. Poloczanska, K. Mintenbeck, M. Tignor, A.?Alegria, M. Craig, S. Langsdorf, S. Loschke, V. Moller, A.?Okem (eds.)]. In: Climate Change 2022: Impacts,?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Group 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O.?Portner, D.C. Roberts, M. Tignor, E.S. Poloczanska, K.?Mintenbeck, A. Alegria, M. Craig, S. Langsdorf, S.?Loschke, V. Moller, A. Okem, B. Rama (eds.)]. Cambridge?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9781009325844>. 

  11. Jaccard, P. (1908). "Nouvelles recherches sur la distirbution?florale." Bull. Soc. Vaud. Sci. Nat. 44(163): pp. 223-270.?<http://dx.doi.org/10.5169/seals-268384>. 

  12. Jung, K. S. (2011). Odonata Larvae of Korea. Nature and?ecology. Seoul, Korea. pp. 263-269. 

  13. Jung S. W., Kim Y. H., Lee J. H., Kim D. G., Kim M. K. and?Kim H. M. (2022). "Biodiversity changes and community?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weir?section of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Korean J.?Environ. Ecol. 36(2): pp. 150-164. <https://doi.org/10.13047/ KJEE.2022.36.2.150>. 

  14. Kang, Y. J., Wang, W. J., Lee, H. N., Lee J. H., Lee. S. M. and?Kim, H. S. (2023). "A selection methodology of the?appropriate candidate sites of riverine wetlands for?ecological connection." J. Wetlands Res. 25(2): pp.?111-120. <https://doi.org/10.17663/JWR.2023.25.2.111>. 

  15. Kim, T. G, Han, Y. G., Kwon, O. S. and Cho, Y. H. (2015).?"Changes in Aporia crataegi's potential habitats in?accordance with climate changes in the northeast Asia." J.?Ecol. Environ. 38(1): pp. 15-23. <http://doi.org/10.5141/ecoenv.2015.002>. 

  16. KMA, (2020).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20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pp. 338. 

  17. Kwon, S. J, Jun, Y. C., Kwon, H. Y., Hwang, I. C., Lee, C. S.?and Kim, T. G. (2023).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and Future Distribution of Brachydiplax chalybea?flavovittata Ris, 1911 (Odonata: Libellulidae)." J. Wetlands?Res. 25(4): pp. 335-344. <https://doi.org/10.17663/JWR.2023.25.4.335>. 

  18. Maltchik, L., Stenert, C., Kotzian, C. B. and Pires, M. M. (2010). "Responses of odonate communities to environmental?factors in southern Brazil wetlands." J. Kansas Entomol.?Soc. 83(3): pp. 208-220. <https://doi.org/10.2317/JKES0910.13.1>. 

  19. Markovic, D., Carrizo, S. F., Karcher, O., Walz, A. and David,?J. W. (2017). "Vulnerability of European freshwater?catchments to climate change." Glob. Chang. Biol. 23: pp.?3567-3580. <https://doi.org/10.1111/gcb.13657>. 

  20. Mereta, S. T., Boets, P., Bayih, A. A., Malu, A., Ephrem, Z., Sisay,?A., Endale, H., Yitbarek, M., Jemal, A., De Meester, L. and?Goethals, P. L. M. (2012). "Analysis of environmental?factors determining the abundance and diversity of?macroinvertebrate taxa in natural wetlands of southwest?Ethiopia." Ecol. Inf. 7: pp. 52-61. <https://doi.org/10.1016/ j.ecoinf.2011.11.005>. 

  21. ME/NIE. (2020). The Ecological Survey on the Korean?Demilitarized Zone (DMZ) and Its Surrounding Areas;?Western Part of Imjin River Estuary in Northern Civilian?Control Zone. The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494 pp. 

  2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3). Biodiversity?of the Korean Peninsula. <https://species.nibr.go.kr>. 

  23. Park, J. Y., Kwon, H. Y., Jang, M. S., Cha, J. Y. and Lee, J. E.?(2020).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diment particle?size and number of Macromia daimoji (Endangered Species?II) nymphs in Naeseong stream, Korea." Korean J. Appl.?Entomol. 59(4): pp. 325-331. <https://doi.org/10.5656/KSAE.2020.09.0.055>. 

  24. Phillips, S. J., Anderson, R. P. and Schapire, R. E.. (2006).?"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distributions." Ecol. Model. 190(3-4): pp. 231-259.?<https://doi.org/10.1016/j.ecolmodel.2005.03.026>. 

  25. Phillips, S. J., Anderson, R. P., Dudik, M., Schapire, R. E. and?Blair, M. E. (2017). "Opening the black box: an opensource release of Maxent." Ecograph. 40(7): pp. 887-893.?<https://doi.org/10.1111/ecog.03049>. 

  26. Phillips S. J. and Dudik, M. (2008). "Modeling of species?distributions with Maxent: new extensions and a?comprehensive evaluation." Ecograph. 31(2): pp. 161-175.?<https://doi.org/10.1111/j.0906-7590.2008.5203.x>. 

  27. Woodward, G., Perkins, D. M. and Brown, L. E. (2010).?"Climate change and freshwater ecosystems: impacts?across multiple levels of organization." Philos. Trans. R.?Soc. B, Biol. Sci. 365: 2093-2106. <https://doi.org/10.1098/rstb.2010.0055>. 

  28. Yoon, I. B. (198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of Korea Vol. 30. Aquatic Insects. Ministry of Education.?Seoul, Korea. pp. 276-280.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