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서·남해안 연안생태계의 염생식물군락과 염생식물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lophyte vegetation and halophyte flora characteristics of coastal ecosystem in the West and South coas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6 no.1, 2024년, pp.72 - 81  

박지원 (공주대학교) ,  김의주 (공주대학교) ,  이정민 (공주대학교) ,  김윤서 (공주대학교) ,  박여빈 (공주대학교) ,  박재훈 (공주대학교) ,  김세희 (국립생태원) ,  조경미 (공주대학교) ,  최윤경 (공주대학교) ,  서지현 (공주대학교) ,  서주현 (공주대학교) ,  유영한 (공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어 염습지와 이에 인접한 해안사구가 발달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서·남해안의 염습지와 사구에서 나타나는 염생식물의 군집과 식물상의 특성을 48개 지소의 571 식분에서 조사하고, 분석하여 연안 생태계의 특성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염습지에 분포하는 식물군락은 39개이었으며, 갈대군락의 분포면적이 가장 넓었고, 버들명아주군락이 가장 좁았다. 나문재군락이 해안선으로부터 가장 근접하여 분포하였고, 해홍나물군락이 해양쪽으로 가장 멀리까지 분포하였다. 해안사구에 분포하는 식물군락은 29개이었으며, 갯그령군락의 분포면적이 가장 넓었고, 수송나물군락이 가장 좁았고, 갯메꽃군락이 해안선으로부터 가장 근접하여 분포하였고, 해당화군락이 내륙쪽으로 가장 멀리까지 분포하였다. 염습지의 식물상은 6과 14속 17종 1변종 18분류군 이였으며(식물구계학적 점수; 16점), 해안사구는 11과 18속 20종 1변종 21분류군(식물구계학적 점수; 34점)으로 해안사구가 염습지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서남해의 연안에서는 해안사구가 염습지보다 해수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염도에 약한 식물도 생육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is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salt marshes and coastal sand dunes adjacent to them are developed.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ecosyste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ies and flora of 571stands of 48 sites i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서·남해안에 분포하는 염습지와 사구에서 출현하는 염생식물의 식물군집과 식물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8개 지소를 현장 조사하고, 식생의 분포를 해안선으로부터의 거리 등과 같은 입지환경요인을 분석하여 연안생태계에 분포하는 염생식물군락의 특성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39개 지점과 해안사구 9개 지점의 (571개 식분)에서 염생식물군락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위하여 염생식물의 군락과 식물상을 조사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서남해안 연안생태계에 분포하는 식물군락의 식생 및 식물상은 염습지에서는 39개의 식물군락이, 해안사구에서는 29개의 식물군락이 출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dams, D. A. (1963). Factors affecting vascular plant zonation?in North Carolina salt marshes. Ecology, Vol. 44, No. 3, pp. 445-456. 

  2. Armstrong, W., Wright, E. J., Lythe, S., and Gaynard, T. J.?(1985). Plant zonation and the effects of the spring-neap?tidal cycle on soil aeration in a humber salt marsh. Journal?of Ecology, Vol. 73, No. 1, pp. 323-339. 

  3. Bertness, M. D., Gough, L., and Shumway, S. W. (1992). Salt?tolerances and the distribution of fugitive salt marsh plants.?Ecology, Vol. 73, No. 5, pp. 1842-1851. 

  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5. Carter, R. W. G. (1991). Near future sea level impacts on coastal?dune landscapes. Landscape Ecology, Vol. 6, No. 1/2, pp. 29-39. 

  6. Choi, Y. E. (2019). A study on the species compositional changes?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by invasive species- In Five?coastal sand dunes on Jin-do island, on Wan-do island,?and in Haenam-gun-.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Vol. 31, No. 4, pp. 397-416. 

  7. Deegan, L. A., Hughes, J. E., and Rountree, R. A. (2002). Salt?marshes ecosystem support of marine transient species.?Concepts and Controversies in Tidal Marsh Ecology.?Springer. Netherlands. pp. 333-365. 

  8. Fischer, J. M., Reed-Andersen, T., Klug, J. L., and Chalmers,?A. G. (2000). Spatial pattern of localized disturbance along?a southeastern salt marsh tidal creek. Annual Review of?Marine Science, Vol. 23, No. 4, pp. 565-571. 

  9. Han, Y. U. (2008). The characteristics of halophyte vegetation?of salt marshe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gun, Korea. 

  10. Jimenez-Alfaro, B., Marceno, C., Guarino, R., and Chytry, M.?(2015). Regional metacommunities in two coastal systems:?spatial structure and drivers of plant assemblages. Journal?of Biogeography, Vol. 42, No. 3, pp. 452-462. 

  11. Jonathan, M. H., Jacqueline, A. P., and Rob, H. M. (2000).?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and?interactions between salt marsh plants:effects of salinity,?sediment and waterlogging. Journal of Ecology, Vol. 88,?No. 3, pp. 492-505. 

  12. Jung, Y. K., and Kim, W. (2000).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of coastal mantle communities in Korean peninsula. The?Ec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23, No. 3, pp. 193-199. 

  13. Kim, C. 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Biology, Vol. 18, No. 1, pp. 163-198. 

  14. Kim, E. K. (2013). Halophytes of Korea, Nature and Ecology. 

  15. Kim, J. W. (2004). Vegetation Ecology, World Science,?Publisher.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19). Korea,?Accessed 10 January 2020, Accessed 10 January 2020, 

  17. Lee, J. S., Ilm, B. S., Myeong, H. H., Park, J. W., and Kim, H.?S. (2009). Soil environment analysis and habitat of?halophyte for restoration in the salt marshes of southern?and western coasts of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s?Resources, Vol. 22, No. 1, pp. 102-110. 

  18. Lee, K. S., and Kim, S. H. (2000). East Sea vegetation from an?ecological point of view, 2000 International Symposium,?Vol. 2000, No. 1, pp. 13-45. 

  19. Lee, K. S., Cho, M. G., Moon, H. S., and Jeon, K. S. (2013).?The list of vascular plants at Junam wetland in Changwon?Cit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Vol. 15, No. 2, pp. 67-75. 

  20. Lee, M. S., Kim S. H., and Jung H. E. (2019). Distribution?patterns of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 in Korea.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24,?No. 1, pp. 139-159. 

  21.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I, II, Hyangmunsa. 

  22. Mcowen, C. J., Weatherdon, L. V., Bochove, J. V., Sullivan, E.,?Blyth, S., Zockler, C., Stanwell-Smith, D., Kingston, N.,?Martin, C. S., Spalding, M., and Fletcher, S. (2017). A global?map of salt marshes. Biodiversity Data Journal, Vol. 2017,?No. 5, pp. e11764. 

  23. Min, B. M. (2004). Growth properties of Carex Kobomugi?Ohwi.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 27, No. 1, pp. 49-55. 

  24. Ministry of Environment(ME). (2012). A guide to the Fourth?National Nautral Environment Research. 

  2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MOF). (2011). Korea.?Accessed 10 January 2020, Accessed 10 January 2020, . 

  26. Miyawaki, A. (1977). Vegetation of Japan compared with other?region of world Kakgen. Tokyo, Japan. 

  27. Miyawaki, A. (1981). Nihon Shokusei Shi Kyushu. Shibundo,?Tokyo, Japan. 

  28. Moffett, K. B., Robinson, D. A., and Gorelick, S. M. (2010).?Relationship of salt marsh vegetation zonation to spatial?patterns in soil moisture, salinity, and topography.?Ecosystems, Vol. 13, No. 8, pp. 1287-1302. 

  29. Nakanishi, H., and Fukumoto, H. (1987). Zonation of coastal?vegetation and coastal topography in southern Japan.?Japanese Journal of Ecology, Vol. 37, No. 3, pp. 197-207. 

  3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in?Korea. Korea: Nation Institute of Ecology. 

  31.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9). The 5th national natural?environment survey guidelines. Korea: Nation Institute of Ecology. 

  32. Ohno, K. (1979). Phytocoenologische studien uber die?Uferwalder auf den alluvialebenen in W-Japan. Vegetation?and Landshaft Japans, Vol. 16, pp. 227-239. 

  33. Olowokudejo, J., and Oyebanji, O. (2016). Floral diversity of?the littoral vegetation of Southeastern Nigeria. International?Journal of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Vol. 8, No. 12, pp. 320-333. 

  34. Packer, J. G., Meyerson, L. A., Skalova, H., Pysek, P., and?Kueffer, C. (2017). Biological flora of the British Isles:?Phragmites australis. Journal of Ecology, Vol. 105, No. 4, pp. 1123-1162. 

  35. Park, J. W., Lee, S. Y., Lee, E. P., Kim, E. J., Park, J. H., Lee, J. M., Kim, M. J., No. J. Y., Han, D. U., and You, Y. H.?(2020).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plant diversity of coastal sand dune in Busand metropolitan?cit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22, No. 2, pp. 66-72. 

  36. Pennings, S. C., Grant, M. B., and Bertness, M. D. (2005). Plant?zonation in low-latitude salt marshes:disentangling the?roles of flooding, salinity and competition. Journal of?Ecology, Vol. 93, pp. 159-167. 

  37. Poljakoff-Mayber, A., and Gale, J. (1975). Plants in saline?environments. New York Heidelberg, Berlin. 

  38. Reimold, R. J., and Queen, W. H. (1974). Ecology of halophytes.?Academic Press, Inc. New York and London. 

  39. Ryu, S. W., Han, D. W., Seo, I. S., Paik, S. K., and Lee, S. W.?(2019). National marine ecosystem monitoring program.?Publication No. 11-1192000-000476-10, Ministry of?Oceans and Fisheries. 

  40. Shim, H. B., Cho, W. B., and Choi, B. H. (2009). Distribution?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ol. 39, No. 4, pp. 264-276. 

  41. Smith, R. I., and Smith, T. M. (2001). Ecology and Field Biology.?6th Benjamin Cummings Inc., New York. 

  42. Song, H. S., and Cho, W. (2007). Diversity and zonation of?vegetation related micro-topography in Sinduri coastal?dune, Korea-focused on the natural monument area.?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 21, No. 3, pp. 290-298. 

  43. Veldhuis, E. R., Schrama, M., Staal, M. and Elzenga, J. T. M.?(2019). Plant stress-tolerance traits predict salt marsh?vegetation patterning. Frontiers in Marine Science, Vol. 5, pp. 1-11. 

  44. Waisel, Y. (1972). Biology of halophyte. Academic Press. New York. pp. 395. 

  45. You, Y. H., Mun, H. T., Cho, S. R., and Cho, K. T. (2015).?Field Biology and Ecology Lab Book. Jinyoungsa., pp. 5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