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복원 평가지표를 활용한 산림 훼손지 우선복원대상지 발굴 -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
Identification of Priority Restoration Areas for Forest Damage Sites Using Forest Restoration Evaluation Indicators in Gangwon-Do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7 no.1, 2024년, pp.17 - 29  

박윤선 (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정책연구센터) ,  송정은 (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정책연구센터) ,  박천희 (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공간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restoration priority of forest damage sites in Gangwon Province. We first identified the status of damaged areas. We then selected restoration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We then set weights for these indicators through expert surveys. We...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2)

  1. NIFoS. 2023. Forest public function evaluation?results as of 2020 

  2. Lee SH.Le SH.Le SA and Choi JY. 2015.?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for Ecological?Restoration of Degraded Environments Near?DMZ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Technology, 18(1), 135-151. (in Korean) 

  3. Choi JY. Lee SH.Le SA.Ji SY and Lee SH. 2016.?Evaluation Method Development for Ecological?Restorations by Damaged Types.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Technology, 19(1), 121-133. (in Korean) 

  4. KFCA. 2016. Survey of the target site to establish a?forest restoration system. KFS 

  5. KFCA. 2019. Survey of deforestation areas and?restoration technology research by type I 

  6. MOE. 2014. LandCoverMap 

  7. KFS. 2020. Forest basic statistics 2020 

  8. Malczewski, J. 1999. Visualization in multicriteria?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 Geomatica,?53(2): 139-147. 

  9. Orsi F.. Geneletti D. & Newton A. C. 2011. Towards?a common set of criteria and indicatorsto identify?forestrestoration priorities: An expert panel-based?approach. Ecological indicators, 11(2): 337-347. 

  10. Rajaonarivelo F. & Williams R. A. 2022. Remote?Sensing-Based Land Suitability Analysis for?Forest Restoration in Madagascar. Forests,?13(10): 1727. 

  11. Valente R. A.. Petean F. C. D. S. & Vettorazzi C. A. 2017.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for?prioritizing areasfor forestrestoration.Cerne, 23:?53-60. 

  12. Vogler K. C.. Ager A. A.. Day M. A..Jennings M. &?Bailey J. D. 2015. Prioritization of forest?restoration projects: tradeoffs between wildfire?protection, ecological restoration and economic?objectives. Forests, 6(12): 4403-44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